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강박장애
2. 강박장애의 원인
① 신경전달물질
② 유전적 요인
③ 학습이론적 관점
3. 강박장애의 진단기준
4. 강박장애의 증상
5. 강박장애와 관련된 방어기전
①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② 퇴행(regression)
③ 격리(isolation)
6. 강박사고의 종류와 강박행동
① 조절력 상실과 종교적 걱정
② 해로움 피해
③ 원치 않는 성적 생각
④ 완벽주의
⑤ 폭력
⑥ 오염
⑦ 미신
7. 강박장애의 공병
① 기분장애
② 다른 불안장애
③ 정신증
④ 신체이형장애
⑤ 소아청소년 정신질환
8. 강박장애 치료
① 약물치료
② 인지행동치료
③ 행동치료
④ 수술적 치료
9. 간호 과정
2. 강박장애의 원인
① 신경전달물질
② 유전적 요인
③ 학습이론적 관점
3. 강박장애의 진단기준
4. 강박장애의 증상
5. 강박장애와 관련된 방어기전
①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② 퇴행(regression)
③ 격리(isolation)
6. 강박사고의 종류와 강박행동
① 조절력 상실과 종교적 걱정
② 해로움 피해
③ 원치 않는 성적 생각
④ 완벽주의
⑤ 폭력
⑥ 오염
⑦ 미신
7. 강박장애의 공병
① 기분장애
② 다른 불안장애
③ 정신증
④ 신체이형장애
⑤ 소아청소년 정신질환
8. 강박장애 치료
① 약물치료
② 인지행동치료
③ 행동치료
④ 수술적 치료
9. 간호 과정
본문내용
을 확인 하도록 대상자를 돕는다.
수행
①대상자와 대화시 차분한 태도를 유지했다.
②대상자가 불안해하면 대상자 곁에 있어주었다.
③과도한 에너지를 풀기 위한 발산 수단을 제공했다.(예: 걷기, 탁구, 무용, 운동 등)
④역할극, 행동 모방을 통해 문제의 다른 해결책을 개발하도록 도와주었다.
⑤불안 고조의 증상 및 증후, 불안의 진행을 막기 위한 방법에 대해 교육했다.
⑥불안 발생 직전의 생각이나 감정을 확인하도록 환자를 도와주었다. (“불안한 감정 을 느끼기 직전에 무슨 생각을 했나요?”)
⑦대상자의 걱정 또는 근심에 관해 이야기하도록 격려했다.
⑧대상자와 대화시 통로를 차단하지 않고 환자의 걱정에 초점을 두고 대화하였 다.
⑨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을 예견하였다.
⑩대화 시 명료화하도록 다음과 같이 요청하였다.(“당신이 말하는 것이 무슨 뜻인 지 확신이 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주시겠어요?”)
평가
① 대상자는 6개월 이내에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적응적인 방법을 보였다.
② 대상자는 6개월 이내에 강박적사고와 의식행위를 중단하는 방법을 스스로 시행
하였다.
③ 대상자는 2주일 이내에 불안에 대한 이완 반응을 증진하였다.
④ 대상자는 1주일 안에 불안이 상승될 때에 사용할 중재방법을 말하였다.
⑤ 대상자는 1주일 안에 불안을 고조시키는 원인을 설명하였다.
<동영상 내용>
잡동사니와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고 계속 쌓아두는 것을 저장강박증이라 한다. 미국성인의 2~5%가 저장 강박증 증세를 보이고 있으며 발생빈도도 높아지는 추세이다. 사례로 나온 할머니는 폐지, 쓰레기를 모으는 강박장애이다. 할머니는 불편을 느끼면서도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저장강박증을 보였다. 이로 인해 주변이웃들은 악취, 위생문제뿐만 아니라 화재의 위험에도 노출되어있다. 우리나라 서울에서 저장강박증을 가진 가구는 약 90여 가구이며 대부분 저장강박증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망상이나 다른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 미국정신의학회에서는 저장강박증을 독립된 질병으로 인정한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질병이 아닌 증상으로 여기고 있어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지 못 하고 있다.
