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침을 하거나, 울거나, 말을 할 수 있고, 호흡곤란이 심하지 않으면 얼굴을 땅을 향해 엎드리게 하고 곧 병원으로 데리고 간다.
② 호흡곤란이 심하여 얼굴이 새파랗게 되고 숨을 쉬지 못하게 되면 119구조대나 구급차를 부른다.
③ 하임리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손은 엄지손가락 부분이 아이의 배꼽과 횡경막 사이의 위장부분을 누르도록 주먹을 쥐어 대고 다른 한 손은 그 주먹을 덮듯이 꼭 잡는다. 그 다음 껴안은 두 손으로 융의 위장을 우로 밀어 올리듯 꾹 누른다.
11) 독극물을 먹었을 때
① 유아가 독극물을 먹었거나 먹었다고 의심이 되는 상황에서 유아로 하여금 무엇을 먹었는지를 의식을 잃기 전에 말하게 하거나 가리켜보게 한다.
② 119구조대나 가까운 병원의 응급실로 전화를 해 유아가 먹었거나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독극물의 종류를 말한다.
③ 유아들이 먹은 독극물이 표백제, 제초제 등의 부식성 독극물이면 절대로 토하게 해서는 안 되며 가능한 빨리 병원으로 가야한다.
④ 일반 독극물을 먹은 것이 확실한 경우에는 이페칵 시럽이나 소금물 등을 먹여 토하게 한 다음 병원으로 데리고 간다.
⑤ 먹었을 것으로 간주되는 독극물의 잔여분을 챙겨 두거나 잔여분이 없을 때에는 빈병이라도 챙겨두어야 한다.
12) 코피가 날 때
①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코 앞쪽 알 부분을 5분정도 쥔다.
② 차가운 얼음 물수건을 코에 대어 혈액의 응고를 도와준다.
13) 남자 아동의 성기가 지퍼에 끼었을 때
① 쇠 자르는 가위가 있으면 지퍼를 잘라 낼 수 있으나 위험하므로 가능한 성기나 지퍼를 건드리지 말고 병원 응급실로 데리고 간다.
② 병원으로 가는 동안 유아가 참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얼음조각을 성기에 대준다.
14) 동물이나 벌레에 물렸을 때
① 모기에게 물린 경우나 벌에 쏘인 경우 부위를 관찰하여 벌침이 남아 있으면 이것을 제거하고 칼라민 로션이나 묽은 암모니아수를 발라 주고 찬 물수건이나 철음을 천에 싸서 부위에 대어준다.
② 개나 고양이에게 물린 경우에는 상처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처부위를 비누와 물로 씻어 내고 소독된 거즈로 덮어 병원으로 간다.
③ 뱀에게 물렸을 때에는 물린 자국 주위를 깨끗이 닦고 1회용 반창고나 소독된 거즈를 붙여 빨리 병원으로 데리고 간다.
* 주의 점 - 뱀에게 물렸어도 지혈기를 쓰거나, 얼음찜질을 하거나, 독을 빨아내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15) 식중독
- 유아의 증상을 살펴보니 구토, 점액질의 설사, 심한 복통과 함께 38~39℃까지 체온이 오르면 먹이는 것을 즉시 중단하고 병원으로 데리고 간다. 병원으로 갈 때까지 필요하묜 소금을 탄 보리차나 전해질 음료를 먹일 수도 있다.
16) 물에 빠졌을 때
① 물에 빠진 유아를 건져내면, 즉시 평평한 곳에 눕히고 인공호흡을 시작한다.
② 한사람은 인공호흡을, 한사람은 심장마사지를, 다른 한사람은 젖은 옷을 벗기고 담요나 마른 몸을 대어 체온이 떨어지지 않게 해주어야 한다.
③ 머리와 상체를 몸통보다 낮게 옆으로 눕히고 코, 목구멍, 기도에 괴어 있는 물이 흘러나오게 한다.
② 호흡곤란이 심하여 얼굴이 새파랗게 되고 숨을 쉬지 못하게 되면 119구조대나 구급차를 부른다.
③ 하임리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손은 엄지손가락 부분이 아이의 배꼽과 횡경막 사이의 위장부분을 누르도록 주먹을 쥐어 대고 다른 한 손은 그 주먹을 덮듯이 꼭 잡는다. 그 다음 껴안은 두 손으로 융의 위장을 우로 밀어 올리듯 꾹 누른다.
