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간]뇌성마비case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간]뇌성마비c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체 및 발달사정
2. 장애아동 특성 이해
3. 장애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간호과정

본문내용

( s / o )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평 가
o.
-강직성 뇌성마비아동
-왼쪽 골반 탈골.
- 왼쪽 오른쪽 다리 길이가 다름. 오른쪽 다리 길이가 더 길다.
- 신체가 오른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다리가 가위 모양을 하고 있다.
- ROM 범위와 저항성을 능력내에서 최대한으로 증진시킨다.
- 더 이상의 관절의 변형과 기형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
1. 해당 관절의 ROM을 적어도 하루 1회 이상 수행 한다. ( 수동 적 운동에서 능동적인 운동으로 진행시킨다.)
2.ROM운동이 가정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법을 가족에게 교육한다.
3. 보조기를 정확하게 착용하고 사용한다.
4. 적합한 일렬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체위를 취한다.
5. 무릎이 구부러진 상태로 변형되지 않도록 무릎에 배개 같은 것을 대주어서 펴질 수 있도록 한다.
6. 발뒤꿈치에 발판을 대어 발목이 펴진채로 변형 되는것을 막는다.
1-2. 근육을 강회 시키고 관절응고와 경축을 예방한다.
3. 적절한 보조기 사용은 바른 자세를 유지 시켜 줄 수 있다.
4. 더 심한 척추 손상, 경축 관절응고 되는 것을 막아준다.
5. 가위모양으로 다리가 변형되는 것을 막는다.
6. 수족신경과 족근굴근의 마비를 예방한다.
-ROM 범위와 저항성을 능력내에서 최대한으로 증진되고 유연함을 보였다.
# 뇌성마비의 활동제한으로 인한 성장발달 장애 위험성
자 료
( s / o )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평 가
O : -몸구르기와앉는 행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근육의 굴곡 불가능.
-운동기술의 학습을 위한 조정이 부족함
- 언어, 운동결핍과 관련된 제한적 사회적 놀이 기회를 가짐.
- 연령에 적절한 기술을 성취하고 참여할 수 없음.
-아동은 질병의 제한된 한도내에서 나이에 적합한 발달과업을 나타낼 것이다.
1. 아동에게 다양한 자극을 제공한다.
2. 아동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고 발달을 자극할 수 있는 여러 아동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놀이활동을 시행한다.
3. 아동에게 적절한 교육을 실시한다.
1. 다양한 자극제공을 통해 아동의 감각적 발달이 증가된다.
2. 놀이활동을 통해 아동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으며 여러 아동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지적, 운동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3. 적절한 교육을 통해 지적능력을 점차적으로 개발해 갈 수 있다.
-아동은 한도내에서 적합한 발달과업을 나타낸다.
# 신체적 기형과 관련된 신체상 장애위험성
자 료
( s / o )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평 가
O :
-긴장성 움직임을 보임.
- 신체적 기형은 지적, 정서.사회적 기능 장애를 동반한다고 보는 일반적인 경향이 있음
- 운동.언어 행위의 어려움으로 인해 좌절감을 맛볼 수 있음.
-
아동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신체상을 가질 것이다.
1. 아동은 의료인의 태도에 민감하므로 수용적 태도로 대한다.
2. 긍정적 자아상을 갖도록 격려하기 위해 아동의 강점을 활용하고, 부담감에 대해 보상해 준다.
3. 아동이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달성한 일에 대해 칭찬해 준다.
4. 아동과 함께 성공을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이나 목표를 설정한다
5. 아동이 정상적인 친구들과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1. 의료인의 태도로서 아동이 낮은 자존감, 열등의식을 가지지 않도록 한다.
2, 3 격려와 칭찬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할 수 있다.
4. 성취감을 형성할 수 있고 다른 행동에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5. 아동이 "혼자만 장애아"라는 생각이 아니라 정상아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열등의심과 낮은 자존감 등을 가지지 않도록 해준다.
-아동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 신체상을 가진다.
# 부모역할 장애의 위험성 : 애착행위의 장애
자 료
( s / o )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평 가
o.
-난산으로 인한 뇌성 마비
-센터에 오기 전 까지 누어서만 생활하였고 집에서도 대부분 누워있다고 함.
-치아관리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
가정에서도 적절한 간호가 이루어 질 것이다.
1. 부모를 사정하고 감정을 솔직히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가정에서의 간호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아동과의 애착행위로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교육한다.
3. 부모에게 가정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관절운동, 체위변형, 복부마사지 등을 교육한다.
3. 자조 그룹을 소개해 준다.
4. 센터에서의 아동의 활동에 부모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1. 부모의 아동에 대한 애착형성이 어떤지 사정해 보고 장애아동의 부모로서 느끼는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문제점을 사정할 수 있다.
2. 부모에게 치료나 변형의 진행 등을 막는 것 뿐만 아니라 아동과의 접촉과 활동을 통해 애착도 형성할 수 있음을 알게 할 수 있다.
3. 자조 그룹을 통해 다른 부모들의 활동을 알 수 있고 더 나은 방법 등을 알 수 있다.
4. 부모가 함께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어떤 활동등을 행할 수 있을지도 알 수 있고 센터에서 아동의 활동과 모습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가정에서도 아동에게 적절한 간호가 이루어 진다.
결론 및 제언
강직성 뇌성마비 아동으로서 뇌성마비의 특징적인 소견들을 여러 가지 볼 수 있었다. 인지능력이 있었고 표현언어로써 눈짓, 눈깜빡임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앞으로도 교육을 통해 다양한 신호언어의 개발이 필요할 것 같다.
참고 문헌
김강미자 외/ NANDA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06년.
최정신 외/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현문사/2004년
Adele Pillitteri/아동건강 간호학 2/군자출판사/2006년
조결자 외/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 1/현문사/1999년
김미예 외/아동의 성장발달과 간호/군자출판사/2007년
김영혜 외/아동간호 총론/현문사/2003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7.19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0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