참고문헌
박경환 외 (2018). 강박장애의 이해와 치료 (2판). 서울: 학지사.
김수연 외 (2016). 정신간호학 (4판). 서울: 정담미디어.
최명훈 외 (2015). 강박 및 관련장애의 임상적 접근. 서울: 시그마프레스.
김유정 외 (2020). 정신건강간호학 실습서. 서울: 군자출판사.
수행
①대상자와 대화시 차분한 태도를 유지했다.
②대상자가 불안해하면 대상자 곁에 있어주었다.
③과도한 에너지를 풀기 위한 발산 수단을 제공했다.(예: 걷기, 탁구, 무용, 운동 등)
④역할극, 행동 모방을 통해 문제의 다른 해결책을 개발하도록 도와주었다.
⑤불안 고조의 증상 및 증후, 불안의 진행을 막기 위한 방법에 대해 교육했다.
⑥불안 발생 직전의 생각이나 감정을 확인하도록 환자를 도와주었다. (“불안한 감정 을 느끼기 직전에 무슨 생각을 했나요?”)
⑦대상자의 걱정 또는 근심에 관해 이야기하도록 격려했다.
⑧대상자와 대화시 통로를 차단하지 않고 환자의 걱정에 초점을 두고 대화하였 다.
⑨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을 예견하였다.
⑩대화 시 명료화하도록 다음과 같이 요청하였다.(“당신이 말하는 것이 무슨 뜻인 지 확신이 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주시겠어요?”)
평가
① 대상자는 6개월 이내에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적응적인 방법을 보였다.
② 대상자는 6개월 이내에 강박적사고와 의식행위를 중단하는 방법을 스스로 시행
하였다.
③ 대상자는 2주일 이내에 불안에 대한 이완 반응을 증진하였다.
④ 대상자는 1주일 안에 불안이 상승될 때에 사용할 중재방법을 말하였다.
⑤ 대상자는 1주일 안에 불안을 고조시키는 원인을 설명하였다.
<동영상 내용>
잡동사니와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고 계속 쌓아두는 것을 저장강박증이라 한다. 미국성인의 2~5%가 저장 강박증 증세를 보이고 있으며 발생빈도도 높아지는 추세이다. 사례로 나온 할머니는 폐지, 쓰레기를 모으는 강박장애이다. 할머니는 불편을 느끼면서도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저장강박증을 보였다. 이로 인해 주변이웃들은 악취, 위생문제뿐만 아니라 화재의 위험에도 노출되어있다. 우리나라 서울에서 저장강박증을 가진 가구는 약 90여 가구이며 대부분 저장강박증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망상이나 다른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 미국정신의학회에서는 저장강박증을 독립된 질병으로 인정한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질병이 아닌 증상으로 여기고 있어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지 못 하고 있다.
참고문헌
박경환 외 (2018). 강박장애의 이해와 치료 (2판). 서울: 학지사.
김수연 외 (2016). 정신간호학 (4판). 서울: 정담미디어.
최명훈 외 (2015). 강박 및 관련장애의 임상적 접근. 서울: 시그마프레스.
김유정 외 (2020). 정신건강간호학 실습서. 서울: 군자출판사.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간호학 영화 플랜맨 분석보고서 및 강박장애 간호중재강박장애 간호과정 영화 플랜맨
[정신간호학] 영화 플랜맨 간호과정 Concept care mapping 강박장애
[정신건강과간호] 2024년 중간과제물, 1. 에릭슨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1) 각 발달단계의 과제와 갈등 2) 자신의 발달단계를 제시, 수행과제와 일반적인 특징 2. 성격장애가 묘사된 영화를 선정, 성격장애 유형 제시, 영화에서 구체적인 내용이나 특성 설명
정신간호학 영화 속 정신질환 분석 및 강박장애 case study (플랜맨)
정신질환영화분석_강박이똑똑
NP(정신과)-alcoholism(알코올중독)
[A+] 정신간호학 양극성장애 CASE 간호과정
강박증 간호 과정 사례 연구
[영화 분석, 강박장애]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As Good As It Get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