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파수카운터란
2.주파수 측정방법
3.시스템구성도
4.블럭다이어그램 및 FlowChart
5.결과
2.주파수 측정방법
3.시스템구성도
4.블럭다이어그램 및 FlowChart
5.결과
본문내용
■ 주파수카운터
주파수는 1초에 진동하는 전기의 파동수를 말하는 것으로 단위는 ㎐를 사용한다. 1초 동안 1백만번 파동을 친다면 1000000㎐ 즉 1㎒가 된다. 이 전기적 파동을 측정하는 것이 주파수카운터인 것이다.
■ 기능
주파수, 주기, Duty비 측정
■ 측정방법
1.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한 주기동안 Time Base Signal(1MHz를 사용)을 내 보내주고, 그 Signal의 수를 Count하여 주기와 주파수를 계산한다.
⊙ 주기 = 1uS * count한 수 , 주파수 = 1/주기
Duty비 = High일 때 개수/한 주기동안의 개수
2.Time Base Signal(1Hz)를 이용하여 한 주기동안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개수를 Count한다.
⊙ 주기 = 1S/count한 수 , 주파수 = Count한 수
첫번째 방법은 Time Base signal이 1MHz이기 때문에 측정하고자 하는 Signal이 1MHz에 가까워질수록 Count 개수가 줄어들어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진다. 1MHz까지의 주파수를 측정하고자 한다면, Time Base Signal의 주파수를 높여주어야 하겠다.
두번째 방법은 주파수와 주기만 측정한다면 이상이 없으나, Duty비 측정을 할 수 없다.
1Hz~1MHz까지의 주파수와 주기를 측정하고, 1Hz~1KHz까지 Duty비 측정을 하기위해 두 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하였다.
전체 System구성도를 보면 Function Board를 설계하여 주파수, 주기, Duty비에 대한 Data를 만들어 내고, 이를 IF Board를 통해서 PC에 전달한다.
■ Function Board
Function Board는 Input Signal을 TTL-Level의 Pulse로 변환시켜주는 Convert Part와 들어온 Pulse를 Count하여 출력시켜주는 Count Part로 구성되어있다. Convert Part는 LM311을 사용하였고, Count Part는 EPLD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입력 Signal을 Reference Voltage인 0V와 비교하여 0V보다 크면 ‘1’을 작으면 ‘0’을 출력한다.
입력파형이 구형파인 경우 Reference Voltage를 기준으로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정확히 0V이하에서는
주파수는 1초에 진동하는 전기의 파동수를 말하는 것으로 단위는 ㎐를 사용한다. 1초 동안 1백만번 파동을 친다면 1000000㎐ 즉 1㎒가 된다. 이 전기적 파동을 측정하는 것이 주파수카운터인 것이다.
■ 기능
주파수, 주기, Duty비 측정
■ 측정방법
1.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한 주기동안 Time Base Signal(1MHz를 사용)을 내 보내주고, 그 Signal의 수를 Count하여 주기와 주파수를 계산한다.
⊙ 주기 = 1uS * count한 수 , 주파수 = 1/주기
Duty비 = High일 때 개수/한 주기동안의 개수
2.Time Base Signal(1Hz)를 이용하여 한 주기동안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개수를 Count한다.
⊙ 주기 = 1S/count한 수 , 주파수 = Count한 수
첫번째 방법은 Time Base signal이 1MHz이기 때문에 측정하고자 하는 Signal이 1MHz에 가까워질수록 Count 개수가 줄어들어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진다. 1MHz까지의 주파수를 측정하고자 한다면, Time Base Signal의 주파수를 높여주어야 하겠다.
두번째 방법은 주파수와 주기만 측정한다면 이상이 없으나, Duty비 측정을 할 수 없다.
1Hz~1MHz까지의 주파수와 주기를 측정하고, 1Hz~1KHz까지 Duty비 측정을 하기위해 두 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하였다.
전체 System구성도를 보면 Function Board를 설계하여 주파수, 주기, Duty비에 대한 Data를 만들어 내고, 이를 IF Board를 통해서 PC에 전달한다.
■ Function Board
Function Board는 Input Signal을 TTL-Level의 Pulse로 변환시켜주는 Convert Part와 들어온 Pulse를 Count하여 출력시켜주는 Count Part로 구성되어있다. Convert Part는 LM311을 사용하였고, Count Part는 EPLD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입력 Signal을 Reference Voltage인 0V와 비교하여 0V보다 크면 ‘1’을 작으면 ‘0’을 출력한다.
입력파형이 구형파인 경우 Reference Voltage를 기준으로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정확히 0V이하에서는
추천자료
환경경영시스템의 대두배경과 ISO 14001에서 요구하는 환경경영시스템의 요건
환경경영시스템의 대두배경과 환경경영시스템 업종별 규모별 인증현황
[환경보건경영]환경경영시스템의 대두배경과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체계
[관광정보시스템][관광산업][관광정보][관광]관광정보시스템의 연구 동향, 관광정보시스템의 ...
[물류정보시스템][물류정보][물류관리][물류정보화]물류정보시스템의 필요성과 물류정보시스...
[방화벽시스템][시스템보안][해킹][해커]방화벽시스템의 목적, 방화벽시스템의 형태, 방화벽...
[위성통신][위성][통신][네트워크]교육정보 위성통신, 이동전화 위성통신, 네트워크 위성통신...
[경영정보시스템] 경영정보시스템(MIS)에 대하여
교육 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유비쿼터스 멘토링 시스템 활용 및 효과
[권선][권선 측정][권선과 유도기][권선과 제어기법][권선과 자기부상시스템][유도기][제어기...
개방, 폐쇄 시스템과 사회시스템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jit시스템(적시생산시스템) 발표/내용정리/참고ppt(JIT개념및효과 문제점등,도요타/현대자동...
국제경영의이해1공통)테일러 시스템(Taylor system)과 포드 시스템(Ford system)을 각각 설명...
[경영조직][인적자원관리정보시스템][인간성추구]경영조직의 정의, 경영조직의 문화, 경영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