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하 추진위라고 함)
1995.11 : 무라야마 총리의 대북수교 3원칙 발표
경 제
1992 : 버블경제 붕괴
1994.6.22 : 도쿄 외환시장, 1달러=100엔 돌파(고환율 시대)
사 회
(이슈)
1992.10.23 : 천황,황후 첫 중국 방문
1993.11.19 : 환경기본법 공포
1994 : PL법 공포(제조물 책임법)
1995.1.17 : 한신아와지 대지진(진도 7.2, 전후 최대의 참사)
1995.3.20 : 옴진리교 사건 발생(지하철 내부 맹독가스 사린 살포로 11명 사망)
1995.5월 : 지방분권추진법 공포
※ 1999.7월 ‘지방분권의 추진을 위한 관계법률의 정비 등에 관한 법률안 공포
(이후 다년간에 걸쳐 단계적인 지방분권작업 실행)
1995.7.18 : 정부, 전 종군 위안부를 대상으로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 기금」을
설립
국제정세
1991.12.26 : 소련최고회의, 소비에트연방 해체 전언
1996~2000(헤이세이 8년~헤이세이 12년)
분 야
주 요 사 건
정치/외교
1996.4.17 : 하시모토 수상-클린턴 대통령, 안보공동성명
(극동 유사시 대비 일미 안보체제 광역화)
1996 하시모토 내각: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행정개혁 추진: 성,청의 수 축소
(6대개혁: 행정, 재정, 금융, 지방분권, 사회보장, 교육 분야)
1996.10.20 : 제41회 총선거(첫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결과 역대 최저 투표율 기록
1997.9.23 : 신 미일 방위협력지침
1997.11.1 : 크라스노야르스크 합의(하시모토 옐친 플랜(일본의 대러 경협계획))
1998.10 : (김대중, 오부치) 한일 공동선언
1998.11.15 : 장쩌민 중국주석 방일(중국 원수의 최초 일본 방문)
1999.5 : 주변사태안전확보법 제정
1999.7 : 오부치 내각 - 지방분권추진 일괄법 성립(시행은 2000.4.1부터)
2000.5 : 오부치 게이조 수상 재임 중 사망
2000.10월 : 참의원 비례대표 선거에 비구속식 명부제 도입
2000.11 : 모리 내각 - 추진위 시정촌합병요구 의견서 제출
경 제
1997.4.1 : 소비세 5%로 인상
1997.11.17 : 홋카이도 탁쇼쿠 은행 파산(최초의 시중은행 경영 파산)
※ 불량채권 9,349억 엔 확인
1997.11.24 : 야마이치 증권 자주폐업 신청(부채총액 3조 5100억원)
1998.6.22 : 금융감독청 발족
1998.10.23 : 일본 장기신용은행 채무초과로 일시 국유화 신청
1998 : 물품역무융통협정(ACSA)의 개정
1999.8.20 : 다이이치칸교, 후지상사, 닛폰코교 은행 통합결정 발표
(총자산 140조 엔으로 세계 최대)
2000.7.1 : 금융청 발족
2000. 9 : 러일 무역경제분야 협력심화 프로그램(푸틴- 모리 플랜) 발표
사 회
(이슈)
1997.8.29 : 최고재판소, 32년에 걸친 이에나가 소송 종결
1997.12.11 : 온실효과 가스감축목표를 내용으로 하는 “교토의정서” 채택
1999.6.23 : 남녀공동참획 사회기본법 공포
1999.8.13 : 개정 외국인등록법 성립(재일외국인 지문날인 의무 폐지)
국제정세
1997.12월 : 한국 IMF사태 발생(동남아국가 연쇄 국가신용도 하락)
1998.8 :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
2001~2005(헤이세이 13년~헤이세이 17년)
분 야
주 요 사 건
정치/외교
2001.1.6 : 중앙정부기구 재편성(1부 12성 체제로 전환)
2001. 4 : 고이즈미 붐 - 고이즈미의 구조개혁론: 이권정치, 관료 개혁
(자민당 내부로부터 자민당 비판, 모리에 대한 불만의 일본국민의 폭발)
2001.6 : 고이즈미 내각 - 추진위 최종보고(국세일부 지방세 이양, 교부금과 보조금 감세 등)
2001.7 : 고이즈미 내각 - 지방분권개혁 추진회의 발족 (이하 추진회의라고 함)
2001.9.17 : 고이즈미 수상 첫 북한 방문 및 김정일 주석과의 회담(북일평양선언 조인)
2001.10 : 일본중의원 테러대책 특별조치 법안, 자위대법 및 해상보안청법의 일부개정
법안통과
2002.6 : 고이즈미 내각 - 경제재정자문회의가 삼위일체 개혁 검토
2002.10 : 고이즈미 내각 - 추진회의 최종보고(지방세원이양 연기)
2003.8.27 : 북한의 핵문제를 둘러싼 첫 6자회담(북,한,미,중,러,일)
2004.1.16 : 이라크에 40억 엔 자금 협력 및 골란 고원 PKO활동 연장 결정
(2.3일에 육상 자위대 본대 이라크로 출발)
