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화][구어 음소와 대응되는 수화소][수화 기호구성방법][수화사용 시 주의사항]수화의 발생,기원, 수화의 특징, 수화의 필요성, 구어의 음소와 대응되는 수화소, 수화의 기호구성방법, 수화사용 시 주의사항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화][구어 음소와 대응되는 수화소][수화 기호구성방법][수화사용 시 주의사항]수화의 발생,기원, 수화의 특징, 수화의 필요성, 구어의 음소와 대응되는 수화소, 수화의 기호구성방법, 수화사용 시 주의사항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수화의 발생과 기원
1. 외국
2. 우리나라

Ⅲ. 수화의 특징
1. 국어와 일치도
1) 자연수화
2) 문법적 수화
2. 이해의 용이성
1) 자연수화
2) 문법적 수화
3. 지문자 사용
1) 자연수화
2) 문법적 수화
4. 국어병용
1) 자연수화
2) 문법적 수화

Ⅳ. 수화의 필요성

Ⅴ. 구어의 음소와 대응되는 수화소
1. 수형
2. 수위
3. 수동
4. 수향
5. 체동

Ⅵ. 수화의 기호구성방법
1. 지사
2. 모방
3. 상형
4. 형지
5. 형동
6. 회의
7. 전주

Ⅶ. 수화사용 시 주의 사항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체중 시각적 변별력을 가지는 일부의 특징을 그려 보이는 것도 있다. 또 관련있는 대상을 묘사하는 것, 한자로 직접 공소하거나, 낱말의 부호를 써보이거나, 지문자를 써보이기거나, -고의 기호와 같이 한글 자모의 첫 글자를 써보이는 것도 있다. 낱말이 의미하는 대상의 형체나 그 형체의 변별 자질을 손이나 손가락으로 나타내는 것을 상형이라고 한다면 상형도 수화의 기호를 구성하는 한 방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4. 형지
비탈이나 모퉁이의 기호와 같이 낱말이 의미하는 대상의 형체를 만들어 보이고 그것을 가리키는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호도 있다. 대상의 형체를 만들어 보이고 그것을 가리키는 동작을 해 보이는 것을 형지라 한다면, 형지도 수화의 기호를 구성하는 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5. 형동
잠자리, 코끼리의 기호화 같이 낱말이 의미하는 대상의 형체나 그 일부를 만들어 그 대상이 하는 동작을 해 보이는 것도 있다. 대상의 형체나 그 일부를 만들어 그 대상이 하는 동작을 해 보이는 것을 형동이라 한다면 형동도 수화의 기호를 구성하는 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6. 회의
둘 이상의 형태소를 합쳐 다른 의미를 가지는 낱말의 기호를 만드는 것을 회의라 한다.
7. 전주
교사의 뜻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가 교원, 교육자, 사범, 스승, 선생 등의 뜻을 나타냄에 쓰이듯이 기존의 기호가 그것이 의미하는 낱말의 동의어나 유사어의 뜻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또 쉽다의 뜻을 가진 한자 이(易)가 바꾼다의 뜻을 나타냄에 쓰이듯 기존 기호의 의미가 전이되어 다른 뜻을 가진 낱말의 기호로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수화에도 한자 운용방법과 같은 전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Ⅶ. 수화사용 시 주의 사항
수화 동작의 범위는 가슴 앞에서 양어깨를 기준으로 필요에 따라 큰 동작과 작은 동작으로 절도 있게 해야 한다. 지화를 쓸 경우 반드시 오른손을 사용하여 천천히 한 음절씩 또박 또박 써야하며, 손의 위치와 모양, 방법을 정확히 해야 한다. 수화를 처음 시작하게 될 때는 상대편의 손동작을 보게 되지만 차츰 수화가 익숙해짐에 따라 서로의 표정을 보며 대화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수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자신의 의사전달이 음(音)이 아니고 감정(感情)이라는 점을 주의하여 표정과 제스처를 풍부하게 표현해야 한다. 수화는 영어와 같이 존대어가 따로 없어, 간단히 이야기하는 것이 상례이므로 윗사람과 대화를 할 경우에는 몸의 자세와 표정을 공손하게 하여 존대의 의미를 나타낸다. 수화는 조사가 대부분 생략되어 있으며 명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등의 품사가 관여하지 않고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1) 활동 = 활동하다 = 활동하게 / 건강 = 건강하다 = 건강한
(2) 생략되는 조사 (-은, 는, 이, 가 , 을, 를, 로, 에게)
(3) 했다 - 하다 + 끝 / 먹었다 - 먹다 + 끝
(4) 안 간다 - 가지 않는다 / 안 한다 - 하지 않는다
단어나 문장에 알맞은 수화 표현이 없을 경우에는 지화로 사용하거나 적절한 수화로 의역한다.
참고문헌
- 김칠관(2000), 수화학습과 수화통역, 제 4회 수화통역사 자격인정시험 합격자연수, 한국농아인 협회
- 김병하(1979), 특수교육의 역사적 이해, 형설출판사
- 박인기(2000), 청각장애인에 대한 이해, 수화강사양성반, 청음회관
- 석동일(1990), 청각장애아의 언어 발달과 지도, 대구대학교 출판부
- 이주애(2005), 한국 수화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나사렛대 재활복지대학원
- 원영조 외 3명(1992), 청각장애아 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4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