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주요 모델로 투입하게 된다. 특히 상트로는 국내에서는 최소형급에 해당하지만 인도에서는 최소형 및 소형급 수요까지 충족시켜 줄 수 있었음으로 더욱 효과가 컸다. 현대 자동차는 상트로를 경쟁차종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방법으로 가격출시 단기간 내에 수요를 확장하기 위한 volume car로 활용했다. 현대자동차의 이러한 전략은 성공했고 상트로는 출시 된지 2년이 되지 않아 1000cc급 소형차종의 시장 점유율1위를 차지했다. 상트로를 통해 인도 자동차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게 된 현대자동차는 엑센트의 출시를 통해 상위 모델로의 점진적인 확장을 시도한다.
현재 소나타의 경쟁자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혼다 어코드로 소나타와 거의 동시에 출시된 모델이다. 소나타는 경쟁차종과의 차별화를 시도했으며 어코드에 비해 성능에 있어서도 뒤지지 않는다. 또한 완성차를 단순 수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현지에서 자체 생산하여 판매한다는 메시지를 통해 인도인들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는 의도를 강조하여 주요고객들에게 잘 인지시켜야 할 것이다.
현대는 소형차 상트로를 volume car로 활용하여 상승한 현대의 인지도와 고객 충성도를 바탕으로 해서 수익을 극대화하기위해 액센트를 출시했다. 마찬가지로 고급차 시장 부문에서도 소나타를 첫 모델로 경쟁차종에 비해 높은 성능과 인도에 현지화한 모델로 개선하고, 이를 통해 고급차 시장에서의 시장수요를 확보하고 자리를 잡은 는 것이 먼저일 것이다.
그리고 그 후 출시될 고급차의 다른 모델은 가격 면에서나, 차종 자체가 좀더 고급스러운 모델을 출시하여 기술력과 품질에 대한 믿음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전략방식에서 효과가 입증된 것이다. 모두들 그 가능성만은 인정하지만 시장의 개척자가 갖게 되는 부담 때문에 출시를 망설이던 다른 기업들도 하나둘 씩 진입을 계획하고 있다. 포드, 토요타, 텔코, 바겐, 벤츠 사 등도 제품 확장계획을 밝혔다. 각 경쟁사마다 비슷한 전략, 또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현대를 위협하겠지만 초기 진입자로서 주요고객을 선점하고 입지를 구축해 놓는다면, 이처럼 아직은 규모가 크지 않은 고급차 시장에 외국 유명기업들과 싸워야 하는 현대의 길이 험난해도 어둡지만은 않을 것이다.
※ 참고문헌
[파이낸셜뉴스 2006-03-14] 현대차 인도공장 車생산 100만대 돌파
[파이낸셜뉴스 2006-12-21] 파이낸셜뉴스 세계 차부품 인도로 몰린다
[문화일보 2005-12-21] “11억 시장을 잡아라” 인도로 간 한국 기업들
이코노미스트 2002.8.6 NO.648
이코노미스트 2002.5.28 NO.638
한겨례 2000-11-27
국민일보 2001-11-28
내외경제 2002-03-29
연합뉴스 2002-03-29
자동차 경제 2003-05-06
비즈니스위크 6월 20일자
해외자동차 시장동향 1995
세계 자동차 통계
해외자동차 산업동향
www.kotra.or.kr(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www.hyundai-motor.com(현대자동차)
pris.hyundai-motor.com(현대자동차 홍보정보시스템)
현재 소나타의 경쟁자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혼다 어코드로 소나타와 거의 동시에 출시된 모델이다. 소나타는 경쟁차종과의 차별화를 시도했으며 어코드에 비해 성능에 있어서도 뒤지지 않는다. 또한 완성차를 단순 수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현지에서 자체 생산하여 판매한다는 메시지를 통해 인도인들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는 의도를 강조하여 주요고객들에게 잘 인지시켜야 할 것이다.
현대는 소형차 상트로를 volume car로 활용하여 상승한 현대의 인지도와 고객 충성도를 바탕으로 해서 수익을 극대화하기위해 액센트를 출시했다. 마찬가지로 고급차 시장 부문에서도 소나타를 첫 모델로 경쟁차종에 비해 높은 성능과 인도에 현지화한 모델로 개선하고, 이를 통해 고급차 시장에서의 시장수요를 확보하고 자리를 잡은 는 것이 먼저일 것이다.
그리고 그 후 출시될 고급차의 다른 모델은 가격 면에서나, 차종 자체가 좀더 고급스러운 모델을 출시하여 기술력과 품질에 대한 믿음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전략방식에서 효과가 입증된 것이다. 모두들 그 가능성만은 인정하지만 시장의 개척자가 갖게 되는 부담 때문에 출시를 망설이던 다른 기업들도 하나둘 씩 진입을 계획하고 있다. 포드, 토요타, 텔코, 바겐, 벤츠 사 등도 제품 확장계획을 밝혔다. 각 경쟁사마다 비슷한 전략, 또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현대를 위협하겠지만 초기 진입자로서 주요고객을 선점하고 입지를 구축해 놓는다면, 이처럼 아직은 규모가 크지 않은 고급차 시장에 외국 유명기업들과 싸워야 하는 현대의 길이 험난해도 어둡지만은 않을 것이다.
※ 참고문헌
[파이낸셜뉴스 2006-03-14] 현대차 인도공장 車생산 100만대 돌파
[파이낸셜뉴스 2006-12-21] 파이낸셜뉴스 세계 차부품 인도로 몰린다
[문화일보 2005-12-21] “11억 시장을 잡아라” 인도로 간 한국 기업들
이코노미스트 2002.8.6 NO.648
이코노미스트 2002.5.28 NO.638
한겨례 2000-11-27
국민일보 2001-11-28
내외경제 2002-03-29
연합뉴스 2002-03-29
자동차 경제 2003-05-06
비즈니스위크 6월 20일자
해외자동차 시장동향 1995
세계 자동차 통계
해외자동차 산업동향
www.kotra.or.kr(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www.hyundai-motor.com(현대자동차)
pris.hyundai-motor.com(현대자동차 홍보정보시스템)
추천자료
현대자동차의 인도시장 진출 사례
현대자동차 조직개발(변화와 혁신)
글로벌경영 - R&D의 국제화와 신제품 개발 전략 (현대모터인디아)
현대자동차의 해외 진출 성공 사례 연구
자동차산업의 국제화 전략
[국제마케팅론]현대자동차 캐나다 진출전략
[현대][현대백화점][현대그룹][SK하이닉스][현대전자][현대자동차][현대차]현대백화점, 현대...
현대자동차,도요타,GM자동차 해외직접투자 FDI 사례분석과 각 전략의 공통점,차이점분석과 각...
브라질 자동차 산업 및 기업진출사례 - 현대자동차 (브라질 국가 경쟁력 분석, 브라질 자동차...
현대자동차의 인도시장 진출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