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이드의 인간관
2. 기본개념
3. 마음의 구조
4. 성격의 구조
5. 심리성적 발달단계
《사회복지 실천에의 적용 》
1.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2. 치료목표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4. 치료적 기법
《정신분석의 한계와 의의》
1. 정신분석 모델의 한계
2. 정신분석 모델의 의의
2. 기본개념
3. 마음의 구조
4. 성격의 구조
5. 심리성적 발달단계
《사회복지 실천에의 적용 》
1.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2. 치료목표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4. 치료적 기법
《정신분석의 한계와 의의》
1. 정신분석 모델의 한계
2. 정신분석 모델의 의의
본문내용
상태에서 내담자의 마음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감정이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감정이입을 통해서 치료자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감정과 사고, 소망을 이해하고 이에 개입하게 된다.
(6) 감정의 재교육 ; emotional reeducation
환자의 새로운 통찰력을 일상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환자를 북돋아 주는 것을 말하며, 통찰(insight)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근원에 대해 이해하고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감정의 재교육은 통찰력이 생긴 후 치료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행된다.
이를 통해 개인적으로 통합성, 사회적 효과성, 심리적 성숙을 도모하게 된다.
《정신분석의 한계와 의의》
1. 정신분석 모델의 한계
Freud의 정신분석 이론은 이를 임상 실제에 적용함에 있어 재생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의식→무의식, 무의식→의식의 순환 단계에 대한 검토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지적된다.
또한 질병을 일으키는 다량의 요인들을 양적으로 평가하기가 곤란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해 여성 해방론자들의 많은 반대 및 비판을 불러 일으켰다.
2. 정신분석 모델의 의의
정신분석 이론은 인간 행동의 이해에 대한 합리성을 제공하고, 아동기 발달에 대한 중요성을 입증하고 체계화하였으며, 성과 무의식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인정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정신분석 모델이 사회복지실천에 제공한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 내적 상황에 대해 관심을 집중시켜 무의식의 존재, 무의식이 퍼스낼러티에 미치는 영향, 퍼스낼러티의 구조 및 무의과의 상관관계, 자아와 방어기제의 역할 등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둘째, 유아기 아동에 대한 영향을 강조하여 아동 심리를 다루는 사회복지 영역에 큰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가족 내의 상호인간관계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부부간, 부모자녀간, 형제자매간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감정과 그것이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하여 사회복지사의 자기 인식과 클라이언트와의 상호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그에 기초한 인간의 성격발달에 관한 이론 등은 사회복지의 교육, 실천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이론으로서 치료자나 사회복지사로 하여금 개인행동의 역동적인 이해를 가능케 하였으며 동시에 효과적인 치료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6) 감정의 재교육 ; emotional reeducation
환자의 새로운 통찰력을 일상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환자를 북돋아 주는 것을 말하며, 통찰(insight)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근원에 대해 이해하고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감정의 재교육은 통찰력이 생긴 후 치료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행된다.
이를 통해 개인적으로 통합성, 사회적 효과성, 심리적 성숙을 도모하게 된다.
《정신분석의 한계와 의의》
1. 정신분석 모델의 한계
Freud의 정신분석 이론은 이를 임상 실제에 적용함에 있어 재생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의식→무의식, 무의식→의식의 순환 단계에 대한 검토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지적된다.
또한 질병을 일으키는 다량의 요인들을 양적으로 평가하기가 곤란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해 여성 해방론자들의 많은 반대 및 비판을 불러 일으켰다.
2. 정신분석 모델의 의의
정신분석 이론은 인간 행동의 이해에 대한 합리성을 제공하고, 아동기 발달에 대한 중요성을 입증하고 체계화하였으며, 성과 무의식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인정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정신분석 모델이 사회복지실천에 제공한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 내적 상황에 대해 관심을 집중시켜 무의식의 존재, 무의식이 퍼스낼러티에 미치는 영향, 퍼스낼러티의 구조 및 무의과의 상관관계, 자아와 방어기제의 역할 등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둘째, 유아기 아동에 대한 영향을 강조하여 아동 심리를 다루는 사회복지 영역에 큰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가족 내의 상호인간관계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부부간, 부모자녀간, 형제자매간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감정과 그것이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하여 사회복지사의 자기 인식과 클라이언트와의 상호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그에 기초한 인간의 성격발달에 관한 이론 등은 사회복지의 교육, 실천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이론으로서 치료자나 사회복지사로 하여금 개인행동의 역동적인 이해를 가능케 하였으며 동시에 효과적인 치료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추천자료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이론
인간발달을 이해하는 기준지표와 패러다임, 프로이드의 인간발달이론(정신분석적성격이론), ...
[인간과심리]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하여 - 프로이드 정신분석 이론의 주요 개념 설명...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발달원리, 성격발달요소, 성격발달단계,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정신분석적 성격이론에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성격이론...
프로이드(Frued) 정신분석이론의 성격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부모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기술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이론과 아들러(Adler)이론의 특성과 차이점에 대하여 논하시오.
영유아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는 심리학적 배경 중에서 [영유아프로그램개발]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
유아발달 B형, 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프로이트, 행동주의, 사회학습이론, 반두라 [유아발...
[인간행동과사회환경1E]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을 비교, 이론적 공통점과 ...
인간행동과사회환경=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