11) 독극물을 먹었을 때
① 유아가 독극물을 먹었거나 먹었다고 의심이 되는 상황에서 유아로 하여금 무엇을 먹었는지를 의식을 잃기 전에 말하게 하거나 가리켜보게 한다.
② 119구조대나 가까운 병원의 응급실로 전화를 해 유아가 먹었거나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독극물의 종류를 말한다.
③ 유아들이 먹은 독극물이 표백제, 제초제 등의 부식성 독극물이면 절대로 토하게 해서는 안 되며 가능한 빨리 병원으로 가야한다.
④ 일반 독극물을 먹은 것이 확실한 경우에는 이페칵 시럽이나 소금물 등을 먹여 토하게 한 다음 병원으로 데리고 간다.
⑤ 먹었을 것으로 간주되는 독극물의 잔여분을 챙겨 두거나 잔여분이 없을 때에는 빈병이라도 챙겨두어야 한다.
12) 코피가 날 때
①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코 앞쪽 알 부분을 5분정도 쥔다.
② 차가운 얼음 물수건을 코에 대어 혈액의 응고를 도와준다.
13) 남자 아동의 성기가 지퍼에 끼었을 때
① 쇠 자르는 가위가 있으면 지퍼를 잘라 낼 수 있으나 위험하므로 가능한 성기나 지퍼를 건드리지 말고 병원 응급실로 데리고 간다.
② 병원으로 가는 동안 유아가 참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얼음조각을 성기에 대준다.
14) 동물이나 벌레에 물렸을 때
① 모기에게 물린 경우나 벌에 쏘인 경우 부위를 관찰하여 벌침이 남아 있으면 이것을 제거하고 칼라민 로션이나 묽은 암모니아수를 발라 주고 찬 물수건이나 철음을 천에 싸서 부위에 대어준다.
② 개나 고양이에게 물린 경우에는 상처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처부위를 비누와 물로 씻어 내고 소독된 거즈로 덮어 병원으로 간다.
③ 뱀에게 물렸을 때에는 물린 자국 주위를 깨끗이 닦고 1회용 반창고나 소독된 거즈를 붙여 빨리 병원으로 데리고 간다.
* 주의 점 - 뱀에게 물렸어도 지혈기를 쓰거나, 얼음찜질을 하거나, 독을 빨아내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15) 식중독
- 유아의 증상을 살펴보니 구토, 점액질의 설사, 심한 복통과 함께 38~39℃까지 체온이 오르면 먹이는 것을 즉시 중단하고 병원으로 데리고 간다. 병원으로 갈 때까지 필요하묜 소금을 탄 보리차나 전해질 음료를 먹일 수도 있다.
16) 물에 빠졌을 때
① 물에 빠진 유아를 건져내면, 즉시 평평한 곳에 눕히고 인공호흡을 시작한다.
② 한사람은 인공호흡을, 한사람은 심장마사지를, 다른 한사람은 젖은 옷을 벗기고 담요나 마른 몸을 대어 체온이 떨어지지 않게 해주어야 한다.
③ 머리와 상체를 몸통보다 낮게 옆으로 눕히고 코, 목구멍, 기도에 괴어 있는 물이 흘러나오게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복지사업 일반적인 성격 고찰
학교안전교육과 응급처치
스포츠 안전(ppt)
[아동복지]응급처치
영유아 보육을 위한 건강,영양,안전
성폭력, 아동학대와 폭력시 처치 및 증거관리법 (여성폭력, 노인폭력)
유아화재스포츠동식물안전교육
엠엠씨-아동영양학-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ㆍ유아 건강, 안전, 영양 관리와..
영유아 안전의 정의와 개념을 요약하여 정리하고(10점), 가정이나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발생한...
차량 안전
아동 약물오남용(아동건강교육, 약물안전교육, 실태및유형, 예방, 응급조치, 안전교육)
[유아교육과 A형] 2세를 위한 안전교육을 계획하시오. (표준보육과정내용 포함, 환경구성, ...
호텔 고객안전관리[호텔보안.고객재산보호.key관리.사건.사고처리.응급환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