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잡고 수직으로 운반하여야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그리고 관찰을 할 때, 저배율에서 고배율 순으로 관찰해야하는 이유를 몰랐는데, 저배율부터 해야 시야가 넓어지므로 물체를 찾기 쉽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험하기 전에 광학현미경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통해 상을 보기 때문에 도립허상으로 보일 것이고, 해부현미경은 광학현미경보다 배율이 높지 않아 광학현미경으로 보는 것보다 작게 보이지만 상하좌우가 바뀌지 않고 보일 것이며, 광학현미경의 경우 글자 프레파라트를 관찰하면서 재물대를 앞으로 움직이면 상은 뒤쪽으로 움직이고, 재물대를 왼쪽으로 움직이면 물체의 상은 오른쪽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는데, 실험결과 가설이 사실과 일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 수업부터는 실험을 더욱 성공적이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수업 전에 알려주시는 키워드에 대해 예습을 해가고, 실험 전 설명하시는 내용을 더욱 집중해서 듣고 더 신중하게 실험에 임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7. 인용문헌(Literature cited)
미생물학실험서, 한국미생물학회 편, p.11-14
미생물학실험, 박철희,김관천, 정병곤, 조기안 공저, p.13-19
일반생물학실험, 권오길, 김경훈, 김준철, 유기억, 이한수, 정연숙, 조동현, 진창덕, p.5-13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bios2011/183
http://cafe.naver.com/chubuscience/270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두산백과
네이버 블로그 - http://yonggulee.egloos.com/m/3413391
7. 인용문헌(Literature cited)
미생물학실험서, 한국미생물학회 편, p.11-14
미생물학실험, 박철희,김관천, 정병곤, 조기안 공저, p.13-19
일반생물학실험, 권오길, 김경훈, 김준철, 유기억, 이한수, 정연숙, 조동현, 진창덕, p.5-13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bios2011/183
http://cafe.naver.com/chubuscience/270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두산백과
네이버 블로그 - http://yonggulee.egloos.com/m/3413391
추천자료
주사 탐침 현미경
SPM(Scanning Probe Microscopy)현미경의 이해.ppt
SEM(전자현미경)실험 예비보고서
SEM(전자현미경)
눈의구조, 현미경, 돋보기, 접안렌즈
평판배지 분리배양 실험 + 현미경 사용
TEM 투과 전자 현미경
[실험보고서] 금속의 현미경 조직 실험
일반생물학 - 현미경에 대해서
[해부생리학] 뼈의 구조와 현미경, 뼈조직[osseous tissue, bone]
투과 전자현미경(TEM)
섬유감별시험(의류소재의이해, 섬유연소시험, 현미경시험, 용해시험, 정색시험) 파워포인트, ...
생물학 실험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주사전자현미경)의 원리와 구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