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셰익스피어(W. Shakespeare)의 <템페스트 The Tempest>
1. 줄거리
2. 시대적 배경
3. 평가
Ⅱ. 칼리반(Caliban)의 상징적 의미
1. 이름의 유래
2. 칼리반의 영토권 주장
3. 칼리반의 출생과 시코락스Sycorax
4. 칼리반의 성적 욕망과 그 의미
5. 언어와 이데올로기
Ⅲ. 아리엘(Ariel)의 상징적 의미
1. 식민지인으로서의 아리엘
2. 여성으로서의 아리엘
3. 문명의 상징
Ⅳ. 프로스페로의 제국주의적 면모
1. 식민지 지배의 마술
+토론과제
1. 줄거리
2. 시대적 배경
3. 평가
Ⅱ. 칼리반(Caliban)의 상징적 의미
1. 이름의 유래
2. 칼리반의 영토권 주장
3. 칼리반의 출생과 시코락스Sycorax
4. 칼리반의 성적 욕망과 그 의미
5. 언어와 이데올로기
Ⅲ. 아리엘(Ariel)의 상징적 의미
1. 식민지인으로서의 아리엘
2. 여성으로서의 아리엘
3. 문명의 상징
Ⅳ. 프로스페로의 제국주의적 면모
1. 식민지 지배의 마술
+토론과제
본문내용
야만 상태에서 끌어내고자 노력했다고 주장한다. 권력 지배를 유지하고 정당화시키기 위해 길들이는 방법으로 교육이 제시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지배 욕망을 지속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권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프로스페로는 칼리반에게 말을 가르쳐준다. 말이란 일차적으로 의사소통의 도구이다. 그렇지만 말에는 이데올로기가 담겨 있다. 말을 가르친다는 것은 이데올로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의도도 밑바탕에 깔려 있다. 그는 언어 교육을 통해 칼리반을 계속해서 지배하려 한다. 그러나 칼리반은 식민지 본국의 언어를 이용하여 되받아침으로써 그 언어가 지닌 인종적, 문화적 우월성과 보편성의 허구를 전복시키면서 그 언어를 통해 부과되는 권위와 당위성 그 자체를 조롱하고 전복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원주민의 저항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을 수 있으나, 도리어 원주민 스스로 자신이 내뱉는 말이 모두 쌍스러운 욕이라는 사실을 셰익스피어가 강조하는 것이며, 그렇게 보아야 프로스페로의 마술(그 마술이란 사실 식민지 언어를 포함한 모든 식민지 지배 기술이다)을 아는 칼리반이 그에게 복종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과 어울리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Ⅲ. 아리엘(Ariel)의 상징적 의미
1. 식민지인으로서의 아리엘
아리엘아직 일이 남아있습니까? 일을 시키려면 약속한 것을 잊지 말아 주십시오. 아직도 이행되지 않고 있는 그 약속 말입니다.
프로스페로아니, 불만이냐? 네 요구는 뭐지?
아리엘제 해방 말입니다.
프로스페로기한도 되기 전에? 듣기 싫다.
프로스페로는 자신이 이 섬에 정착한 것이 \"신의 섭리\"이며 시코락스의 폭정에 시달리던 노예 상태의 아리엘에게 해방과 구원을 가져다 준 은혜로운 행위라고 설명한다. 토착 세력인 시코락스의 \"사악한\" 정권과 자신의 \"자비로운\" 정권을 차별화함으로써 프로스페로는 섬에 대한 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아리엘이 자신을 자유롭게 해방시켜 달라고 요구하자 프로스페로는 시코락스의 저주보다 더 큰 고통에 처하게 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참나무를 쪼개어 옹이투성이인 그 속에 처넣고 열두 해 겨울을 울부짖게 하겠다\"고 위협함으로써 아리엘의 복종을 강제하는 프로스페로의 모습은 그가 주장하는 선한 정권과는 거리가 멀다. 아리엘이 구원의 은혜를 잊지 않고 생생히 기억하도록 \"한 달에 한 번씩 비참했던 과거를 상기시켜 주겠노라\"는 프로스페로의 협박에는 인도주의적 동정과 자비란 찾아볼 수 없고, 노예에게 처벌의 채찍을 휘두르며 명령에 복종시키는 무자비한 식민통치자의 모습만 있을 뿐이다. 이러한 프로스페로의 협박과 회유는 아리엘에게 심리적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상징적 폭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식민지 여성에 종속되었던 아리엘을 프로스페로가 해방시키고 자기 지배하에 두어 칼리반을 억압하는 경찰처럼 사용하는 점은 식민지 지배의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2. 여성으로서의 아리엘
셰익스피어 당시에 미개의 신대륙은 개척되고 관리되며 이용되어야 할 여성으로 상징화되었다. 이는 아리엘뿐만 아니라 시코락스, 미란다의 경우에도 상징화되어 있다. 작중에서 프로스페로는 알론소의 아들, 즉 나폴리 왕국의 상속자인 페르디난드와 미란다를 정략 결혼시키는데, 이는 프로스페로가 밀라노에서 권력을 다시 잡고 나폴리 왕국을 속국으로 만들고자 하는 의지에서 나온 것이고, 이는 여성=식민지=타자의 이용과 착취를 계기로 하는 서양 문명의 권력 강화를 보여준다.
