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위장관의 기능
1) 분비
2) 운동
3) 소화와 흡수
2. 구강
1) 구조
2) 기능
3. 식도
1) 구조
2) 기능
3)혈액 공급과 림프관 배액
4)신경지배
5)운동
4. 위
1)구조
2)기능
3)혈액공급
4)신경지배
5)분비
6)운동
5. 작은창자
1)구조
2)기능
3)혈액공급
4)신경지배
5)분비
6)운동
7)장내균상
8)흡수
6. 큰창자
1)구조
2)기능
3)혈액공급
4)신경지배
5)분비
6)운동
7)장내균상
8)흡수
9)분변
10)배변
7. 위장관의 노화
1) 분비
2) 운동
3) 소화와 흡수
2. 구강
1) 구조
2) 기능
3. 식도
1) 구조
2) 기능
3)혈액 공급과 림프관 배액
4)신경지배
5)운동
4. 위
1)구조
2)기능
3)혈액공급
4)신경지배
5)분비
6)운동
5. 작은창자
1)구조
2)기능
3)혈액공급
4)신경지배
5)분비
6)운동
7)장내균상
8)흡수
6. 큰창자
1)구조
2)기능
3)혈액공급
4)신경지배
5)분비
6)운동
7)장내균상
8)흡수
9)분변
10)배변
7. 위장관의 노화
본문내용
choline은 세로근육 수축
Meissner's 얼기는 돌림근육 수축
운동자극은 Auerbach's 얼기를 통해 일어남
-> 이러한 운동에 의해 장의 분절이 비워짐
연동성 노도(peristaltic rush)- 강력한 연동파로 십이지장에서 시작되어 몇분안에 회장맹장판막을 통과, 장자극을 제거하기 위해 일어남-> 화학적, 기계적 자극이 나 극심함 팽만에 의해 발생
혼합운동- 돌림근육 섬유들이 교대로 수축하여 일어남
유미즙이 소화액이 나오는 분비선이나 분비물에 접촉하도록 함
흡수를 우해 융모에 좀 더 가까이 접근시킴
7) 장내균상
주로 그람양성 유산간균, 연쇄상구균 및 포도상 구균 등이다.
담즙산과 위산은 장내의 박테리아 번식을 억제할 수 있음
8) 흡수
① 탄수화물은 단당류와 소량의 이당류로 전환되며 소화는 주로 공장에서 일어남
② 단백질은 아미노산과 소량의 dipeptide로 전환
③ 지방은 지방산과 monoglycerides, diglycerides 및 triglycerides로 전환됨
소화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흡수는 확산과 능동적 이동에 의해 이루어짐
탄수화물, 단백질, 나트륨, 대부분의 전해질은 능동적이동을 함
지방산, 수분(삼투현상에 의해)은 확산됨
작은창자- 하루에 8 ℓ 의 수분을 흡수
공장- 포도당, 수용성 비타민, 단백질 및 지방 등이 흡수
회장- 담즙산염이 흡수
십이지장과 회장은 능동적 나트륨 이동을 함
비타민 B12(위에서 내인자를 분비하고 칼슘이온이 있을 때)는 회장 내에서 흡수
철분은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흡수
6. 큰창자
1) 구조
회장맹장판막에서 항문까지 연장되는 기관으로, 길이는 약 1.5~1.8m, 지름은 약 5cm
맹장, 결장 및 직장 등 3부분으로 나누어짐
① 맹장- 큰창자의 첫 5~7.5cm 부분으로 회장맹장판막에서 회장과 연결되어 있음
맹장이 이완되면 회장의 내용물이 맹장으로 들어옴
맹장의 말단은 맹낭으로 충수가 붙어 있으며 복부의 오른아래구역에 위치해 있음
② 결장
* 오름결장 : 회장맹장판막 바로 위 부분인 복부 오른쪽에서 간의 하연까지 계속 위쪽으로 뻗어있으며 간굽이 부위에서 왼쪽으로 구부러져 있음
* 가로결장 : 복부를 자고질러 간에서부터 수평으로 뻗어있음
* 내림결장 : 비장에서부터 복부의 좌측으로 내려 뻗어 있는 것
* S자결장 : S자로 구부러져 있으며 골반 안에 있음
<결장의 주요기능>
-남아있는 수분과 요소 및 전해질을 흡수
-결장 길이의 절반인 근위결장에서는 점액을 분비
-원위결장에서는 배변 시까지 분변 저장
③직장과 항문- 큰창자의 마지막부분으로 S자결장에서부터 항문까지 뻗어있으며 두 개의 조임근이 항문의 개구를 조절
항문개구부의 바깥부분은 피부주름으로 되어 있고, 안쪽 부분은 점막으로 되어 있어서 이 부위를 피부점막 경계부위라고 함
2) 기능
-수분, 염화물 및 나트륨 흡수
-유미즙의 양을 줄인다.
