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1. RFID시스템의 장 ․ 단점
2. RFID system의 구성요소
3. RFID system의 특징
4. RFID 시스템에 대한 선택기준
5. RFID의 주파수 범위
6. RFID 전망
■ 실 험 : RFID 소자의 분석(reverse engineering)
■ 결론 및 고찰
■ 실험 관찰 및 고찰
1. RFID시스템의 장 ․ 단점
2. RFID system의 구성요소
3. RFID system의 특징
4. RFID 시스템에 대한 선택기준
5. RFID의 주파수 범위
6. RFID 전망
■ 실 험 : RFID 소자의 분석(reverse engineering)
■ 결론 및 고찰
■ 실험 관찰 및 고찰
본문내용
더는 온도 사이클이나 충격 테스 트와 같은 다른 품질요구사항을 완전히 충족시켰다.
ㄹ. 도구 및 가스통 인식 - 유도성 결합 트랜스폰더를 금속표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특별한 구조형태가 개발되었다. 트랜스폰더 코일은 페라이트 포트코어 안에 휘감아서 만들고, 트랜스폰더 칩은 반대로 페라이트포트 코어에 장착되고 트랜스폰더 코일과 연결시켰다.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 진동과 열에 대한 허용오차를 얻기 위 하여 트랜스폰더 칩과 페라이트 코어는 에폭수지를 이용하여 PSP막으로 주조된다. 트랜스폰터의 크기와 부착면적은 ISO69873 규격에 표준화되어서 도구 손잡이에 부착되도록 한 쪽면에 잘려져 나간 형태를 취하고 있다. 가스통의 인식을 위해 서는 다른 설계가 사용된다.
ㅁ. ID-1형태. 비접촉 스마트카드 - 신용카드와 전화카드와 유사한 형태인 ID-1형태는 RFID system의 비접촉 스마트카드로써 점차적으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유도성 결합 RFID system인 이 형태는 큰 코일 면적을 갖는 장점이 있는데, 이 때문에 스마 트카드의 인식범위가 늘어난다. 비접촉 스마트카드는 트랜스폰더의 네 겹의 PVC로 된 박판에 의해 제조된다. 각각의 박판은 연속적인 접착을 시키기 위해 높은 압력과 10 0℃이상의 온도에서 소성된다.
ID-1설계의 비접촉 스마트카드는 광고를 전달하는데 매우 적합하고 가끔은 전화카드의 예처럼 예술작품을 인쇄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ISO7810의 ID-1카도에 대해 규정된 최대두께 0.8mm를 유지하기 위해서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ㅂ. 스마트라벨 - 스마트라벨이라는 용어는 종이처럼 얇은 트랜스폰더의 형태를 뜻한다. 이 형태의 트랜스폰더에서 트랜스폰더 코일은 스크린 인쇄 또는 에칭에 의해 0.1mm두께의 플라스틱 박판에 적용한다. 이 박판은 가끔 종이층을 압착 박층이 되고 뒷면이 접착용으로 코팅된다. 트랜스폰더는 연속된 룰에 자 동 접착 스티커 형태로 공급되며, 모든 형태의 화물, 포장, 상품들에 부착 될 수 있게 충분히 얇고 유연하다. 접착성 라벨은 쉽게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라벨의 앞면에 인쇄한 바코드와 저장된 데이트를 연결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ㅅ. 다른 형태들 - Key Fobs, 시계, Coil-on-chips 등.
2)리더
ㄱ. 애플리케이션 - 비접촉 데이터 캐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쓰도록 설계된 소프트웨 어 애플리케이션은 인터페이스로써 비접촉 리더를 필요로 한다. 비접촉 데이터 캐리어(트랜스폰더)와 관련된 읽기와 쓰기 동작은 주 종 (master-slave)원리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 진다.
계층적 시스템 구조에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주(master)를 의미 하고, 리더는 종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부터 쓰기/읽기 명령 을 수신하였을 때만 동작하게 된다.
리더는 트랜스폰더와의 관계에서 주(master)역할을 한다. 따라서 트랜스 폰더는 리더로부터의 명령에만 응답하고, 독립적으로 활성화 되지는 않 는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부터 리더로의 간단한 읽기 명령은 리더와 트 랜스폰더와의 통신을 시작한다. 따라서, 리더의 주된 기능은 데이터 캐 리어(트랜스폰더)를 활성화시키고, 데이터 캐리어와의 통신 sequence를 구성하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의 비접촉 데이터 캐리어간의 데이 터를 전달하는 것이다. 비접촉 통신의 모든 특징. 즉, 통신 주체간의 연 결과 충돌방지 및 인증 과정의 수행등은 전체적으로 리더에 의하여 관리 된다.