3. 문명의 상징
불로 변하여 배 안의 이곳저곳에서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투명한 모습으로 변장을 하며, 하피로 둔갑을 하기도 한다. 아리엘은 극중 다른 인물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그가 내는 소리만은 무대 여기저기에서 울리면서 흔적을 남긴다. 이렇게, 아리엘은 공기처럼 가볍고 민첩하며 신체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칼리반과는 대비를 이룬다. (이후에 프로스페로의 마법적 힘과 관련된 거지만)자연 그대로를 야만을, 자연을 변화시키는 마법이 문명을 상징한다고 본다면 아리엘은 식민지 국가의 어용(?)지식인 정도로 볼 수도 있겠다.
Ⅳ. 프로스페로의 제국주의적 면모
1. 식민지 지배의 마술
식민지 지배자로 상징되는 프로스페로는 마술가다. <템페스트>에서 그는 마술(Art-학문적 기예라고도 볼 수 있다)로 자연(Nature)을 지배하고 통제한다. 작품에서 마술의 기능은 상징적으로 문명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기예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보다 더 훌률한 자질과 성품의 세계를 대표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예는 정신적 세계를 의미하고 욕정과 본능을 통제하고 학문을 통해 자연의 변화시키는 힘이다.
그리고 프로스페로는 마법으로만 원주민들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 폭력을 가하겠다고 위협함으로써 그의 저항을 무력화시키고 억압한다. 칼리반과 아리엘을 계속해서 위협한다. 그의 권력에 대한 저항이 심하면 심할수록 그는 칼리반이나 아리엘을 더 억압하고 위협한다.
그리고 프로스페로는 처음에 국정에 소홀했기 때문에 권력을 잃었고, 그 다음에 섬에서는 주변적 공간에서 마술로써 권력을 되찾았음을 말한다. 비문명적인 마법에 의해 권력을 회복하는 것은 식민주의자의 담론이다.
토론과제>이러한 작품의 상징을 생각할 때, 셰익스피어는 제국주의자라는 견해와 명시적으로는 이를 재현하고 있는 것 같지만, 암묵적으로는 도리어 당대의 인종 차별 담론과 여성 차별 담론에 비판을 가하고 있다는 견해가 있다. 당시의 왕의 총애를 받던 지식인이라는 점을 생각해서 그가 제국주의적인 담론을 지지했다고 보아야 할까, 아니면 이 작품이 당시 상황을 비꼰 우화적 작품이라고 생각해야할까?
<참고문헌>
이대석 [셰익스피어 극의 이해]한신문화사, 2001
황계정, [셰익스피어 길잡이], 도서출판 동인, 2000
최영주, [셰익스피어라는 극장], 그리고 문화, 글누림, 2000
박흥규, [셰익스피어는 제국주의자다], 청어람미디어, 2005
디오니소스 드라마 연구회, [셰익스피어/현대 영미극의 지평], 2004
김민경, {타자화 담론의 문화정치할:『태풍』}, 영미어문학, 2004
서용득, {『폭풍우』에 나타난 권력 정치학}
설준규, {The Tempest에 관한 하나의 해석――Caliban의 입장에서―}
이렇게 원주민의 저항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을 수 있으나, 도리어 원주민 스스로 자신이 내뱉는 말이 모두 쌍스러운 욕이라는 사실을 셰익스피어가 강조하는 것이며, 그렇게 보아야 프로스페로의 마술(그 마술이란 사실 식민지 언어를 포함한 모든 식민지 지배 기술이다)을 아는 칼리반이 그에게 복종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과 어울리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Ⅲ. 아리엘(Ariel)의 상징적 의미
1. 식민지인으로서의 아리엘
아리엘아직 일이 남아있습니까? 일을 시키려면 약속한 것을 잊지 말아 주십시오. 아직도 이행되지 않고 있는 그 약속 말입니다.
프로스페로아니, 불만이냐? 네 요구는 뭐지?
아리엘제 해방 말입니다.
프로스페로기한도 되기 전에? 듣기 싫다.