-몇 가지의 비타민 B군과 비타민K를 합성
-분변을 형성
-신체로부터 대변 배출
3) 혈액공급
맹장과 결장- 위 아래 장간막동맥의 가지에서 동맥혈을 공급받음
직장과 항문강- 상, 중, 하 직장동맥에서 동맥혈을 공급받음
4)신경지배
부교감신경계의 지배를 받아 주로 장의 긴장력을 증대시키고, 조임근의 긴장력은 약화시키며, 수축의 빈도, 크기, 속도를 강화시킴
부교감신경의 뇌영역 부분이 식도로부터 근위결장까지 미주신경을 통해 지배
결장 중간부위부터 항문까지는 부교감신경계의 천골영역 부분이 지배
교감신경의 신경지배는 T8~L3에 있는 척수에서 나오는 신경섬유들에 의해 이루어짐
교감신경은 연동운동을 감소시키고 조임근의 긴장력을 증대시킴
5) 분비
수분, 점액, 칼륨과 중탄산염 등의 알카리성액을 분비함
점액: 내용물을 부드럽게 하여 대변이 장을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점막이 외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하며 대변을 덩어리로 만듦
부교감 신경에 의해 자극됨
세균, 기계적 또는 화학적 결장자극들에 의해 분비량 증가
점액의 알칼리 성분은 큰창자 안에 생성되는 산을 중화시킴
6) 운동
팽대부가 완전히 팽창도면 장멱이 수축하고 압축되어 내용물을 다음 팽대부로 보내며 이과정이 계속되어 음식물이 결장을 통과하게 됨<- 이 운동을 팽기류라 부름
집단연동운동: 장이 비워질 때 이러나는 느리고 강력한 파동
하루 2~3회 발생
보통 식사 후에 일어나며 식사 후에 변의를 느끼게 함
7) 장내균상
큰창자의 알카리성 분비액들은 남아 있는 단백질과 소화되지 않은 잔여물을 주로 부패시키고, E. coli, A. aerogenes, Clostridium perfringens, Lactobacillus 등 유기체들을 증식함
8) 흡수
나트륨, 염화물과 수분의 흡수가 일어남-> 맹장에서의 500ml 수분양이 분변에는 100ml로 감소됨
결장은 자신이 받은 내용물에서 나트륨과 수분을 90%까지 흡수 할 수 있음
9) 분변
분변은 3/4이 수분이고 1/4이 고형물질로 되어 있음
고형물질의 30%는 세균, 30%는 지방
대부분 대변의 바깥 표면은 염기성, 내부는 산성임
수분을 흡수하거나 수분의 이동을 방해하는 물질들은 대변을 부드럽게 만들고 결장운동을 자극함
분변은 배변작용을 통해서 배출됨
10) 배변
배변반사- 분변과 가스가 내림결장으로부터 직장으로 밀고 들어올 때 발생
직장의 팽만으로 자극 받음
직장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속, 바깥조임근이 이완됨에 따라 팽만은 배변반사를 일으킴
배변은 수의적으로 골반저부의 가로무늬근과 바깥항문 조임근을 수축함으로써 억제 될 수 있음
배변반사가 시작되었을 때 배변 볼 것을 결정했다면, 발살바 수기를 시행하여 복부내의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
7. 위장관의 노화
노화현상에 의해 잇몸과 뼈들이 느슨해짐에 따라 구강 내 치아들이 헐거워지고, 혈액순환이 감소되어 치아는 검고 울퉁불퉁하게 되며 쉽게 부러짐
침샘에서 분비되는 침이 줄어들어 점막이 건조해져 손상받기 쉽고, 연하 곤란과 맛봉오리에 대한 자극이 감소함
담즙분비가 감소됨에 따라 지방 흡수 저하-> 체중감소
큰창자에서는 연동운동이 저하되고 신경자극들이 둔해지고 장벽의 근육긴장도와 복부근육의 감소-> 배변 감각저하-> 변비발생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上 Ⅱ 서문자 외 2004.2.7 수문사
Meissner's 얼기는 돌림근육 수축
운동자극은 Auerbach's 얼기를 통해 일어남
-> 이러한 운동에 의해 장의 분절이 비워짐
연동성 노도(peristaltic rush)- 강력한 연동파로 십이지장에서 시작되어 몇분안에 회장맹장판막을 통과, 장자극을 제거하기 위해 일어남-> 화학적, 기계적 자극이 나 극심함 팽만에 의해 발생
혼합운동- 돌림근육 섬유들이 교대로 수축하여 일어남
유미즙이 소화액이 나오는 분비선이나 분비물에 접촉하도록 함
흡수를 우해 융모에 좀 더 가까이 접근시킴
7) 장내균상
주로 그람양성 유산간균, 연쇄상구균 및 포도상 구균 등이다.