2005.4 : 고이즈미 내각 - 시정촌 합병 특례법 제정
2005.5.3 : 고이즈미 수상, 후진타오 중국 주석과 회담(역사인식과 야스쿠니 문제 의논)
경 제
2003.5.17 : 리소나 그룹에 공적 자금 약 2조 엔 투입
사 회
(이슈)
2001.8.15 :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야스쿠니 신사 참배
2002.5.31 : 한일 공동 월드컵 개최
2003.5.23 : 개인정보보호법 발효
2003.12.24 : 미국 광우병 소 발견에 따른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정지
2005.1.24 : 수신료 미납 등의 문제로 NHK 회장, 부회장 일괄 사임
2005.2.16 : 교코의정서 발효 개시
2005.6.27 : 천황, 황후의 사이판 방문(최초의 해외 위령 여행)
국제정세
2001.9.11 : 미국 뉴욕, 9.11테러 사건 발생
※ 일본은 이와 관련 10.29일에 자위대가 미군의 후방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테러대책
특별조치 법안> 등 가결
2001.11.10 : 중국 WTO 가맹 승인
2006~현재(헤이세이 18년~ )
분 야
주 요 사 건
정치/외교
2006.5 : 고이즈미 내각 - 지방분권 21세기 비전 간담회 보고서 제출
2006.9 : 아베 수상 취임
2006.11 : 아베 내각 - 지방분권개혁추진법 가결
2007.1 : 방위청의 방위성 승격
경 제
2006.11 : 경기확대가 전후 최장, ‘이자나기 경기’ 넘어서
국제정세
2008.4 : 미국 서브프라임 론 관련 손실이 24조엔 (07‘7월~08’3월)
1995.11 : 무라야마 총리의 대북수교 3원칙 발표
경 제
1992 : 버블경제 붕괴
1994.6.22 : 도쿄 외환시장, 1달러=100엔 돌파(고환율 시대)
사 회
(이슈)
1992.10.23 : 천황,황후 첫 중국 방문
1993.11.19 : 환경기본법 공포
1994 : PL법 공포(제조물 책임법)
1995.1.17 : 한신아와지 대지진(진도 7.2, 전후 최대의 참사)
1995.3.20 : 옴진리교 사건 발생(지하철 내부 맹독가스 사린 살포로 11명 사망)
1995.5월 : 지방분권추진법 공포
※ 1999.7월 ‘지방분권의 추진을 위한 관계법률의 정비 등에 관한 법률안 공포
(이후 다년간에 걸쳐 단계적인 지방분권작업 실행)
1995.7.18 : 정부, 전 종군 위안부를 대상으로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 기금」을
설립
국제정세
1991.12.26 : 소련최고회의, 소비에트연방 해체 전언
1996~2000(헤이세이 8년~헤이세이 12년)
분 야
주 요 사 건
정치/외교
1996.4.17 : 하시모토 수상-클린턴 대통령, 안보공동성명
(극동 유사시 대비 일미 안보체제 광역화)
1996 하시모토 내각: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행정개혁 추진: 성,청의 수 축소
(6대개혁: 행정, 재정, 금융, 지방분권, 사회보장, 교육 분야)
1996.10.20 : 제41회 총선거(첫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결과 역대 최저 투표율 기록
1997.9.23 : 신 미일 방위협력지침
1997.11.1 : 크라스노야르스크 합의(하시모토 옐친 플랜(일본의 대러 경협계획))
1998.10 : (김대중, 오부치) 한일 공동선언
1998.11.15 : 장쩌민 중국주석 방일(중국 원수의 최초 일본 방문)
1999.5 : 주변사태안전확보법 제정
1999.7 : 오부치 내각 - 지방분권추진 일괄법 성립(시행은 2000.4.1부터)
2000.5 : 오부치 게이조 수상 재임 중 사망
2000.10월 : 참의원 비례대표 선거에 비구속식 명부제 도입
2000.11 : 모리 내각 - 추진위 시정촌합병요구 의견서 제출
경 제
1997.4.1 : 소비세 5%로 인상
1997.11.17 : 홋카이도 탁쇼쿠 은행 파산(최초의 시중은행 경영 파산)
※ 불량채권 9,349억 엔 확인
1997.11.24 : 야마이치 증권 자주폐업 신청(부채총액 3조 5100억원)
1998.6.22 : 금융감독청 발족
1998.10.23 : 일본 장기신용은행 채무초과로 일시 국유화 신청
1998 : 물품역무융통협정(ACSA)의 개정
1999.8.20 : 다이이치칸교, 후지상사, 닛폰코교 은행 통합결정 발표
(총자산 140조 엔으로 세계 최대)
2000.7.1 : 금융청 발족
2000. 9 : 러일 무역경제분야 협력심화 프로그램(푸틴- 모리 플랜) 발표
사 회
(이슈)
1997.8.29 : 최고재판소, 32년에 걸친 이에나가 소송 종결
