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기초자료
1.출생력 …………………………………………
2.건강력 …………………………………………
3.사회력 …………………………………………
4.일상적 관리 …………………………………
5.신체사정 ………………………………………

Ⅱ. 임상별리 결과 보고서 ……………

Ⅲ. 간호과정 적용 …………………………

Ⅳ. 사례연구 후 결론 ……………………

Ⅴ. 참고문헌 …………………………………

본문내용

있다.
MCH는 한 개의 적혈구 안에 들어있는 평균 Hb치를 나타내는 데 증가하면 거대적아구성 빈혈, 재생 불량성 빈혈의 위험이 있다.
Bilirubin의 증가는 신생아황달의 위험이 있지만 정상 만삭아에게도 자주 나 타난다. 이 때 황달 평가에서 중요한 것은 혈청 빌리루빈의 정도 뿐만 아니 라 황달이 나타나는 시기, 분만시의 제대기간, 생후 며칠된 신생아인가, 혈 청빌리루빈 정도의 증가 등을 포함해야 한다.
lll. 건호과정 적용 (3/7)
간호사정
객관적
아기가 몸을 부들부들 떤다. 3/7 pm 체온 36도 이다.
아기가 차고 축축하다.
간호진단
오한과 관련된 비효율적 체온조절
간호목표
단기목표
3/7 pm 17:00 체온이 37.0~37.5도로 유지하게 한다.
장기목표
퇴원전까지 안정된 체온을 유지한다.
(36.5~37.5도)
간호계획
치료적
가습된 보육기에 눕힌다.
따뜻한 개방침대에 눕힌다.
가온기의 온도와 관련된 영아의 체온을 측정한다.
진단적
v/s 을 매 2시간마다 check 한다.
체온은 매 1시간마다 check 한다.
매 2시간마다 I/O check 한다.
수분섭휘를 증가시킨다.
간호수행
pm15:00 보육기의 온도와 영아의 체온 온도와 비교한 결과 같은 것을 관 찰한다. 체온 측정결과 36.5도이다.
pm15:30 SOW 10cc 먹였다.
pm16:50 목욕을 5분안에 시키고 영아를 수분없이 깨끗하게 말렸다.
pm17:20 영아의 활력증후를 한 결과 심박수 142. 호흡 47, 체온 36.9도 였다.
pm17:55 영아가 울어 엄마에게 데려가 안기게 함. 안정중임.
pm18:30 영아를 감싼 융포가 풀어져서 다시 제대로 감쌈.
pm19:00 영아의 활력증후를 check한 결과 심박수 144, 호흡 43, 체온 37.0도 였다.
이론근거
아기는 체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목욕을 5분안에 시켜서 저체온증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영아가 울때 엄마에게 데려가 안기게 하면 엄마의 체온과 맞닿아 영아의 체온도 비슷해지면서 안정을 느낄 수 있다. 오한과 Hematocrite 가 낮아지면 탈수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수분섭취를 증가시켜야 한다.
간호평가
및 재계획
pm15:00 보육기에 넣었을 때 체온 36.5도가 pm17:20의 활력증후 결과 체온 36.9도로 체온이 정상으로 점차 돌아온 것을 알 수 있다.
간호사정
객관적: 아기의 엉덩이가 붉게 발적 되었으며 특히 기저귀를 채우는 부 분이 심하게 빨갛게 되어있다.
3/9 변 배설량 총 횟수 15번으로 보통 신생아들보다 많은 횟수
의 변을 보았다. 소변량도 많아 기저귀를 갈 때 항상 기저귀가
젖어있다.
간호진단
과다한 배설량과 관련된 둔부의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3/10 까지 아기의 엉덩이가 깨끗하고 뽀송뽀송한 상태이며 발진이 줄어 든다.
장기목표
퇴원할 때까지 피부주위에 발진이나 상처가 없도록 한다.
간호계획
치료적
기저귀 발진을 줄이기 위해 보소미 크림을 기저귀를 갈 때마다 발라준다.
목욕 후 둔부를 깨끗이 말려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진단적
피부 손상 위험을 기저귀 갈 때나 수유할 때 수시로 한다
체위변경을 적어도 2시간마다 한다.
간호수행
am12:50 아기를 깨끗한 물과 베이비 워시로 피부를 깨끗이 씻겼다.
pm13:15 아기가 울어서 기저귀를 갈아주며 묽은 대변을 본 것을 확인 하고 피부를 관찰하였다. 둔부 쪽이 빨갛게 일어났다.
pm14:00 아기의 체위를 변경시켰다. (좌측와위에서 우측와위로)
pm15:30 기저귀 발진이 있어 보소미 크림을 apply 했다.
보호자 기저귀 발진에 대해 설명해 달라 하여 by Dr 장성희 과장님 보호자에게 설명하고 괜찮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보호자 설명에 수긍했으며 안심했다.
pm16:00 아기의 체위를 변경시켰다. (우측와위에서 좌측와위로)
pm16:50 아기가 울어서 기저귀를 확인하고 소변과 대변이 묻어있는 것 을 확인했다. 물티슈로 둔부를 깨끗이 닦아주었으며 보소미 크 림을 면봉으로 발라주었다.
-이후 기저귀를 갈 때마다 수시로 물티슈로 깨끗이 닦아주고 보소미크림을 면봉으로 발라주었으며 기저귀를 너무 꽉 조이지 않게 여유있게 채워주었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시켜주었다.
이론적근거
기저귀 발진은 많은 배설량일 때 건조하지 못하고 습한 상태이기 때문에 잘 생기며 기저귀를 잘 갈아주고 엉덩이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시켜야 예방할 수 있다.
간호평가
및 재계획
3/11 아기의 기저귀를 갈아줄 때 엉덩이의 기저귀 발진의 면적과 색깔이 연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간호과정 적용 (3/9)
Ⅳ. 사례연구 후 결론
학교에서 아동 시간때 배운 이론을 신생아실에서 다시 확인하게 되고 다시금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된 것 같다.
막연하게 신생아의 신체계측 정상범위와 대천문, 소천문, 신생아 황달 등등 어렵게만 생각했던 내용이었는데 직접 측정도 하고 직접 만져도 보면서 이론을 실습을 통해서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었다.
처음에는 아기라 의사소통도 안되고 무엇이 문제인지 몰라 한동안 애 먹었는데 차츰 여유가 생기고 아기를 자세히 관찰해 보니 아동시간에 배웠던 뱉어내기, 역류 등의 증상을 아기가 보이는 것을 보고 신기했다.
아기 수유를 시키지 않으면 아기가 소화를 못시켜서 다시 분유를 역류해내고 뱉어낸다는 것을 직접 보고 알았다.
내가 케이스한 아기는 만삭아로 아프가 점수도 9~10 점 이었다. 매우 건강한 줄만 알았는데 기저귀를 갈아줄 때 보니 빨갛게 일어나 있는것이 아닌가. 바로 기저귀 발진이었다. 아기들은 피부가 약해서 발진이 잘 일어날 수 있고 특히나 기저귀를 자주 갈아주지 않거나 습하게 하거나 배설량이 많으면 특히나 발진이 잘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아기는 퇴원할 때쯤 발진이 굉장히 많이 없어졌으며 상대적으로 깨끗한 엉덩이의 모습을 보였다.
이번 실습으로 인해 신생아에게 자주 나타날 수 있는 특징과 간호에 대해 자세히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아 무척 기쁘다.
Ⅴ. 참고문헌
아동 간호학 총론, 현문사, 유해영,
아동 간호학 총론, 현문사, 유해영,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 현문사, 김정순,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2.0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91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