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극][희극의 원리][희극의 분류][왕정복고시대의 희극][18세기초의 희극][왕정복고시대][18세기초]희극의 원리와 희극의 분류 및 왕정복고시대의 희극, 18세기초의 희극(희극, 희극 원리, 희극 분류, 왕정복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희극][희극의 원리][희극의 분류][왕정복고시대의 희극][18세기초의 희극][왕정복고시대][18세기초]희극의 원리와 희극의 분류 및 왕정복고시대의 희극, 18세기초의 희극(희극, 희극 원리, 희극 분류, 왕정복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희극의 원리
1. 비관습적인 것인 행위의 차원
1) 메카니즘
2)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행위
2. 심리적 차원
1) 관찰자의 우월감
2) 해방과 위안
3) 사회적 차원
4) 극작술적 차원

Ⅲ. 희극의 분류
1. 상황희극(comedy of situation)
2. 성격희극(comedy of character)
3. 사상희극(comedy of ideas)
4. 풍속희극(comedy of manners)
5. 사회희극(social comedy)
6. 낭만희극(romantic comedy)
7. 절망희극(black comedy)

Ⅳ. 왕정복고시대의 희극

Ⅴ. 18세기초의 희극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해서 그는 감상주의(sentimentalism)는 단순히 겉으로 드러난 요소 보다는 그 요소를 다루는 방식이라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감상극은 극작가가 잠재적으로 감상적인 상황을 반복적이고 질질 끄는 식으로 취급할 때 만들어진다. 그리고 감상극은 저속한 언어와 유머를 피했는데 그것은 그런 것들이 감상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내는데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정과 감상극의 목적인 찬미를 자아내도록 관객들을 강조와 지시에 의해서 이끌고 갔다. Sherbo에게는 Love\'s Last Shift가 이러한 특징이 없기 때문에 그 극의 도덕적 결말에도 불구하고 감상극으로 분류될 수 없었다. 우리는 이 극이 처음으로 상연된지 거의 100년 후에 이 극은 청중들을 감동시켜 눈물에 젖게한다는 Thomas Davies의 증언만을 갖고 있을 뿐이다.
또 다른 현대 학자인 John Loftis는 \'희곡에 그런 장르는 업다\'고 말하면서 감상극이라는 용어 자체를 부인했다. 18세기 의미의 감상주의는 단순히 많은 다른 종류의 희극의 양상일 뿐이다. 감상극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사실과는 반대되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부수적인 특징들을 갖고 있는 많은 수의 희극들을 잘못 인도하고 있다. 그는 1710년 프랑스와의 휴전이 있은 후에 특히 경제적 부의 사회적 결과로 증가하는 연극에 대한 관심과 귀족계급과 새롭게 중요한 지위로 떠오른 상인 계급 사이의 경쟁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등의 희극에 있어서의 점진적인 변화를 발견했다. 1693년부터 1710년 까지의 왕정복고 기간에도 한량, 얼간이, 오쟁이진 남편, 바람둥이 여자의 전형적인 인물유형은 전통적인 상인과 시민에 대한 조소와 함께 무대에서 계속 살아남았다. 잘 알려지지 않은 극에 등장인물로 나타나는 많은 어리석은 상인들은 낡은 농담을 비웃는 관객들의 능력만큼이나 사회적 경쟁관계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잘 보여 준다. 그러나 태도에 있어서 상인과 시골 지주 계급에 대한 전통적인 경멸이 없어지는 변화는 1713년의 Utrecht 조약이 있은 후에 일어났다. 이 조약이 체결된 이유는 정치적으로는 권력이 귀족으로부터 의회로 옮겨가고, 경제적으로는 증가하는 인구와 무역의 안정성이 영국을 상인의 나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Cibber, Mrs. Centlivre, Steele와 Addison은 그들의 극속에서 상인들을 잘 대우하는 길을 열어 놓았다. Roftis 교수는 1728년 후에 풍자극의 왕정복고적 전통이 감상극과 대체되었다고 본다. Steele이 매우 중요한 인물이 된 것은 그의 극이 너무나 정교해서 웃음을 자아내게 할 수 없기 때문이 아니라 많은 분야에서 그러한 변화를 꾀하려는 노력과 사회적 양심을 자극했기 때문이다.
18세기에 새로운 비극은 쉽게 단순히 엘리자베스적이고 신고전주의적인 전통에 대한 반향에 불과했다. 그러나 새로운 희극은 Defoe, Richardson과 Fielding의 소설에서 보여주는 뚜렷이 지적이고 사회적이고 그 당시의 도덕적 쟁점을 담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희극은 오늘날 우리가 그것을 희극으로 간주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선견적이고 창조적이었다. 그것은 점점 더 인간의 완전성에 대한 개념을 받아들였다.
참고문헌
김용락 : 현대희극과 연극의 이해, 고글
민병욱 : 현대희극론, 삼영사
아리스토파네스 외, 나영균 역 : 그리스 희극, 현암사
이덕수 : 희극적 갈등양식과 셰익스피어 희극,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4
이용관 : 셰익스피어 희극읽기 그리고 거스르기, 동인, 2000
앙리 베르그송, 정연복 역 : 웃음-희극성의 의미에 관한 시론, 세계사, 1992
홍기영 : 셰익스피어 희극의 세계, 만남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