[동서양과학기술] 성냥의 유입과 불에 관한 관념의 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1. 우리 조상들이 불을 얻는 방법
1-2. 우리 조상들의 불 보존 방법
1-3. 우리 조상들의 불에 대한 관념
2-1. 근대 문물의 유입과 보급
2-2. 근대 문물의 유입 - 성냥
2-3. 성냥의 제조
3. 성냥의 보급에 따른 실생활과 불에 대한 관념의 변화

결론

본문내용

3. 성냥의 보급에 따른 실생활과 불에 대한 관념의 변화
불씨를 꺼뜨린 며느리는 소박을 맞을 정도로 불씨를 귀히 여겼던 시절에 성냥은 프로메테우스의 불처럼 놀라운 외래품이었다. 이름하여 ‘자래화’. 우리나라 최초의 광고로 알려진 세창양행의 광고 마정미, 『(광고로 읽는)한국 사회문화사』, 개마고원, 2004
에도 등장하는 물품이다. 일본을 통해 대중에 보급된 성냥은 당냥, 인촌이라고도 불렸는데, 종래 부싯돌로 불을 지피던 것에 대한 일대혁명을 가져왔다. 성냥의 등장은 우리의 부엌과 생활을 바꾸어 놓았다.
신주처럼 모시던 불꽃은 사라졌으며 전국 방방곡곡에 성냥은 없어서는 안 될 물건으로 자리 잡았다. 더 이상 집에서 불이 꺼질까봐 하는 긴장을 덜게 되었으며 불이 꺼졌을 때 옆집에서 빌려오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게 되었다. 성냥으로 등잔불의 어둠을 밝혔고, 성냥으로 아궁이의 밥을 지었으며 담배 피우는 남정네의 주머니 속에도 어김없이 성냥갑이 들어 있었다.
또한 이사 갈 때 불을 꺼뜨리지 않고 가지고 가는 풍습이나, 불씨를 대대로 보존하는 등의 불을 신성시하며 숭배하던 신앙에서 유래하는 풍속들은 점차 약화되었다. 성냥을 통해 불은 더 이상의 미신적인 존재가 아닌 단순한 물질적인 존재로 전락된 것이다.
하지만 성냥이 등장과 동시에 우리의 생활 속을 파고 든 것은 아니다. 분명 없어서는 안 될 생필품으로 자리 잡았지만 1통에 쌀 1되라는 비싼 가격 때문에 불에 대한 관념의 변화에 상응하지 못하게도 부시가 우리나라의 농어촌 지역에 1950년대까지도 필수품으로 사용되었다.
결론
지금까지 성냥이 들어온 전ㆍ후에 우리 조상들에게 일상생활에서의 불의 의미와 불에 대한 관념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우리 조상들은 부싯돌이나, 석류황 등을 이용하여 불을 얻었으며, 불에 대하여 단순한 화학적 물질 이상의 조왕신을 숭배하는 등의 관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개항 이후 일본을 통해 수많은 문물들이 유입되고 그 중에서 성냥이 유입되면서 이제 쉽게 불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단순히 생활에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관념적으로도 변화가 되었음을 뜻한다. 즉, 불을 미신적인 것에서 단순히 화학적인 것으로 전락시켜 버린 것이다. 인천에 조선인촌공장 등이 세워지면서 성냥이 많이 대중화 되었지만 비싼 가격 때문에 농촌지역에서는 1950년대까지 부싯돌이 많이 사용되었다.
성냥이 일본을 통해 들어오지만, 일본의 장사꾼들에 의해 개항이 된 후 얼마간 기술도 배우지 못하게 했고, 한국시장을 독점하였다. 또한 이들 장수들이 현금보다 쌀, 콩, 깨 같은 물건과 바꾸어 이들을 개항장에 모아 수출하였다. 그러므로 일본을 비롯한 외국 장사꾼들은 수입품을 팔아 그들이 필요한 양곡을 확보해서 이득을 보고 있었다고 한다.
개화기의 한 가지 물건이 한 국가의 모든 국민의 의식을 바꿨으며 그것에 일본의 얄팍한 상술이 개입했다는 점, 또 한 가지 물건 때문에 전통적인 가치관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도 있다는 점은 근대화 앞에서 무력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었던 같아 아쉬운 생각이 든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3.06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