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뮤직비디오의 개념
Ⅲ. 뮤직비디오의 형식과 내용에 따른 분류
Ⅳ.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의 발전
Ⅴ. 뮤직비디오의 현황
Ⅵ. 향후 뮤직비디오의 방향
참고문헌
Ⅱ. 뮤직비디오의 개념
Ⅲ. 뮤직비디오의 형식과 내용에 따른 분류
Ⅳ.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의 발전
Ⅴ. 뮤직비디오의 현황
Ⅵ. 향후 뮤직비디오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상이라는 비판이다. 그리고 뮤직비디오 제작비로 억대에 이르는 돈을 쏟아 넣은 음반사는 안전하게 흥행 위주의 음반제작에 몰두하게 된다는 비판이 일기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뮤직비디오의 열기가 그렇게 나쁜 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영화감독 등의 제작 참여로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고도 볼 수 있다. 보는 것에 민감하고 관심이 많은 영상세대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것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는 좋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음악이 아닌 막대한 제작비를 들인 영상물로 승부를 건다는 건 문제이지만, 그것이 아니라 좋은 음악과 함께 좋은 볼거리를 제공한다면 뮤직비디오 제작 열기는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 변화되는데 좋은 방향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훈순 - 한국 뮤직비디오의 포스터모더니즘과 성정치학, 2000
박미아 - 뮤직비디오 이야기, 우리 문학사, 1993
신을진 - 새로운 문화 코드 뮤직비디오, 주간동아, 2001
이영순 - 뮤직비디오에서의 색채와 사운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동서대 디지털디자인대학원, 2004
한국언론학보 제15호
Kaplan, E. Ann, 채규진·성기완 역 - 포스트모던 영상과 소비문화-뮤직 비디오, 1996
참고문헌
김훈순 - 한국 뮤직비디오의 포스터모더니즘과 성정치학, 2000
박미아 - 뮤직비디오 이야기, 우리 문학사, 1993
신을진 - 새로운 문화 코드 뮤직비디오, 주간동아, 2001
이영순 - 뮤직비디오에서의 색채와 사운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동서대 디지털디자인대학원, 2004
한국언론학보 제15호
Kaplan, E. Ann, 채규진·성기완 역 - 포스트모던 영상과 소비문화-뮤직 비디오, 1996
추천자료
탈대중문화시대의 청소년 문화
테마관광이벤트
[마케팅] ‘팬택큐리텔’의 이미지 제고를 통한 매출 향상을 위한 전략 분석
올림푸스 전지현 광고분석
PMP의 분석
메가스터디(megastdy) 기업분석 파워포인트발표자료
특수효과에 관하여
엔터테인먼트 매니저의 일반적 업무
<(국어) 교수-학습 지도안> 1. 서정문학의 활동 (2) 정서의 다양한 형상화
싸이의 강남스타일 신드롬으로 본 신 K-POP 한류문화에 대한 연구
‘핑크플로이드 더 월’을 감상하고 『핑크 플로이드의 벽 (Pink Floyd : The Wall) 1982』
[영어레포트/영어에세이/영어발표/영작] 드론의 대중화
현대문학비평이론 - 파이트 클럽 (Fight Club)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