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험 목표
■ 실험 준비물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 실험 고찰
■ 혐기성 미생물이란?
■ 호기성 미생물 이란??
■ 미생물 종류 및 기능 그에 따른 배양 방법
■ 참고
■ 실험 준비물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 실험 고찰
■ 혐기성 미생물이란?
■ 호기성 미생물 이란??
■ 미생물 종류 및 기능 그에 따른 배양 방법
■ 참고
본문내용
기물을 에너지원으로 이용 용존산소와의 관계에 따른 분류 -호기성(Aerobic):호기성 조건에서 성장하는 미생물 -혐기성(Anaerobic):혐기성 조건에서 성장하는 미생물 -임의성(Facultative):호기성,혐기성 관계없이 성장하는 미생물 박테리아 -유기물분해 및 폐수처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미생물 -화학식은 호기성박테리아가 C5H7O2N, 혐기성박테리아가 C5H9O3N -성장에 필요한 BOD:N:P의 적정 비율은 100:5:1(무게비) 균류 -화학조성식 : C10H17O6N -사상균으로서 낮은 pH(2~5)에서도 잘 성장한다. -활성슬러지법에서 잘 침전하지 않고 벌킹현상을 일으킨다. 조류 등등배양법 : 혐기성 균을 배양 할때는 가급적이면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증식이 잘되므로 이와 같은 조건을 충족하여 주기 위해서 배지의 양을 많이 가해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반면에, 호기성균을 배양할 때는 생육시 다량의 산소가 필요하므로, 배양 용기에 비하여 배지 양을 적게 해서 액층을 엷게 하고 산소의 공급이 잘되도록 해야 합니다. 시험관을 사용해서 배양시는, 공기와 접촉면을 넓히기 위해 사면배양과 같이 눕혀서 배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대부분의 절대 혐기성균은 superoxide dismutase가 결여 되어 있으므로 산소와 접촉하게 되면 곧 죽게 됩니다. 그러므로 배양이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더욱 절대 혐기성 균은 산화 환원 전우기 낮은 배지에서만 증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cysteine, thioglycollate, Na2S, or sodium ascobate등의 환원제를 써서 배지를 미리 환원 시킨 뒤에 균을 접종하고 밀폐하여 공기와 접촉을 방지한 조건에서 배양해야 합니다. 시료 채취시나, 접종시에도 물론 산소와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산소가 없는 N2or CO2가스를 플려 보내면서 조작을 해야 합니다절대 혐시성 균의 액체배양은 플라스크나 시험관에 배지를 완전히 채운뒤 고무마개나 나사 마개를 하여 밀폐해서 배양합니다.산소관용 혐기성균(oxygen tolerant anaerobe)은 보통 평판 배양에서와 같은 조건에서 분리, 접종하여 혐기적으로 배양하면 됩니다. 그러나 산소에 민감한 절대 혐기성 균은 roll-tube법을 써서 분리 배양합니다. 이 방법으로 절대 혐기성 균을 분리할 수 있고 균체수를 측정할 수 있어요.배양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집중되어 버렸는데, 혐기성 균의 대표적으로는홍색세균을 들 수 있습니다. purple bacteria는 생리적, 생태적 차이에 의해서 두가지 아균으로 구분합니다. 하나는 홍색황세균(purple sulfer bacteria)인데 절대 혐기성 균이며 순환적 광인산화로 ATP를 공급받고 H2S의 혐기적 산화로 환원력을 얻어서 CO2를 고정합니다.여기에 속하는 대부분의 균들은 H2S대신에 H2를 환원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유황 온천수 같은 곳에 풍부하게 서식합니다.Thiospirillum, Chromatium, Ectothiorhodospira 등이 있습니다.또 다른 하나는 홍색 무황세균으로서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CO2를 고정 할 수는 있으나 일차적으로 유기물을 광합성의 환원력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광유기 영양균이며이들에 의해서 동화되는 유기화합물은 아주 광범위해서 지방산, 유기산, 알코올, 탄수화물, 방향족 화합물 등이 포함됩니다.
마지막으로 시험을 통하여 혐기성 박테리아가 어떤 것인지 그에 따른 호기성 박테리아도 관심이 가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미생물에 대한 연구 및 종류가 너무 많습니다.
대학원형들도 꼭 연구분야로 진출 하셔서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 참고
반추영양생리학(서적) 및 각종 인터넷 사이트
마지막으로 시험을 통하여 혐기성 박테리아가 어떤 것인지 그에 따른 호기성 박테리아도 관심이 가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미생물에 대한 연구 및 종류가 너무 많습니다.
대학원형들도 꼭 연구분야로 진출 하셔서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 참고
반추영양생리학(서적) 및 각종 인터넷 사이트
키워드
추천자료
유전학 과제 및 실험 레포트
그람염색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Biologycal Oxygen Demand)측정 실험
PCR 기법을 이용한 미량의 유전자 검출
미생물의 염색법, 그람염색법
[생물실험, 생화학 실험] circular 플라스미드 DNA 제한효소자리 mapping
산도(Acidity)
총인 예비 결과 실험 레포트
[미생물실험]5.미생물의 주화성
현미경관찰과그에대한고찰
[생물학 실험보고서] 제한효소를 이용한 mapping
[교양생물 보고서 예시 - 생물학 및 실험] 표피조직의 관찰 : 표피조직을 관찰, 표피의 유형...
3.그람염색 및 단순염색 그람염색의 원리와 방법
(생화학 실험레포트) DNA 클로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