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파수카운터 설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파수카운터 설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주파수카운터란

2.주파수 측정방법

3.시스템구성도

4.블럭다이어그램 및 FlowChart

5.결과

본문내용

■ 주파수카운터
주파수는 1초에 진동하는 전기의 파동수를 말하는 것으로 단위는 ㎐를 사용한다. 1초 동안 1백만번 파동을 친다면 1000000㎐ 즉 1㎒가 된다. 이 전기적 파동을 측정하는 것이 주파수카운터인 것이다.
■ 기능
주파수, 주기, Duty비 측정
■ 측정방법
1.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한 주기동안 Time Base Signal(1MHz를 사용)을 내 보내주고, 그 Signal의 수를 Count하여 주기와 주파수를 계산한다.
⊙ 주기 = 1uS * count한 수 , 주파수 = 1/주기
Duty비 = High일 때 개수/한 주기동안의 개수
2.Time Base Signal(1Hz)를 이용하여 한 주기동안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개수를 Count한다.
⊙ 주기 = 1S/count한 수 , 주파수 = Count한 수
첫번째 방법은 Time Base signal이 1MHz이기 때문에 측정하고자 하는 Signal이 1MHz에 가까워질수록 Count 개수가 줄어들어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진다. 1MHz까지의 주파수를 측정하고자 한다면, Time Base Signal의 주파수를 높여주어야 하겠다.
두번째 방법은 주파수와 주기만 측정한다면 이상이 없으나, Duty비 측정을 할 수 없다.
1Hz~1MHz까지의 주파수와 주기를 측정하고, 1Hz~1KHz까지 Duty비 측정을 하기위해 두 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하였다.
전체 System구성도를 보면 Function Board를 설계하여 주파수, 주기, Duty비에 대한 Data를 만들어 내고, 이를 IF Board를 통해서 PC에 전달한다.
■ Function Board
Function Board는 Input Signal을 TTL-Level의 Pulse로 변환시켜주는 Convert Part와 들어온 Pulse를 Count하여 출력시켜주는 Count Part로 구성되어있다. Convert Part는 LM311을 사용하였고, Count Part는 EPLD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입력 Signal을 Reference Voltage인 0V와 비교하여 0V보다 크면 ‘1’을 작으면 ‘0’을 출력한다.

입력파형이 구형파인 경우 Reference Voltage를 기준으로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정확히 0V이하에서는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3.10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5223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