담즙산과 위산은 장내의 박테리아 번식을 억제할 수 있음
8) 흡수
① 탄수화물은 단당류와 소량의 이당류로 전환되며 소화는 주로 공장에서 일어남
② 단백질은 아미노산과 소량의 dipeptide로 전환
③ 지방은 지방산과 monoglycerides, diglycerides 및 triglycerides로 전환됨
소화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흡수는 확산과 능동적 이동에 의해 이루어짐
탄수화물, 단백질, 나트륨, 대부분의 전해질은 능동적이동을 함
지방산, 수분(삼투현상에 의해)은 확산됨
작은창자- 하루에 8 ℓ 의 수분을 흡수
공장- 포도당, 수용성 비타민, 단백질 및 지방 등이 흡수
회장- 담즙산염이 흡수
십이지장과 회장은 능동적 나트륨 이동을 함
비타민 B12(위에서 내인자를 분비하고 칼슘이온이 있을 때)는 회장 내에서 흡수
철분은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흡수
6. 큰창자
1) 구조
회장맹장판막에서 항문까지 연장되는 기관으로, 길이는 약 1.5~1.8m, 지름은 약 5cm
맹장, 결장 및 직장 등 3부분으로 나누어짐
① 맹장- 큰창자의 첫 5~7.5cm 부분으로 회장맹장판막에서 회장과 연결되어 있음
맹장이 이완되면 회장의 내용물이 맹장으로 들어옴
맹장의 말단은 맹낭으로 충수가 붙어 있으며 복부의 오른아래구역에 위치해 있음
② 결장
* 오름결장 : 회장맹장판막 바로 위 부분인 복부 오른쪽에서 간의 하연까지 계속 위쪽으로 뻗어있으며 간굽이 부위에서 왼쪽으로 구부러져 있음
* 가로결장 : 복부를 자고질러 간에서부터 수평으로 뻗어있음
* 내림결장 : 비장에서부터 복부의 좌측으로 내려 뻗어 있는 것
* S자결장 : S자로 구부러져 있으며 골반 안에 있음
<결장의 주요기능>
-남아있는 수분과 요소 및 전해질을 흡수
-결장 길이의 절반인 근위결장에서는 점액을 분비
-원위결장에서는 배변 시까지 분변 저장
③직장과 항문- 큰창자의 마지막부분으로 S자결장에서부터 항문까지 뻗어있으며 두 개의 조임근이 항문의 개구를 조절
항문개구부의 바깥부분은 피부주름으로 되어 있고, 안쪽 부분은 점막으로 되어 있어서 이 부위를 피부점막 경계부위라고 함
2) 기능
-수분, 염화물 및 나트륨 흡수
-유미즙의 양을 줄인다.
