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bstract & Introduction
2. 실험 결과 (Data & Result)
(1) 실험 A-다니엘 전지.
(2) 실험 B-전기 전도도
(3) 실험 C-잘 녹지 않는 염의 용해도 측정.
3. 결과 토의(Discussion)
(1) 실험 A에 대한 설명.
② 오차 분석
(2) 실험 B에 대한 설명.
(3) 실험 C에 대한 설명.
4. Reference
2. 실험 결과 (Data & Result)
(1) 실험 A-다니엘 전지.
(2) 실험 B-전기 전도도
(3) 실험 C-잘 녹지 않는 염의 용해도 측정.
3. 결과 토의(Discussion)
(1) 실험 A에 대한 설명.
② 오차 분석
(2) 실험 B에 대한 설명.
(3) 실험 C에 대한 설명.
4. Reference
본문내용
물에서 NaCl은 Na+이온, Cl-이온상태로 존재하므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전기 음성도는 원자가 전자를 잃어버리는 능력인 ‘이온화 에너지’와, 전자를 얻는 능력인 ‘전자 친화도’의 평균치이다. 이는 한 원자가 자신과 결합하고 있는 다른 원자로부터 전자를 끌어당기려는 경향으로 정의된다. 결합을 이룬 두 원자의 전기 음성도 값을 비교해 보면 그 차이 값에 의해, 이 원자들이 이온결합, 공유결합 또는 극성 공유결합 중 어느 형태를 갖는지 알 수 있다.
NaCl은 전기음성도 차이가 큰 이온 결합성 물질이다. 물에 녹아서 이온화된 Na+와 Cl- 이온이 전해질로 작용하여 전기가 흐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설탕 분자의 경우 탄소, 수소, 산소의 전기음성도 차이가 적어서 이온화되지 못하고 분자상태로 존재하여 전해질로 작용하지 않는다. (물에 녹기 전의 NaCl은 이온화되지 않았다.)
공유결합과 이온결합은 실제로 전자를 얼마나 빼앗겼는지의 차이로 구분된다. 즉 공유결합과 이온결합의 차이는 전기음성도의 크기 차이일 뿐이다. 전기음성도 차이가 크면 이온결합이라고 하는 것이고, 작으면 공유결합이라고 하는 것이다.
cf> F(4.0)최대값, Fr(0.7)최소값
-전기 음성도와 결합의 이온성-
이온결합 > |전기 음성도의 차이|=1.7 > 공유 결합
NaCl에서 각각 전기 음성도를 구해보면 Na는 0.9이고, Cl은 3.0이다.
|3.0-0.9|=|2.1| > 1.7 =>이온결합.
H-O결합에서 전기 음성도를 보면,
H가 2.1 O가 3.5이다.
|3.5-2.1|=|1.4| < 1.7 =>공유결합.
오렌지 주스일 때 LED의 밝기가 오렌지일 때의 LED밝기보다 밝았는데 이것은 오렌지 주스 안에 오렌지보다 더 많은 이온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온이 많을수록 전하 전달이 쉬워지므로, 저항이 작다고 할 수 있다.
cf>주의할 점은 LED의 방향을 잘 연결하는 것이다. 다이오드는 정류소자, p-n접합체로 n을 -극, p를 +극에 연결할 때만 전류가 흐른다.
실험에서는 긴 것과 짧은 것이 잘 구분되지 않았다.
(3) 실험 C에 대한 설명.
50ml 에 KCl용액의 농도를 0.030M로 만들기 위해 넣어야할 KCl의 질량을 먼저 구해보면,
(KCl분자량 74.56)
우선, 초기 Cl-의 농도는 0.030M이다.
식을 정리하면,
(Zn2+농도는 0.01M로 실험했다.)
반응 전 [Ag+]=X4.63*10-8
반응 후 [Ag+]=Y3.67*10-13
[Cl-]=가한 KCl몰수-(X-Y)0.03 (X-Y값이 0.03보다 매우 작다.)
