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문서교환
2.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3. JIT= JUST IN TIME= 적시 생산 시스템
4.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업무재설계)
5.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고객관계관리 顧客關係管理 )
6. QR (Quick Response, 신속대응)
7.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전사적 자원 관리
8. 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관리
9. VMI (Vendor Managed Inventory) 공급자관리창고
10. TPL [third party logistics] 3자물류
11.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지능형 교통 시스템, 첨단교통체계기술
① 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② ATIS(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③ APTS(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④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
⑤ AVHS(Advanced Vehicle and Highway System):
12. GCTS(Global Container Tracking System)란?
13.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 차량운영정보시스템, 첨단화물운송시스템
14.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운송관리 시스템
15.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 관리시스템
2.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3. JIT= JUST IN TIME= 적시 생산 시스템
4.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업무재설계)
5.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고객관계관리 顧客關係管理 )
6. QR (Quick Response, 신속대응)
7.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전사적 자원 관리
8. 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관리
9. VMI (Vendor Managed Inventory) 공급자관리창고
10. TPL [third party logistics] 3자물류
11.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지능형 교통 시스템, 첨단교통체계기술
① 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② ATIS(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③ APTS(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④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
⑤ AVHS(Advanced Vehicle and Highway System):
12. GCTS(Global Container Tracking System)란?
13.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 차량운영정보시스템, 첨단화물운송시스템
14.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운송관리 시스템
15.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 관리시스템
본문내용
와 필요 부서 간의 정확한 정시 납품 보장 등을 실현하고 최적의 운송계획 및 이행 기능은 유입/유출 물류와 재고 보충 등의 운송제약 조건을 고려해 운송을 계획, 최적화 하는 동시에 이행 기능을 이용해 계획을 수행한다.
운송 관리의 방향은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면서, 수/배송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재고비용까지 절감함으로써 총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크로스도킹(Cross-Docking) 등의 방법들을 사용하여 수송 시스템을 더욱 빠르게 하고 업체의 재고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TMS 주요 기능
TMS는 최적 수송 수단 및 최적 수송 경로를 계획(Routing)하고 운송 계획 및 차량의 일정을 관리하며 화물 추적, 운임 계산의 자동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운송 수단의 배차 계획 및 화물 적재 계획 수립하여 가능한 납입 날짜(Available to Promise, ATP)를 확정할 수 있다.
핵심기능
라우팅(Routing)은 통신, 네트워크 용어로 패킷을 발신지부터 목적지까지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보낼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본적인 경로 배정 과정이다. 즉, 운송 계획에서 라우팅은 현 수송 계획에서 각 납입선의 거리, 도로 상황에 대응한 이동시간, 납입선 도착 시간을 계산하여 차량 별 최적화된 상세 루트를 표시, 전사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가리킨다.
도입효과/ 고려요소
TMS를 도입함으로써 업무효율을 대폭적으로 개선하고, 대기시간 및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해 졌다. 또한 화물의 도착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고, 추적, 긴급 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등 고객서비스 측면에서 많은 효과를 본다. 10~30%의 수송비 절감과 물류 비용 삭감 등 재무적인 향상도 가져온다. 적절한 유통 재고량을 유지하고 정확한 물류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수주에서 출하까지 작업의 표준화, 효율화를 통한 주문의 안정화가 이루어 져야 한다.