1997.12.11 : 온실효과 가스감축목표를 내용으로 하는 “교토의정서” 채택
1999.6.23 : 남녀공동참획 사회기본법 공포
1999.8.13 : 개정 외국인등록법 성립(재일외국인 지문날인 의무 폐지)
국제정세
1997.12월 : 한국 IMF사태 발생(동남아국가 연쇄 국가신용도 하락)
1998.8 :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
2001~2005(헤이세이 13년~헤이세이 17년)
분 야
주 요 사 건
정치/외교
2001.1.6 : 중앙정부기구 재편성(1부 12성 체제로 전환)
2001. 4 : 고이즈미 붐 - 고이즈미의 구조개혁론: 이권정치, 관료 개혁
(자민당 내부로부터 자민당 비판, 모리에 대한 불만의 일본국민의 폭발)
2001.6 : 고이즈미 내각 - 추진위 최종보고(국세일부 지방세 이양, 교부금과 보조금 감세 등)
2001.7 : 고이즈미 내각 - 지방분권개혁 추진회의 발족 (이하 추진회의라고 함)
2001.9.17 : 고이즈미 수상 첫 북한 방문 및 김정일 주석과의 회담(북일평양선언 조인)
2001.10 : 일본중의원 테러대책 특별조치 법안, 자위대법 및 해상보안청법의 일부개정
법안통과
2002.6 : 고이즈미 내각 - 경제재정자문회의가 삼위일체 개혁 검토
2002.10 : 고이즈미 내각 - 추진회의 최종보고(지방세원이양 연기)
2003.8.27 : 북한의 핵문제를 둘러싼 첫 6자회담(북,한,미,중,러,일)
2004.1.16 : 이라크에 40억 엔 자금 협력 및 골란 고원 PKO활동 연장 결정
(2.3일에 육상 자위대 본대 이라크로 출발)
2005.4 : 고이즈미 내각 - 시정촌 합병 특례법 제정
2005.5.3 : 고이즈미 수상, 후진타오 중국 주석과 회담(역사인식과 야스쿠니 문제 의논)
경 제
2003.5.17 : 리소나 그룹에 공적 자금 약 2조 엔 투입
사 회
(이슈)
2001.8.15 :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야스쿠니 신사 참배
2002.5.31 : 한일 공동 월드컵 개최
2003.5.23 : 개인정보보호법 발효
2003.12.24 : 미국 광우병 소 발견에 따른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정지
2005.1.24 : 수신료 미납 등의 문제로 NHK 회장, 부회장 일괄 사임
2005.2.16 : 교코의정서 발효 개시
2005.6.27 : 천황, 황후의 사이판 방문(최초의 해외 위령 여행)
국제정세
2001.9.11 : 미국 뉴욕, 9.11테러 사건 발생
※ 일본은 이와 관련 10.29일에 자위대가 미군의 후방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테러대책
특별조치 법안> 등 가결
2001.11.10 : 중국 WTO 가맹 승인
2006~현재(헤이세이 18년~ )
분 야
주 요 사 건
정치/외교
2006.5 : 고이즈미 내각 - 지방분권 21세기 비전 간담회 보고서 제출
2006.9 : 아베 수상 취임
2006.11 : 아베 내각 - 지방분권개혁추진법 가결
2007.1 : 방위청의 방위성 승격
경 제
2006.11 : 경기확대가 전후 최장, ‘이자나기 경기’ 넘어서
국제정세
2008.4 : 미국 서브프라임 론 관련 손실이 24조엔 (07‘7월~08’3월)
추천자료
근대 중국과 일본의 근대화, 그 차이와 균열, 그리고 근대성에 대한 고찰
일본 패전후의 정치와 사회 영토문제
자기가 생각하는 한국근현대사 `전쟁 종결과 새로운 동아시아 질서` 수업지도안 및 학습지
[메이지유신][명치유신][일본 근대화][근대 일본][메이지]메이지유신(명치유신)의 의의, 메이...
2020년 2학기 현대일본정치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현대 일본정치사 연표)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근현대일본정치사 자기 힘으로 근대 동아시아 ...
2022년 1학기 근현대일본정치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근대 동아시아 정치사 연표만들기)
근현대일본정치사 =)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1840년-1945년까지) 연표만들기
2024년 1학기 근현대일본정치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근대 동아시아 정치사 연표 만들기)
2025년 1학기 근현대일본정치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근대 동아시아 정치사 연표 만들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