ㄴ. 리더의 구성요소 - 모든 시스템에서 리더들은 두 가지 기본적인 기능 블록으로 구성된 다 → 제어시스템과 HF인터페이스
또한 HF인터페이스는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된다.
a)HF인터페이스
■리더의 HF인터페이스의 기능
- 트랜스폰더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고주파 전송 전력의 발생과 트랜스폰더로의 전원공급
- 트랜스폰더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신호의 변조
- 트랜스폰더로부터 전송된 HF신호의 수신과 복조
HF인터페이스에는 두 개의 신호경로가 있는데 이것은 트랜스폰더로 들어가고 나오는 두 개의 데이터 흐름을 담당하기 위한 것이다. 트랜스폰더로 전송된 데이터는 송신기 경로(arm)를 통하여 전파된다. 반대로 트랜스폰더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수신기 경로(arm)에서 처리된다.
b)제어시스템
■리더의 제어 유닛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의 통신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실행
- 트랜스폰더와의 통신제어(master-slave원리)
- 신호의 코딩과 디코딩
3. RFID system의 특징
1)동작방식
ㄱ. 전이중방식(FDX)/반이중방식(HDX)
- 이 시스템에서 트랜스폰더의 응답은 리더의 RF전자계의 스위치가 커져 있을 때 송출한 다. 수신기 안테나도 가는 트랜스폰더의 신호는 리더 자체에서 나오는 신호에 비해 매 우 약하기 때문에 리더로부터의 신호에서 트랜스폰더의 신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적절한 전송 프로시저를 채택해야 한다. 실제로 트랜스폰더에서 리더로의 데이트 전송은 부하 변조(load modulation),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부하변조, 또한 리더의 전송 주파수의 부 고주파(sub harmonics)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ㄴ. 순차적방식(SEQ)시스템
- 리더로부터의 전자기파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간단하게 스위치를 끌 수 있는 시스템 을 채택한다. 트랜스폰더가 이러한 간격을 인식하고 리더에 데이터를 보낸다.
순차적 프로시저의 단점은 송신 중의 짧은 휴지기간에 트랜스폰더의 전력손실이 있다는 것인데, 이는 충분한 보조 커패시터나 배터리 공급으로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한 다.
2)특성
ㄱ. 트랜스폰더로의 전력공급
- 수동형 트랜스폰더는 자체 전원을 갖지 않기 때문에 수동형 트랜스폰더의 동작에 필요 한 모든 전원을 리더의 전자기파에서 끌어써야 한다.
반대로 능동형 트랜스폰더는 배터리를 가지고 있어서 마이크로칩을 구동할 전원의 일부 또는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ㄴ. 동작 주파수와 시스템의 사용거리
- RFID의 동작 주파수는 리더가 전송하는 주파수이다.
트랜스폰더의 전송 주파수는 중요시 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그것은 리더의 전 송 주파수(부하
ㄹ. 도구 및 가스통 인식 - 유도성 결합 트랜스폰더를 금속표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특별한 구조형태가 개발되었다. 트랜스폰더 코일은 페라이트 포트코어 안에 휘감아서 만들고, 트랜스폰더 칩은 반대로 페라이트포트 코어에 장착되고 트랜스폰더 코일과 연결시켰다.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 진동과 열에 대한 허용오차를 얻기 위 하여 트랜스폰더 칩과 페라이트 코어는 에폭수지를 이용하여 PSP막으로 주조된다. 트랜스폰터의 크기와 부착면적은 ISO69873 규격에 표준화되어서 도구 손잡이에 부착되도록 한 쪽면에 잘려져 나간 형태를 취하고 있다. 가스통의 인식을 위해 서는 다른 설계가 사용된다.
ㅁ. ID-1형태. 비접촉 스마트카드 - 신용카드와 전화카드와 유사한 형태인 ID-1형태는 RFID system의 비접촉 스마트카드로써 점차적으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유도성 결합 RFID system인 이 형태는 큰 코일 면적을 갖는 장점이 있는데, 이 때문에 스마 트카드의 인식범위가 늘어난다. 비접촉 스마트카드는 트랜스폰더의 네 겹의 PVC로 된 박판에 의해 제조된다. 각각의 박판은 연속적인 접착을 시키기 위해 높은 압력과 10 0℃이상의 온도에서 소성된다.
ID-1설계의 비접촉 스마트카드는 광고를 전달하는데 매우 적합하고 가끔은 전화카드의 예처럼 예술작품을 인쇄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ISO7810의 ID-1카도에 대해 규정된 최대두께 0.8mm를 유지하기 위해서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ㅂ. 스마트라벨 - 스마트라벨이라는 용어는 종이처럼 얇은 트랜스폰더의 형태를 뜻한다. 이 형태의 트랜스폰더에서 트랜스폰더 코일은 스크린 인쇄 또는 에칭에 의해 0.1mm두께의 플라스틱 박판에 적용한다. 이 박판은 가끔 종이층을 압착 박층이 되고 뒷면이 접착용으로 코팅된다. 트랜스폰더는 연속된 룰에 자 동 접착 스티커 형태로 공급되며, 모든 형태의 화물, 포장, 상품들에 부착 될 수 있게 충분히 얇고 유연하다. 접착성 라벨은 쉽게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라벨의 앞면에 인쇄한 바코드와 저장된 데이트를 연결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ㅅ. 다른 형태들 - Key Fobs, 시계, Coil-on-chips 등.
