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아 성장곡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테리아 성장곡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itle
2. Object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Procedure
5. Result
6. Discussion & Feeling
7. Reference

본문내용

지, 삼각플라스크, 마이크로 피펫, microtube, 증류수, Clean Bench, shaking incubator, 분광광도계, 큐벳 등
ⅱ. Procedure
-UV 측정
1. 삼각플라스크에 TSB 액상배지 100ml을 넣고 autoclave(121℃, 15min)하여 멸균한다.
2. 사용되는 균을 ,으로 희석하고, 1ml을 TSB 액상배지(삼각플라스크)에 접종한다.
3. 배양액 1ml을 microtube에 채취한 후 t0라고 표기한다. 그리고 삼각 플라스크는 shaking incubator에 배양한다.
4. t0을 포함하여 시간 별로 흡광도를 측정한다. (0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7시간)
(2시간 간격으로 TSB액상 배지가 든 삼각 플라스크를 shaking incubator에서 꺼내 배양액 1ml을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한다. 단, microtube의 표기는 시간마다 다르게한다. )
-생균수 측정
1. 삼각플라스크에 TSB 액상배지 100ml을 넣고 autoclave(121℃, 15min)하여 멸균한다.
2. 사용되는 균을 ,로 희석하고, 1ml을 TSB 액상배지에 접종한다.
3. microtube에 담고 t0라고 표기한 후, 배양액 1ml을 채취 후 삼각 플라스크는 shaking incubator에 배양한다.
4. 채취 한 배양액 1ml은 t0를 108 접종 한 조는 104, 105, 106으로 각각 희석하고, 106을 접종 한 조는 102, 103, 104으로 희석 하여 500ul over-lay한다.
5. incubator(37℃, 16hr)에서 배양 후, 셀 수를 측정한다. (0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7시간)
(2시간 간격으로 TSB액상 배지가 든 삼각 플라스크를 shaking incubator에서 꺼내 과정 4, 5를 반복한다. 단, 마이크로 튜브의 표기는 시간마다 다르게 한다. )
5. Result
다음 표는 시간에 따른 UV측정값이랑 Cellcounting 결과이다.
시간(hr)
UV 측정값
Cell counting(cfu/ml)의 로그값
0
0
7.278753601
2
0.006
7.285557309
4
0.134
7.72427587
6
0.279
7.851258349
8
0.612
8.361727836
10
0.634
8.399673721
12
0.424
7.799340549
Cell counting 결과는 수치가 커서 상용로그(log)를 적용하였다.
UV측정결과 나온 데이터를 그린 그래프.(x축은 시간 y축은 흡광도)
Cell counting한 결과에 상용로그를 취해준 후 그 데이터를 그린 그래프.
(x축은 시간, y축은 log(cfu/ml))
6. Discussion & Feeling
위의 결과를 보면 두 가지 결과값의 시간에따른 그래프의 형태가 매우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론대로 하면 아마 0~2시간은 지체기, 2~8시간은 지수기, 8~10시간은 정지기, 10~12시간은 사멸기로 추정할 수 있다. UV측정 방법에 있어서 우리가 고려해야 할 것은, 석영셀의 흡광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며 TSB액체배지의 흡광도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기기를 조작할 때 실험을 하는 사람은 흡광도측정기에 접종전의 TSB액체배지를 이용해 영점을 맞추어야 우리가 원하는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TSB액체배지는 충분히 혼합되어 균질한 용액이라고 간주를 해야 한다. 영점을 맞추었으면, 시간별로 세균의 상대적 생장정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배양중인 플라스크를 shaking incubator 밖에 꺼내 놓는 시간도 영향이 있겠다 생각된다. 너무 오래 꺼내놓으면 세균이 잘 자랄 수 없으므로 원하는 수치보다 낮게 나올 것이다. 최대한 빨리 배양액을 채취하고 다시 shaking incubator에 배양을 해야 할 것이다. 석영셀에 용액이나 지문 등이 묻어있어도 원하고자 하는 값과 다르게 나올 수 있을 것이므로 실험통제를 잘 해야 할 것이다. 아마 흡광도 수치가 높게 나올 것이다. 그리고 기계 내부에 있는 기체도 생각을 해야 한다. 기체분자가 흡수할 빛에 대해 고려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실험에서 영점을 맞춰야 하는 이유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생균수 측정 방법에 있어서 UV와 생균수 측정 방법의 다른점을 꼽는다면 UV측정법은 죽은균이나 살아있는 생균이나 다 상관없이 결과값에 포함이 되지만 생균수 측정법은 살아있는 균을 셀수 있다는 것이다. 잘 생각해보면 위의 결과는 잘 못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UV측정법은 죽은균이나 살아있는 균에 다 영향을 받으므로 사멸기가 관찰이 안 될 것이다.
이런 형태의 그래프가 나오게 될 것이다. 위 결과는 아마도 shaking incubator에 넣어준 삼각플라스크를 표기를 안 해 다른 용액을 사용해서 그런 것 일수도 있고 아니면 용액(배양중인 TSB액상배지)이 균일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해서 그런 것 일수도 있다. 생균수 측정법에 있어서는 해당 세균의 생균의 수를 알고자 하는 실험이므로, 멸균이 중요시 된다. 그리고 시간별로 Cell counting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과 희석배수 표기는 당연히 잘 해둬야 실험결과에 이상이 없을 것이다.
7. Reference
1. 서적
유주현, 변유랑 외, 「응용 미생물학 실험」, 효일, p.96
탁도에 의한 측정법과 생육곡선
홍태희 외 6명, 「식품 미생물학 & 실험」, 지구문화사, p.178
미생물의 생육 및 생육곡선
미생물학 실험교재 편찬위원회, 「미생물학 실험」, 월드 사이언스, p.44
미생물의 발육 조건
Brock, Madigan 외 3명, 「Brock의 미생물학 12판」, 바이오사이언스, p.147
지수생장의 개념 및 미생물의 생장주기
이건형 외 17명, 「일반미생물학」, 교보문고, p.91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탁도 측정
2. 인터넷
http://100.naver.com/ , 2012년 5월 27일 참고, 용어 및 생장곡선
http://cms.daegu.ac.kr/sgpark/microbiology/%EC%83%9D%EC%9E%A5%EC%A6%9D%EC%8B%9D.htm , 2012년 5월 27일 참고, 미생물의 지수생장 및 생존여건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9.10.07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44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