* 수송수단 선택 위한 체크리스트
구분
내용
비고
편리성
송장 등 운송 서류 및 기타 서류가 간단한가
필요 시 이용하기 쉬운가
확실성
지정 일자 내 인도 가능한가
정시간 운행이 가능한가
신속성
발송에서 도착까지의 시간이 단기간인가
주행속도가 신속한가
안전성
클레임 발생 빈도가 많은 가
사고에 의한 화물의 손상이 적은가
경제성
절대평가상태평가에 의해 비용이 저렴한가
자사의 운송수단 이용보다 저렴한가
신뢰성
운송주체가 크고 안전성이 높은가
장기 거래관계가 있는가
* 수송 유형별 적합 교통 수단
유형
고려해야 할 요소
적합한 교통 수단
공장 a 물류 거점간 간선 수송의 경우
충분한 납기 여유
차량 단위 규모
계획 수송
대형 트럭
컨테이너, 선반(원거리 , 대량의 경우)
공장 a 대규모 소비자 직송의 경우
불출분한 납기 여유
정확성 유지
중형 트럭
소형 컨테이너, 카페리(원거리시)
물류 거점 a 소규모 소비자 배송의 경우
납기 임박
정확성 유지
소량, 다품종
중,소형 트럭
승용화물 차량
항공편(소량, 납기임박의 경우)
scm.korcham.net(SCM 도입가이드)
15.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 관리시스템
각종 예정정보(ASN)를 바탕으로 창고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창고업무(입고, 적치, 출고, 이동, 재물조사 등)를 신속 정확하게 관리하고 Supply Channel과의 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창고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SCE (Supply Chain Execution) 솔루션의 하나이다.
WMS는 자재 또는 제품을 적재하고 관리하는 창고에 관한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전산정보화하여 보다 적은 인원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창고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시스템입니다. WMS는 창고내의 모든 실물과 정보가 일치 하도록 하여 기업활동의 핵심 자원인 자재 및 제품정보에 대한 확고한 신뢰를 제공하며 보다 투명한 관리가 되도록 도와줍니다. WMS는 MES 및 ERP와 상호 연계 함으로서 자동화의 범위를 확대하고 정보의 신뢰성 및 가용성을 높여줍니다. 특히 각 창고에 대한 실시간 재고정보를 공유함으로서 직관적인 영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WMS는 기존 수기전표에 의한 입고 및 출고 업무, 그리고 장부 기록 내지는 Excel과 같은 OA S/W로 관리하던 재고관리 업무, 작업자의 판단에 의존했던 적재 및 피킹 업무를 하나의 통합된 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하고 무선단말기(PDA)를 사용하여 동적, 실시간 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운송 관리의 방향은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면서, 수/배송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재고비용까지 절감함으로써 총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크로스도킹(Cross-Docking) 등의 방법들을 사용하여 수송 시스템을 더욱 빠르게 하고 업체의 재고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TMS 주요 기능
TMS는 최적 수송 수단 및 최적 수송 경로를 계획(Routing)하고 운송 계획 및 차량의 일정을 관리하며 화물 추적, 운임 계산의 자동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운송 수단의 배차 계획 및 화물 적재 계획 수립하여 가능한 납입 날짜(Available to Promise, ATP)를 확정할 수 있다.
핵심기능
라우팅(Routing)은 통신, 네트워크 용어로 패킷을 발신지부터 목적지까지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보낼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본적인 경로 배정 과정이다. 즉, 운송 계획에서 라우팅은 현 수송 계획에서 각 납입선의 거리, 도로 상황에 대응한 이동시간, 납입선 도착 시간을 계산하여 차량 별 최적화된 상세 루트를 표시, 전사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가리킨다.
도입효과/ 고려요소
TMS를 도입함으로써 업무효율을 대폭적으로 개선하고, 대기시간 및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해 졌다. 또한 화물의 도착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고, 추적, 긴급 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등 고객서비스 측면에서 많은 효과를 본다. 10~30%의 수송비 절감과 물류 비용 삭감 등 재무적인 향상도 가져온다. 적절한 유통 재고량을 유지하고 정확한 물류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수주에서 출하까지 작업의 표준화, 효율화를 통한 주문의 안정화가 이루어 져야 한다.