2)리더
ㄱ. 애플리케이션 - 비접촉 데이터 캐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쓰도록 설계된 소프트웨 어 애플리케이션은 인터페이스로써 비접촉 리더를 필요로 한다. 비접촉 데이터 캐리어(트랜스폰더)와 관련된 읽기와 쓰기 동작은 주 종 (master-slave)원리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 진다.
계층적 시스템 구조에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주(master)를 의미 하고, 리더는 종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부터 쓰기/읽기 명령 을 수신하였을 때만 동작하게 된다.
리더는 트랜스폰더와의 관계에서 주(master)역할을 한다. 따라서 트랜스 폰더는 리더로부터의 명령에만 응답하고, 독립적으로 활성화 되지는 않 는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부터 리더로의 간단한 읽기 명령은 리더와 트 랜스폰더와의 통신을 시작한다. 따라서, 리더의 주된 기능은 데이터 캐 리어(트랜스폰더)를 활성화시키고, 데이터 캐리어와의 통신 sequence를 구성하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의 비접촉 데이터 캐리어간의 데이 터를 전달하는 것이다. 비접촉 통신의 모든 특징. 즉, 통신 주체간의 연 결과 충돌방지 및 인증 과정의 수행등은 전체적으로 리더에 의하여 관리 된다.
ㄴ. 리더의 구성요소 - 모든 시스템에서 리더들은 두 가지 기본적인 기능 블록으로 구성된 다 → 제어시스템과 HF인터페이스
또한 HF인터페이스는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된다.
a)HF인터페이스
■리더의 HF인터페이스의 기능
- 트랜스폰더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고주파 전송 전력의 발생과 트랜스폰더로의 전원공급
- 트랜스폰더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신호의 변조
- 트랜스폰더로부터 전송된 HF신호의 수신과 복조
HF인터페이스에는 두 개의 신호경로가 있는데 이것은 트랜스폰더로 들어가고 나오는 두 개의 데이터 흐름을 담당하기 위한 것이다. 트랜스폰더로 전송된 데이터는 송신기 경로(arm)를 통하여 전파된다. 반대로 트랜스폰더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수신기 경로(arm)에서 처리된다.
b)제어시스템
■리더의 제어 유닛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의 통신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실행
- 트랜스폰더와의 통신제어(master-slave원리)
- 신호의 코딩과 디코딩
3. RFID system의 특징
1)동작방식
ㄱ. 전이중방식(FDX)/반이중방식(HDX)
- 이 시스템에서 트랜스폰더의 응답은 리더의 RF전자계의 스위치가 커져 있을 때 송출한 다. 수신기 안테나도 가는 트랜스폰더의 신호는 리더 자체에서 나오는 신호에 비해 매 우 약하기 때문에 리더로부터의 신호에서 트랜스폰더의 신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적절한 전송 프로시저를 채택해야 한다. 실제로 트랜스폰더에서 리더로의 데이트 전송은 부하 변조(load modulation),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부하변조, 또한 리더의 전송 주파수의 부 고주파(sub harmonics)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ㄴ. 순차적방식(SEQ)시스템
- 리더로부터의 전자기파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간단하게 스위치를 끌 수 있는 시스템 을 채택한다. 트랜스폰더가 이러한 간격을 인식하고 리더에 데이터를 보낸다.
순차적 프로시저의 단점은 송신 중의 짧은 휴지기간에 트랜스폰더의 전력손실이 있다는 것인데, 이는 충분한 보조 커패시터나 배터리 공급으로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한 다.
2)특성
ㄱ. 트랜스폰더로의 전력공급
- 수동형 트랜스폰더는 자체 전원을 갖지 않기 때문에 수동형 트랜스폰더의 동작에 필요 한 모든 전원을 리더의 전자기파에서 끌어써야 한다.
반대로 능동형 트랜스폰더는 배터리를 가지고 있어서 마이크로칩을 구동할 전원의 일부 또는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ㄴ. 동작 주파수와 시스템의 사용거리
- RFID의 동작 주파수는 리더가 전송하는 주파수이다.
트랜스폰더의 전송 주파수는 중요시 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그것은 리더의 전 송 주파수(부하
키워드
추천자료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장 동향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경영정보시스템의 필수 단어정리들
국제운송론-물류정보기술개념
UNIQLO (유니클로)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