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적아구성 빈혈 케이스스터디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거대적아구성 빈혈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례제시

2. 사례에서 문제와 관련된 의미 있는 정보 찾기

3. 문제로부터 유추한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방법
6) 치료방법

4. 그 질환의 주요 간호문제와 중재방법
1) 주요 간호문제
2) 중재방법

5. 사례에서 나타난 주요 간호문제와 간호중재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론적 근거
환자의 질병, 치료 및 간호방법, 예후에 대해 가족을 교육한다.
질병에 대한 이해는 더 좋은 협조를 유도할 수 있다.
상황이 허락하면 보호자가 간호에 참여하도록 돕는다.
보호자는 간호에 참여함으로써 위안을 받을 수 있으며 퇴원 후의 요구를 평가할 수 있다.
지지적이고 정보제공적인 가족교육을 한다.(질병과정 및 가정간호)
지지와 교육으로 중요한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5. 사례에서 나타난 주요 간호문제와 간호중재
간호진단 1) 어지러움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사정
주관적자료
“으앙!”
“아이가 잘 놀다가 주저 앉아요.”
“또래에 비해 활동적이지 않아요.”
객관적자료
· Hb: 7dL
· MCV: 110fL
· 피부가 창백함
간호목표
·장기목표: 환아는 퇴원 시까지 신체손상이 없을 것이다.
·단기목표: 환아는 7일 이내에 Hb수치가 정상을 유지할 것이다.
계획
·2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활동을 제한하고 침상안정을 시킨다.
·환아의 혈액검사(Hb, MCV) 결과를 확인한다.
·손상을 대비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어지러운 증상이 보이면 머리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잠시 누워 쉬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빈혈이 일어나면 혈압이 감소하고 맥박이 증가하여 호흡수가 증가할 수 있다.
·침상안정은 조직의 산소요구량을 줄인다.
·검사결과 수치를 확인하여 혈액상태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어지러움으로 인한 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베개 없이 누워있는 것은 뇌에 혈액 및 산소공급을 증가시켜 어지럼증을 덜어준다.
수행
·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AM 10:00
PM 12:00
PM 2:00
PM 4:00
BP: 95/60mmHg
P: 120회/분
R: 28회/분
T: 37.2℃
BP: 95/65mmHg
P: 115회/분
R: 30회/분
T: 37.2℃
BP: 90/60mmHg
P: 115회/분
R: 30회/분
T: 37.0℃
BP: 95/65mmHg
P: 120회/분
R: 25회/분
T: 37.1℃
· 활동을 제한하고 침상안정을 시켰다.
· 환아의 헤모글로빈과 MCV수치를 확인하였다.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Hb: 7g/dL
MCV: 110fL
Hb: 9g/dL
MCV: 100fL
Hb: 10g/dL
MCV: 90fL
Hb: 10g/dL
MCV: 95fL
Hb: 11g/dL
MCV: 82fL
Hb: 13g/dL
MCV: 72fL
· 손상을 대비하여 side rail을 올리는 등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 어지러운 증상이 보이면 머리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잠시 누워 쉬도록 하였
다.
평가
· 환아는 퇴원시까지 신체손상이 없었다.
· 환아는 7일이내에 Hb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간호진단 2) 아동의 신체적 위험과 관련된 가족의 비효율적 대응
사정
주관적자료
· “우리 아이가 아픈 게 제가 제대로 돌보지 못해서 그런 건가요?”
· “아이가 아픈데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겠어요.”
객관적자료
· 환아의 질병에 대해 혼란스러워 하는 모습이 관찰됨
· 보호자는 스스로 자책하는 모습을 보임
간호목표
·장기목표: 보호자는 퇴원 시까지 환자의 질병, 치료 및 예후를 이해하고 계
속적인 간호와 지지를 제공할 것이다.
·단기목표
① 보호자는 3일 이내에 현재의 부담감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으며 대
처법을 2개 이상 말할 수 있을 것이다.
② 보호자는 3일 이내에 치료과정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치료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계획
·환아의 질병, 치료 및 간호방법, 예후에 대해 가족을 교육한다.
·지지체계 자원의 활용을 격려한다. (친정부모와 시댁부모, 주위경험자 등)
·환아에 대한 보호자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준다.
·가족원들이 모여 환자간호에 대해 스스로 계획하고 분담하여 상호지지를 하도록 도와준다.
·보호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자기 시간을 갖도록 격려한다.
·가족 스트레스와 대처기술, 가족기전, 건전한 가족의 기능 등에 관한 교육을 한다.
이론적
근거
·질병에 대한 이해는 더 좋은 협조를 유도할 수 있다.
·적절한 자원은 가족의 효율적인 상황대처에 도움을 준다.
·지지적 상담의 첫 단계는 환아와 가족의 감정을 찾아 내어 해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처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보호자의 삶도 존중되어야 긍정적 사고를 할 수 있다.
·가족의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 시킨다.
수행
· 환아의 질병, 치료 및 간호방법, 예후에 대해 가족을 교육하였다.
· 친정부모와 시댁부모, 동일질병 환아 공동치료 모임 등에 의뢰하여 협
조를 받거나 지지체계 자원의 활용을 격려하였다.
· 환아에 대한 보호자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매일 30분씩 심리상담치료를
하였다.
· 가족원들이 모여 환자간호에 대해 스스로 계획하고 분담하여 상호지지를
하도록 도와주었다.
출생시 32주 1.8kg
저체중아 성장곡선50번째
24개월,12kg --50%
(교정연령22개월)
· 보호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독서나 운동 등 자기 시간을 갖도
록 격려하였다.
· 가족 스트레스와 대처기술, 가족기전, 건전한 가족의 기능 등에 대해 교육
하였다.
① 자신의 감정을 찾아내어 해소하도록 하였다.
② 기분전환 요법, 신체적 운동 등의 대처기술을 제공하였다.
③ 두려움이나 걱정을 표현하고, 질문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
· 보호자는 퇴원 시까지 환자의 질병, 치료 및 예후를 이해하고 계속적인
간호와 지지를 제공하였다.
· 보호자는 3일 이내에 현재의 부담감에 대해 말로 표현하였고, 대처법을 2
개 이상 말하였다.
· 보호자는 3일 이내에 치료과정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치료에 참여하였
다.
5. 참고문헌
김금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영혜, 오진아, 서연옥 외. (2021). 아동간호학 (제11판). 현문사.
조결자, 김계숙, 송미순 외. (2020). 아동건강간호학 (제10판). 수문사.
김희순, 고성희, 문영임 외. (2019). 아동간호학 매뉴얼 (제6판). 군자출판사.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5.07.19
  • 저작시기202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4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