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미생물학 실험] 박테리아 생장곡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병원미생물학 실험] 박테리아 생장곡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제 : 박테리아 생장곡선

2. 실험 목적

3. 원리 및 이론
 1. 생장이란?
 2. 사멸이란?
  (1) 멸균
  (2) 멸균법의 종류
 3. 미생물의 생장과 증식
  (1) 집단 생장
  (2) 동기생장
  (3)생장곡선
  <패쇄 환경에서의 미생물 세포 집단의 생장양상>
  ※폐쇄 상태에서의 집단생장
  (4) 증식
  (5) 세포분열
  <이분법 분열과정>
 4. 미생물의 생장측정
  1) 흡광도 측정법
  2) 평판계수법
 5. Hemacytometer 이용법
 6. 미생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물리적 요소
  2) pH
  2) 화학적요소

4. 시험도구 및 시약

5. 실험과정
 - UV 측정 -

6. 결과

7. 고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tube에 채취한 후 t0라고 표기한다. 그리고 삼각 플라스크는 shaking incubator에 배양한다.
4. t0을 포함하여 시간 별로 흡광도를 측정한다. (0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7시간)
( 2시간 간격으로 TSB액상 배지가 든 삼각 플라스크를 shaking incubator에서 꺼내배양액 1ml을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한다. 단, microtube의 표기는 시간마다 다르게한다.)
<실험 사진>
6. 결과
주어진 uv 측정값과 세포의 수는 다음과 같다.
시간(hr)
UV 측정값
Cell counting(cfu/ml)
0
0
1.9*107
2
0.006
1.93*107
4
0.134
5.3*107
6
0.279
7.1*107
8
0.612
2.3*108
10
0.634
2.51*108
12
0.424
6.3*107
*cell counting 값의 경우, 수치가 크기 때문에 log값을 취하여 정수로 변환한다.
시간(hr)
UV 측정값
Cell counting log 값
0
0
7.278754
2
0.006
7.285557
4
0.134
7.724276
6
0.279
7.851258
8
0.612
8.361728
10
0.634
8.399674
12
0.424
7.799341
① 시간과 UV 측정값(흡광도)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 측정시간 : 2시간 간격으로 12시간 까지 측정하였다.
② 시간과 Cell counting를 log 로 취한 값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1. 유도기
분열을 위해 세포의 크기가 커지고 호흡활성도가 높아지는 시기이며, 세포내의 RNA양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효소단백질 합성이 왕성해진다. DNA양은 변화하지 않으며, 생균수가
사균수 보다 많고 전체적으로 영양성분이 많고 증식에 용이한 환경이다.
2. 증식기(대수기)
세포가 대수적으로 증식하며, 세대시간, 세포의 크기가 일정한 시기이다.
영양성분이 서서히 감소하고 환경이 서서히 열악해진다.
3. 안정기(정지기)
생균수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총균수는 최대가 되는 시기다. 일부 세포가 사멸하고 다른
일부의 세포는 증식하여 사멸수와 증식수가 거의 같다. 생균수가 사균수와 같아지는 시기다.
4. 사멸기
생균수가 감소하는 시기이다. 영양분이 없어진 미생물은 영양분을 얻기 위해 자기 몸의
성분을 각종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 분해하여 영양분으로 사용하게 된다.
∴ uv 측정값(흡광도)와 세포수에 대한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거의 같은 형태로 나타나므로 이상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볼 수 있다.
7. 고찰
세균의 증식곡선은 다음과 같이 나와야 하는데 이번 실험은 장시간 오래 있을수 없어서 대수기까지의 uv값만 측정해서 하였다. 측정한 uv 값도 증식곡선의 그래프와 같이 비슷하게 나왔다. 뒤에 정지기부터 사멸기까지는 조교님이 주신값에 따라 했으므로 물론 결과값도 세균의 증식곡선과 비슷하게 나왔다. 우리가 측정한 uv 값은 정확한 값이 아니라고 했다 만약 우리가 uv 값을 실험시에 TSB배지를 충분히 흔들어 섞고 피펫으로 뺀다면 지금보다 조금더 정확한 값이 나올지는 모르지만 지금의 이 UV 값은 피펫으로 액을 뺄때 TSB 액상배지에 있는 균들이 골고루 있지못하기 때문에 틀린값이 나올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UV를 측정할 때 큐벳을 사용했는데 큐벳은 플라스틱재질로 된것부터 하여 석영으로 된것등 여러 가지가 있다고 한다. 우리가 실험에서 그랬던것처럼 씻어서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잘 닦아 주어야한다. 큐벳은 실험할 때 보았는데 시약을 넣는 공간의 크기가 다른것도 있었다. 어떤것은 피펫으로 한번만 해도 큐벳이 꽉차지만 어떤것은 같은 피펫으로 두 번은 해야 큐벳이 꽉차는것도 있었다. 큐벳은 불투명한곳과 투명한곳을 가지는데 UV는 투명한곳을 통해 측정하게 된다. 그래서 지문이 묻으면 안되기 때문에 큐벳을 잡을때 불투명한 부분을 잡아야 한다고 했다. 만약에 이 투명한 곳에 지문이 묻게 될 경우 UV 측정기에서 파장이 나올때 빛이 곧바르게 닿지 못하고 꺾여서 이상한 값이 나올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처음 사용하고 난후에는 아세톤이나 물로 큐벳을 꼭 씻어야 한다.
흡광도란 O.D (optical density)를 말하는 것으로 물질마다 빛을 최대한 흡수하는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실험에 따라 빛의 파장을 최적의 영역으로 바꿔 주어야 한다. 흡광도 측정시에는 처음 UV 측정기에서 BLANK 값을 BLANK는 공실험으로 실제 실험의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시약만으로 똑같은 조작을 하기 위한 빈 시료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시약이나 온도에 따라 여러차이가 생길수 있다. 따라서 이것을 감안해서 시료를 넣고 측정하기 전에 공시료를 넣음으로써 기준이 되는 점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번실험에서 균이 들어있지 않은 액체를 기준으로 했다. TSB로 배양 했으므로 TSB 1ml를 큐벳 안에 넣고 blank를 눌러주면 TSB로 기준을 잡은 것이다. 그런 다음 혼합액 1ml를 넣고 sample을 눌러 주면 흡광도가 측정 된다. 실험 결과에서 흡광도가 시간이 갈 때 줄어드는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컬쳐튜브에서 시료를 채취할 때 균이 일정하게 분포해있지 않았을 경우라고 한다. 만약 균이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다면 그 값이 일정하겠지만 만약에 균이 일정하게 분포되지 않았더라면 어떤부위를 측정했는지에 따라 지수기에서 그 값이 줄어 들수도있다. 지수기는 생장이 거의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방지 하기 위해서 잘 섞어주는 파이펫팅이 중요한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8. 참고문헌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ies_hty&ie=utf8&query=%EB%8F%99%EA%B8%B0%EC%83%9D%EC%9E%A5%20%EA%B3%A1%EC%84%A0
http://cms.daegu.ac.kr/sgpark/microbiology/%EC%83%9D%EC%9E%A5%EC%A6%9D%EC%8B%9D.htm
http://blog.naver.com/tmvptufgod?Redirect=Log&logNo=30097700587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3.12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34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