그러므로
Ksp=[Ag+][Cl-]=3.67*10-13*0.031.10*10-14
([Ag+]는 반응 후를 말함)
문헌에 나온 Ksp 는 1.6 * 10-10 으로 측정된 값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4. Reference
①[Principle of Modern Chemistry - fourth edition] Oxtoby, Gillis, Nachtrieb
②[General Chemistry Forth Edition]
전기 음성도는 원자가 전자를 잃어버리는 능력인 ‘이온화 에너지’와, 전자를 얻는 능력인 ‘전자 친화도’의 평균치이다. 이는 한 원자가 자신과 결합하고 있는 다른 원자로부터 전자를 끌어당기려는 경향으로 정의된다. 결합을 이룬 두 원자의 전기 음성도 값을 비교해 보면 그 차이 값에 의해, 이 원자들이 이온결합, 공유결합 또는 극성 공유결합 중 어느 형태를 갖는지 알 수 있다.
NaCl은 전기음성도 차이가 큰 이온 결합성 물질이다. 물에 녹아서 이온화된 Na+와 Cl- 이온이 전해질로 작용하여 전기가 흐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설탕 분자의 경우 탄소, 수소, 산소의 전기음성도 차이가 적어서 이온화되지 못하고 분자상태로 존재하여 전해질로 작용하지 않는다. (물에 녹기 전의 NaCl은 이온화되지 않았다.)
공유결합과 이온결합은 실제로 전자를 얼마나 빼앗겼는지의 차이로 구분된다. 즉 공유결합과 이온결합의 차이는 전기음성도의 크기 차이일 뿐이다. 전기음성도 차이가 크면 이온결합이라고 하는 것이고, 작으면 공유결합이라고 하는 것이다.
cf> F(4.0)최대값, Fr(0.7)최소값
-전기 음성도와 결합의 이온성-
이온결합 > |전기 음성도의 차이|=1.7 > 공유 결합
NaCl에서 각각 전기 음성도를 구해보면 Na는 0.9이고, Cl은 3.0이다.
|3.0-0.9|=|2.1| > 1.7 =>이온결합.
H-O결합에서 전기 음성도를 보면,
H가 2.1 O가 3.5이다.
|3.5-2.1|=|1.4| < 1.7 =>공유결합.
오렌지 주스일 때 LED의 밝기가 오렌지일 때의 LED밝기보다 밝았는데 이것은 오렌지 주스 안에 오렌지보다 더 많은 이온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온이 많을수록 전하 전달이 쉬워지므로, 저항이 작다고 할 수 있다.
cf>주의할 점은 LED의 방향을 잘 연결하는 것이다. 다이오드는 정류소자, p-n접합체로 n을 -극, p를 +극에 연결할 때만 전류가 흐른다.
실험에서는 긴 것과 짧은 것이 잘 구분되지 않았다.
(3) 실험 C에 대한 설명.
50ml 에 KCl용액의 농도를 0.030M로 만들기 위해 넣어야할 KCl의 질량을 먼저 구해보면,
(KCl분자량 74.56)
우선, 초기 Cl-의 농도는 0.030M이다.
식을 정리하면,
(Zn2+농도는 0.01M로 실험했다.)
반응 전 [Ag+]=X4.63*10-8
반응 후 [Ag+]=Y3.67*10-13
[Cl-]=가한 KCl몰수-(X-Y)0.03 (X-Y값이 0.03보다 매우 작다.)
그러므로
Ksp=[Ag+][Cl-]=3.67*10-13*0.031.10*10-14
([Ag+]는 반응 후를 말함)
문헌에 나온 Ksp 는 1.6 * 10-10 으로 측정된 값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4. Reference
①[Principle of Modern Chemistry - fourth edition] Oxtoby, Gillis, Nachtrieb
②[General Chemistry Forth Edi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