-몇 가지의 비타민 B군과 비타민K를 합성
-분변을 형성
-신체로부터 대변 배출
3) 혈액공급
맹장과 결장- 위 아래 장간막동맥의 가지에서 동맥혈을 공급받음
직장과 항문강- 상, 중, 하 직장동맥에서 동맥혈을 공급받음
4)신경지배
부교감신경계의 지배를 받아 주로 장의 긴장력을 증대시키고, 조임근의 긴장력은 약화시키며, 수축의 빈도, 크기, 속도를 강화시킴
부교감신경의 뇌영역 부분이 식도로부터 근위결장까지 미주신경을 통해 지배
결장 중간부위부터 항문까지는 부교감신경계의 천골영역 부분이 지배
교감신경의 신경지배는 T8~L3에 있는 척수에서 나오는 신경섬유들에 의해 이루어짐
교감신경은 연동운동을 감소시키고 조임근의 긴장력을 증대시킴
5) 분비
수분, 점액, 칼륨과 중탄산염 등의 알카리성액을 분비함
점액: 내용물을 부드럽게 하여 대변이 장을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점막이 외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하며 대변을 덩어리로 만듦
부교감 신경에 의해 자극됨
세균, 기계적 또는 화학적 결장자극들에 의해 분비량 증가
점액의 알칼리 성분은 큰창자 안에 생성되는 산을 중화시킴
6) 운동
팽대부가 완전히 팽창도면 장멱이 수축하고 압축되어 내용물을 다음 팽대부로 보내며 이과정이 계속되어 음식물이 결장을 통과하게 됨<- 이 운동을 팽기류라 부름
집단연동운동: 장이 비워질 때 이러나는 느리고 강력한 파동
하루 2~3회 발생
보통 식사 후에 일어나며 식사 후에 변의를 느끼게 함
7) 장내균상
큰창자의 알카리성 분비액들은 남아 있는 단백질과 소화되지 않은 잔여물을 주로 부패시키고, E. coli, A. aerogenes, Clostridium perfringens, Lactobacillus 등 유기체들을 증식함
8) 흡수
나트륨, 염화물과 수분의 흡수가 일어남-> 맹장에서의 500ml 수분양이 분변에는 100ml로 감소됨
결장은 자신이 받은 내용물에서 나트륨과 수분을 90%까지 흡수 할 수 있음
9) 분변
분변은 3/4이 수분이고 1/4이 고형물질로 되어 있음
고형물질의 30%는 세균, 30%는 지방
대부분 대변의 바깥 표면은 염기성, 내부는 산성임
수분을 흡수하거나 수분의 이동을 방해하는 물질들은 대변을 부드럽게 만들고 결장운동을 자극함
분변은 배변작용을 통해서 배출됨
10) 배변
배변반사- 분변과 가스가 내림결장으로부터 직장으로 밀고 들어올 때 발생
직장의 팽만으로 자극 받음
직장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속, 바깥조임근이 이완됨에 따라 팽만은 배변반사를 일으킴
배변은 수의적으로 골반저부의 가로무늬근과 바깥항문 조임근을 수축함으로써 억제 될 수 있음
배변반사가 시작되었을 때 배변 볼 것을 결정했다면, 발살바 수기를 시행하여 복부내의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
7. 위장관의 노화
노화현상에 의해 잇몸과 뼈들이 느슨해짐에 따라 구강 내 치아들이 헐거워지고, 혈액순환이 감소되어 치아는 검고 울퉁불퉁하게 되며 쉽게 부러짐
침샘에서 분비되는 침이 줄어들어 점막이 건조해져 손상받기 쉽고, 연하 곤란과 맛봉오리에 대한 자극이 감소함
담즙분비가 감소됨에 따라 지방 흡수 저하-> 체중감소
큰창자에서는 연동운동이 저하되고 신경자극들이 둔해지고 장벽의 근육긴장도와 복부근육의 감소-> 배변 감각저하-> 변비발생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上 Ⅱ 서문자 외 2004.2.7 수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기업구조조정과 고용 및 노사관계 (기업경영 경영전략 노사관리
유전 물질의 구조와 유전자의 안정성 및 돌연변이와의 관계
조직 구조 변수 간의 관계 및 적용
구조기능주의론과 갈등론으로 바라본 사회문화의 변동현상과 인간관계의 유형 및 행위기준의 ...
물질구조의 안정성과 의식의 관계
[음악산업][음반산업]음악산업(음반산업)의 역사, 음악산업(음반산업)의 현황, 음악산업(음반...
정책집행 개념구조) 정책집행의 개념과 특징 및 정책결정자와 집행자의 관계유형
[심장][자극전도계][심장 구조][심장 활동][심장 박동][심박출량][심장 순환][심장 질환]심장...
공간 분류, 공간과 공간특성, 공간과 공간구조, 공간과 공간적 협력관계, 공간과 표상공간, ...
[정보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테크놀로지와 사회변동의 관계,기술결정론과 사회구조론,사회...
심혈관계 질환(임상영양학, 심장의구조, 고혈압, 이상지혈증, 동맥경화증, 심장질환, 뇌졸증)...
아들러의 가족구조와 출생순위에 대한 개념이 무엇인지 쓰고 나의 가족구조와 출생순위에 따...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와 치료과정 및 치료기법(관계형성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