* 수송수단 선택 위한 체크리스트
구분
내용
비고
편리성
송장 등 운송 서류 및 기타 서류가 간단한가
필요 시 이용하기 쉬운가
확실성
지정 일자 내 인도 가능한가
정시간 운행이 가능한가
신속성
발송에서 도착까지의 시간이 단기간인가
주행속도가 신속한가
안전성
클레임 발생 빈도가 많은 가
사고에 의한 화물의 손상이 적은가
경제성
절대평가상태평가에 의해 비용이 저렴한가
자사의 운송수단 이용보다 저렴한가
신뢰성
운송주체가 크고 안전성이 높은가
장기 거래관계가 있는가
* 수송 유형별 적합 교통 수단
유형
고려해야 할 요소
적합한 교통 수단
공장 a 물류 거점간 간선 수송의 경우
충분한 납기 여유
차량 단위 규모
계획 수송
대형 트럭
컨테이너, 선반(원거리 , 대량의 경우)
공장 a 대규모 소비자 직송의 경우
불출분한 납기 여유
정확성 유지
중형 트럭
소형 컨테이너, 카페리(원거리시)
물류 거점 a 소규모 소비자 배송의 경우
납기 임박
정확성 유지
소량, 다품종
중,소형 트럭
승용화물 차량
항공편(소량, 납기임박의 경우)
scm.korcham.net(SCM 도입가이드)
15.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 관리시스템
각종 예정정보(ASN)를 바탕으로 창고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창고업무(입고, 적치, 출고, 이동, 재물조사 등)를 신속 정확하게 관리하고 Supply Channel과의 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창고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SCE (Supply Chain Execution) 솔루션의 하나이다.
WMS는 자재 또는 제품을 적재하고 관리하는 창고에 관한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전산정보화하여 보다 적은 인원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창고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시스템입니다. WMS는 창고내의 모든 실물과 정보가 일치 하도록 하여 기업활동의 핵심 자원인 자재 및 제품정보에 대한 확고한 신뢰를 제공하며 보다 투명한 관리가 되도록 도와줍니다. WMS는 MES 및 ERP와 상호 연계 함으로서 자동화의 범위를 확대하고 정보의 신뢰성 및 가용성을 높여줍니다. 특히 각 창고에 대한 실시간 재고정보를 공유함으로서 직관적인 영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WMS는 기존 수기전표에 의한 입고 및 출고 업무, 그리고 장부 기록 내지는 Excel과 같은 OA S/W로 관리하던 재고관리 업무, 작업자의 판단에 의존했던 적재 및 피킹 업무를 하나의 통합된 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하고 무선단말기(PDA)를 사용하여 동적, 실시간 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추천자료
[국제법][국내법]국제법의 기원, 국제법의 개념, 국제법의 특성, 국제법의 타당근거, 국제법...
[국제광고][국제광고 표준화와 차별화][차별화 전략]국제광고의 개념, 국제광고 표준화와 차...
[국제이해교육][국제이해교육의 개선 과제]국제이해교육의 개념, 국제이해교육의 성격, 국제...
PCT(특허협력조약)국제출원의 개념과 동향, PCT(특허협력조약)국제출원의 장점, PCT(특허협력...
[국제이해교육][국제이해교육 추진시책]국제이해교육의 개념, 국제이해교육의 목적, 국제이해...
[국제인권, 아동권리, 아동보호협약, 아동인권단체]국제인권의 개념, 국제인권의 약력, 국제...
무역거래(국제거래)의 개념, 종류, 무역거래(국제거래)의 조건, 무역거래(국제거래)의 계약항...
[국제마케팅][마케팅]국제마케팅의 개념, 국제마케팅의 중요성, 국제마케팅의 기능, 국제마케...
[국제기술이전] 국제라이선싱을 통한 기술이전 -국제라이선싱의 개념과 동기, 특성, 범위, 형...
[국제인수합병] 국제M&A의 성격(국제인수합병의 개념과 확대원인 및 목적), 국제M&A...
[국제수지표의 정의 및 작성방법] ‘국제수지표’의 개념(정의)과 용도, 국제수지표 작성기준 ...
[국제회의사업] 국제회의의 본질(개념,성격,종류), 컨벤션센터의 구성 및 유형, 국제회의용역...
[청소년국제교류 (靑少年國際交流)] 청소년 국제교류의 개념과 청소년국제교류의 중요성, 청...
금융 개념, 기능 및 역사,세계화 시대의금융-국제금융,미국 금융위기,대한민국 금융위기,국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