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공학] 회분식 미생물의 배양 : 대장균을 액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생장곡선을 확인, 대장균의 생장기 중에서 지수 성장기의 비성장 속도를 측정 - 실험결과, 논의 및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
․ 습열멸균 (sterilization by moist heat)
․ 진탕배양 (shaking culture)
․ 세포의 생장 곡선
세포의 생장곡선

3. 재료 및 방법

4. 실험결과

5. 논의 및 고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70℃ 냉동고에 보관하여 다음 실험에 사용한다.
⑦ 매시간 측정한 O.D. 값을 배양시간에 따라 도시하여 미생물 성장곡선을 그려본다.
⑧지수성장기의 미생물의 비성장속도 값을 그래프에서 구한다.
4. 실험결과
배양시간(hr)
1
2
3
4
5
6
7
8
분산 평판계수법에 의한 총 콜로니수 (10 묽힘)
3040
17600
47600
400000
〃의 ln
8.02
9.78
10.77
12.90
탁도 O.D.(=600)
0.117
0.353
0.493
0.679
2.470
3.170
4.450
5.460
5. 논의 및 고찰
이번 실험에서는 시간에 따른 미생물 성장 곡선을 분석해 보았다. 실험시간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아홉 시간 밖에 없었기 때문에 정지기까지의 실험결과를 기대하였지만 우리 조의 결과에서는 지수성장기까지만 관찰되었다.
오후 1시쯤 측정한 데이터에서 오차가 생겼는데, 이번 실험 오차의 원인은 장시간동안 실험으로 인해 조원들끼리 교대로 실험에 참여로 조원간의 숙련도 차이가 나서 인 것 같다.
또 다른 오차원인으로는 희석률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배양액을 희석할 때 micropipet의 버튼을 천천히 놓으면서 공기가 주입되지 않고 정량이 들어가도록 하여야했지만 처음 micropipet을 사용해 봐서 실수가 있었다. 또 배지가 제대로 섞지 않아서 윗부분의 농도와 아랫부분의 농도도 차이가 있었던 것 같다. 또 흡광도를 측정할 땐 셀에 지문이 묻음으로 산란이 일어나 오차가 생긴 것으로서 생각해 볼 수 있다.
6. 참고문헌
정우식 외 12명 공저, 디스플레이 화학공학실험, 아진, 2007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34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