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험 제목 : 미생물의 생육 측정 및 생육 영향 인자
▲ 실험 목적
▲ 실험 방법
○ Part A 배지준비
● Part B
흡광도 측정법에 의한 생육 측정
▲ 실험 결과
■ 생장곡선( Growth Curve)
1)지체기(lag phase)
2) 대수기(exponential phase, log phase)
3) 정체기(stationary phase)
4) 사멸기(death phase)
▲ 고 찰
▲ 참고 문헌
▲ 실험 목적
▲ 실험 방법
○ Part A 배지준비
● Part B
흡광도 측정법에 의한 생육 측정
▲ 실험 결과
■ 생장곡선( Growth Curve)
1)지체기(lag phase)
2) 대수기(exponential phase, log phase)
3) 정체기(stationary phase)
4) 사멸기(death phase)
▲ 고 찰
▲ 참고 문헌
본문내용
(dilution)을 한 후 측정하고 측정 후 그 희석배수를 곱해주어서 관찰하는 것이다. 이번 실험은 시간을 두고 와서 측정을 하는 것이고 한사람이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험원들이 돌아가면서 측정하기 때문에 개인차가 있어서 그런지 실험데이터가 좀 실망스러웠다. 특히 control부분의 5시간째에는 실수로 인해서 OD값이 잘못 측정되어 균이 줄어들다가 다시 증가하는 값을 보였다. 또한 배양은 계속적으로 되지만 중간 중간 인큐베이터를 열어야 했으며 큐빅을 washing단계에서 많은 실험 오차들이 발생하지 않았나고 되짚어 본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미생물 파트에서 항상 웃음일 잃지 않고 친절하게 도와주시고 가르쳐주신 강현우 조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참고 문헌
라이프 사이언스 (일반미생물학) 저자: Prescott Harley Klein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uBC29%uC120%uADE0&sm=tab_sug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d1id=5&dir_id=5&eid=NSSG97P2Ht0HVC9gcCFcBQj8k/ZjLhnQ
마지막으로 그동안 미생물 파트에서 항상 웃음일 잃지 않고 친절하게 도와주시고 가르쳐주신 강현우 조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참고 문헌
라이프 사이언스 (일반미생물학) 저자: Prescott Harley Klein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uBC29%uC120%uADE0&sm=tab_sug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d1id=5&dir_id=5&eid=NSSG97P2Ht0HVC9gcCFcBQj8k/ZjLhnQ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