프로스페로는 자신이 이 섬에 정착한 것이 \"신의 섭리\"이며 시코락스의 폭정에 시달리던 노예 상태의 아리엘에게 해방과 구원을 가져다 준 은혜로운 행위라고 설명한다. 토착 세력인 시코락스의 \"사악한\" 정권과 자신의 \"자비로운\" 정권을 차별화함으로써 프로스페로는 섬에 대한 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아리엘이 자신을 자유롭게 해방시켜 달라고 요구하자 프로스페로는 시코락스의 저주보다 더 큰 고통에 처하게 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참나무를 쪼개어 옹이투성이인 그 속에 처넣고 열두 해 겨울을 울부짖게 하겠다\"고 위협함으로써 아리엘의 복종을 강제하는 프로스페로의 모습은 그가 주장하는 선한 정권과는 거리가 멀다. 아리엘이 구원의 은혜를 잊지 않고 생생히 기억하도록 \"한 달에 한 번씩 비참했던 과거를 상기시켜 주겠노라\"는 프로스페로의 협박에는 인도주의적 동정과 자비란 찾아볼 수 없고, 노예에게 처벌의 채찍을 휘두르며 명령에 복종시키는 무자비한 식민통치자의 모습만 있을 뿐이다. 이러한 프로스페로의 협박과 회유는 아리엘에게 심리적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상징적 폭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식민지 여성에 종속되었던 아리엘을 프로스페로가 해방시키고 자기 지배하에 두어 칼리반을 억압하는 경찰처럼 사용하는 점은 식민지 지배의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2. 여성으로서의 아리엘
셰익스피어 당시에 미개의 신대륙은 개척되고 관리되며 이용되어야 할 여성으로 상징화되었다. 이는 아리엘뿐만 아니라 시코락스, 미란다의 경우에도 상징화되어 있다. 작중에서 프로스페로는 알론소의 아들, 즉 나폴리 왕국의 상속자인 페르디난드와 미란다를 정략 결혼시키는데, 이는 프로스페로가 밀라노에서 권력을 다시 잡고 나폴리 왕국을 속국으로 만들고자 하는 의지에서 나온 것이고, 이는 여성=식민지=타자의 이용과 착취를 계기로 하는 서양 문명의 권력 강화를 보여준다.
3. 문명의 상징
불로 변하여 배 안의 이곳저곳에서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투명한 모습으로 변장을 하며, 하피로 둔갑을 하기도 한다. 아리엘은 극중 다른 인물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그가 내는 소리만은 무대 여기저기에서 울리면서 흔적을 남긴다. 이렇게, 아리엘은 공기처럼 가볍고 민첩하며 신체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칼리반과는 대비를 이룬다. (이후에 프로스페로의 마법적 힘과 관련된 거지만)자연 그대로를 야만을, 자연을 변화시키는 마법이 문명을 상징한다고 본다면 아리엘은 식민지 국가의 어용(?)지식인 정도로 볼 수도 있겠다.
Ⅳ. 프로스페로의 제국주의적 면모
1. 식민지 지배의 마술
식민지 지배자로 상징되는 프로스페로는 마술가다. <템페스트>에서 그는 마술(Art-학문적 기예라고도 볼 수 있다)로 자연(Nature)을 지배하고 통제한다. 작품에서 마술의 기능은 상징적으로 문명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기예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보다 더 훌률한 자질과 성품의 세계를 대표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예는 정신적 세계를 의미하고 욕정과 본능을 통제하고 학문을 통해 자연의 변화시키는 힘이다.
그리고 프로스페로는 마법으로만 원주민들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 폭력을 가하겠다고 위협함으로써 그의 저항을 무력화시키고 억압한다. 칼리반과 아리엘을 계속해서 위협한다. 그의 권력에 대한 저항이 심하면 심할수록 그는 칼리반이나 아리엘을 더 억압하고 위협한다.
그리고 프로스페로는 처음에 국정에 소홀했기 때문에 권력을 잃었고, 그 다음에 섬에서는 주변적 공간에서 마술로써 권력을 되찾았음을 말한다. 비문명적인 마법에 의해 권력을 회복하는 것은 식민주의자의 담론이다.
토론과제>이러한 작품의 상징을 생각할 때, 셰익스피어는 제국주의자라는 견해와 명시적으로는 이를 재현하고 있는 것 같지만, 암묵적으로는 도리어 당대의 인종 차별 담론과 여성 차별 담론에 비판을 가하고 있다는 견해가 있다. 당시의 왕의 총애를 받던 지식인이라는 점을 생각해서 그가 제국주의적인 담론을 지지했다고 보아야 할까, 아니면 이 작품이 당시 상황을 비꼰 우화적 작품이라고 생각해야할까?
<참고문헌>
이대석 [셰익스피어 극의 이해]한신문화사, 2001
황계정, [셰익스피어 길잡이], 도서출판 동인, 2000
최영주, [셰익스피어라는 극장], 그리고 문화, 글누림, 2000
박흥규, [셰익스피어는 제국주의자다], 청어람미디어, 2005
디오니소스 드라마 연구회, [셰익스피어/현대 영미극의 지평], 2004
김민경, {타자화 담론의 문화정치할:『태풍』}, 영미어문학, 2004
서용득, {『폭풍우』에 나타난 권력 정치학}
설준규, {The Tempest에 관한 하나의 해석――Caliban의 입장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