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미생물분리
1.정의
2.미생물의 확보
3.미생물 확보의 방법
1)시료의 채취
2)직접배양 (enrichment culture)
3)순수분리기술(Pure culture technique)
미생물의 보존관리
1.미생물보존(Microbial preservation)
1) 대사반응을 저하시키는 방법
2) 수분을 한정시켜 대사반응을 정지시키는 방법
2.계대보존법
3.파라핀중층보존법
4.현탁액보존법
5.동결보존법
6.담체보존법
7. 건조 보존법
맺음말
미생물분리
1.정의
2.미생물의 확보
3.미생물 확보의 방법
1)시료의 채취
2)직접배양 (enrichment culture)
3)순수분리기술(Pure culture technique)
미생물의 보존관리
1.미생물보존(Microbial preservation)
1) 대사반응을 저하시키는 방법
2) 수분을 한정시켜 대사반응을 정지시키는 방법
2.계대보존법
3.파라핀중층보존법
4.현탁액보존법
5.동결보존법
6.담체보존법
7. 건조 보존법
맺음말
본문내용
전기적으로 -20℃∼-80℃로 온도를 낮추어 하는 것과 액체질소(-196℃) 중 또는 다른 종류의 기상(-150∼-170℃)중에서 보존하는 방법이 있다.
6.담체보존법
대부분의 균체는 건조시 사멸하지만 포자 형성 균주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적당한 용제에 건조시켜 보존하면 대사기능이 정지되어 휴지 상태로 장기간 생존한다.
1) 토양 보존법
① 토양을 건조한 후 2회 정도 살균한 후 무균검사를 하고 균액을 첨가한다.
② 포자 형성 세균, 방선균, 곰팡이에 사용
2) 모래 보존법, silica gel 보존법
① 바다모래를 산, 알칼리, 물로 잘 세척하여 건열 멸균을 한다.
② 균 배양액을 넣고 모래와 잘 혼합하여 진공건조 후 상압에서 밀봉하여 보존한다.
7. 건조 보존법
① 동결에 의한 장해를 받는 미생물에 사용 (NCIB 영국,IFO 일본)
② 생존율이 좋고 장기보존이 가능; 갑작스러운 온도 하강으로 균사멸 위험성 감소
③ 분산매와 균액제조: 동결건조와 동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4__
맺음말
앞서 미생물에 대한 전반적인 것에 대하여 두루 살펴보았다.아있로 미생물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하여 알아본다.
미생물은 오늘날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생명과학의 제반 문제들 즉 유전자 발현의 조절기작을 비롯하여 물질대사의 조절기작, 세포분화 및 생물 진화의 기작, 생체막의 구조와 기능, 기억 및 노화현상, 그리고 암 및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을 포함하는 불치병 등을 규명하고 정복할 수 있는 첨단과학으로 부각되어 있다. 또한 유전공학 및 생물공학 분야에도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미생물의 발전은 항생물질 인슐린 인터페론 등의 의약품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발효식품에 이르기까지 인간에 유용한 여러가지 물질의 합성 및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해 줌으로써 인류의 복지증진에 공헌하고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공적인 합성으로 인하여 지구의 자연환경을 황폐화 시킴으로써 인류의 생존은 매우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미생물학의 한 분야인 환경미생물학은 환경오염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또한 한정된 천연자원의 효율을 극대화 할수 있는 것에 크게 공헌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www.naver.com (member):미생물분리와 보존
발효공학(유림문화사):p.77~100 미생물의 분리와 보존
식품미생물학(유림문화사):p.13~14 미생물 발달사
6.담체보존법
대부분의 균체는 건조시 사멸하지만 포자 형성 균주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적당한 용제에 건조시켜 보존하면 대사기능이 정지되어 휴지 상태로 장기간 생존한다.
1) 토양 보존법
① 토양을 건조한 후 2회 정도 살균한 후 무균검사를 하고 균액을 첨가한다.
② 포자 형성 세균, 방선균, 곰팡이에 사용
2) 모래 보존법, silica gel 보존법
① 바다모래를 산, 알칼리, 물로 잘 세척하여 건열 멸균을 한다.
② 균 배양액을 넣고 모래와 잘 혼합하여 진공건조 후 상압에서 밀봉하여 보존한다.
7. 건조 보존법
① 동결에 의한 장해를 받는 미생물에 사용 (NCIB 영국,IFO 일본)
② 생존율이 좋고 장기보존이 가능; 갑작스러운 온도 하강으로 균사멸 위험성 감소
③ 분산매와 균액제조: 동결건조와 동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4__
맺음말
앞서 미생물에 대한 전반적인 것에 대하여 두루 살펴보았다.아있로 미생물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하여 알아본다.
미생물은 오늘날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생명과학의 제반 문제들 즉 유전자 발현의 조절기작을 비롯하여 물질대사의 조절기작, 세포분화 및 생물 진화의 기작, 생체막의 구조와 기능, 기억 및 노화현상, 그리고 암 및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을 포함하는 불치병 등을 규명하고 정복할 수 있는 첨단과학으로 부각되어 있다. 또한 유전공학 및 생물공학 분야에도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미생물의 발전은 항생물질 인슐린 인터페론 등의 의약품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발효식품에 이르기까지 인간에 유용한 여러가지 물질의 합성 및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해 줌으로써 인류의 복지증진에 공헌하고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공적인 합성으로 인하여 지구의 자연환경을 황폐화 시킴으로써 인류의 생존은 매우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미생물학의 한 분야인 환경미생물학은 환경오염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또한 한정된 천연자원의 효율을 극대화 할수 있는 것에 크게 공헌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www.naver.com (member):미생물분리와 보존
발효공학(유림문화사):p.77~100 미생물의 분리와 보존
식품미생물학(유림문화사):p.13~14 미생물 발달사
추천자료
미생물 관련 리포트
병원성미생물등에 의한 수질오염과 방지대책에 관해서
식품 미생물학에서의 mold, yeast , bacteria
미생물의 종류와 특징
[식품미생물학] 핵산(DNA와 RNA)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
식품미생물에 관한 균 정리
2009년 2학기 식품미생물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발효미생물학
미생물에 유전공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생산한 의학 관련 물질
미생물 - 균에 관한 정리
낙농미생물학 및 실험-Use of selective(획선평판법) & differential Media(분별배지)
미생물정리
간호 미생물학-가을열성질환 및 결핵균-정의, 원인, 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