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2.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배경
3.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4.포스트모던 사회학 이론
5.포스트모던 문화와 예술의 확장
6.포스트모던 무용과 포스트모더니스트 무용
7. 무용 포스트모더니즘의 전개방향
2.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배경
3.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4.포스트모던 사회학 이론
5.포스트모던 문화와 예술의 확장
6.포스트모던 무용과 포스트모더니스트 무용
7. 무용 포스트모더니즘의 전개방향
본문내용
은 결코 하나의 독선적인 사상을 추구하지 않았다. 그리고 심지어는 오래된 전통 발레의 기법도 수용하고, 전통 무용 미학을 혼성모방하기도 하고, 모방개작 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포스트모더니스트 무용은 이의 다양한 스타일과 자유스럽고 편안한 절충적인 감각을 그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60연대와 70연대 미니멀리스트 포스트모던 무용수들은 주로 특별한 무대복장 없이, 일상복장으로 공연하였지만 1980연대의 포스트모더니스트 무용에서는 다시 표현을 위해 유행 감각을 따르는 화려한 무대의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의상, 소품, 조명, 무대세트 등이 다시 중요해지기 시작한다. 안무가들은 무용 안무에, 영화, 연설, 노래 일반소품 등 모든 것들을 동원한다. 더욱이 더 중요한 것은 그들은 그들의 무용표현 영역을 넓히기 위해 모든 스타일의 움직임이나 무용기법을 도입한다. 따라서 무용기술 습득에 대한 새로운 열풍이 분다. 비트, 점프, 하이 익스텐션, 빠른 스텝, 정교한 리듬, 아라베스크와 애티튜드 라인 등 모든 무용 기법이 무용에 동원된다. 그리고 무용안무 때, 복잡한 무용 구조 창조에 다시 관심을 가진다. 무용수들은 모두 다시 발레를 배우고 머스커닝햄 기법을 배우면서, 스티브 팩스톤의 콘택트 임프라브제이션(contact improvisation)에 심취한다. 한마디로 말하면 60연대와 70연대의 무용이 무용의 의미를 보이는 대신, 무용의 본질 그 자체를 보였다고 한다면, 80연대의 무용은 더욱 더 충동적이며, 구체적이고 빛나고 매력적인 무용을 추구한다. 80연대의 포스트모더니스트 무용은 예술 자체의 본질적인 목적도 추구하면서 일상생활의 미학화도 병행한다. 어떤 사람들은 무용의 이런 추세가. 무용의 철학이 사라지고 단순한 즐거움을 추구하는 상업주의와 연결될 수도 있다고 우려하기도 한다. 그들은 오늘날 어떤 무용수들은 단지 문화시장에 무용을 내다팔기 위해 그들의 무용을 쓸데없이 번쩍거리는 포장만 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미국의 현대무용 안무가인 젠 반 다이크(Jan Van Dyke)는 1992년에 발간된 그녀의 책‘포스트모던 시대에서의 현대무용에서’1960연대와 1970연대의 무용은 힘이 있었다. 하지만 약 20년이란 세월의 흐름 속에, 무용이 갈수록 힘을 잃는 모습을 보인다. 무용이 단지 사회와 현금 거래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면서 무용의 지나친 상업주의 오염에 대해 걱정을 한다. 지금까지 본대로 지난 20-30년 동안 사회, 문화 전반적으로 중요한 변화들이 일어났으며, 이런 변화들은 우리 사회, 문화, 예술 전반에 새로운 질서 구축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근대 서양의 사상과 학문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포스트모던 사상의 영향으로 무용에도 엄청난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우리가 무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무용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 전체의 변화는 물론 예술 및 미학개념의 변화도 민감하게 포착하고 있어야 된다. 시대가 새로운 예술을 원하고 있으며 시대를 놓치는 예술은 그 시대에서 낙오되는 예술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