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상실된다.
㉡ 모양체(ciliary body)
: 홍채 후면에 있는 평활근 고리, 현수인대를 이완시키기 위해 수축
㉢ 홍채(iris)
: 수정체와 각막 사이에 위치
- 카메라의 조리개 역할
- 색소과립 세포가 있어 안구색깔을 나타내고 외부광선을 차단한다.
→ 안구색깔은 색소과립의 밀도에 따라 다양
ㄷ. 신경층(망막,retina)
: 안구의 뒤쪽 2/3에 형성되어 있으며 시각 수용체인 간상체와 추상체를 포함
- 추상체는 색깔을 구별하는 반면 간상체는 단지 빛만을 감지
- 안구후면에 황반이 있다.
- 중심와: 이곳에 상이 맺혀져야만 사물이 명료하게 나타난다.
- 맹점: 시신경 유두의 중앙에 있으며 시신경세포가 없어 광선자극에 대해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
② 굴절 매체
ㄱ. 안방수(Aqueous humor)
: 모양체 주위의 모양돌기 상피에서 생성되는 맑은 액체
- 안압형성
- 빛을 굴절시키는 매개체
- 혈관이 없는 각막과 같은 조직에 영양공급
- 모양체 돌기에서 생성되어 후방으로 유출된 후 동공을 따라 흘러나와 전방의 실램관로 흡수된다.
- 녹내장 ⇒ 안방수 흐름에 방해가 있으면 안방수가 축적되어 안압이 상승하게 되어 이때 양막과 시신경이 압박되면서 손상을 가지고 올 수 있다.
ㄴ. 수정체(Lens)
: 안구중앙에 볼록하게 생긴 둥근 모양의 투명한 무혈관성 조직
- 모양체근이 부착되어 있고, 렌즈라고 부른다.
- 물체를 선명하게 보이도록 조절
- 모양체근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수정체 두께가 변화되어 수정체 볼록정도가 조절되면서 먼 곳과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의 초점이 정확히 맺히도록 조절하기 때문에 물체가 선명하게 보인다.
- 백내장: 수정체에 혼탁이 생기면 빛의 투과를 막아 나타나는 시력장애
ㄷ. 초자체(Vitreous humor)
: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공간에 들어있는 무색투명한 젤리 모양의 조직으로 안구용적 및 2/3을 차지한다.
- 안구의 모양을 구형으로 유지
- 망막과 맥락막층을 지지하고 보호
- 수정체에서 망막에 이르는 광선의 통로
③ 안구의 강
: 눈에는 두 개의 강(cavities) 즉, 후강과 전강이 있다. 크기 가 약간 더 큰 후강은 수정체와 망막의 사이에 있으며 초자체액(vitreous humor)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반고체성 물질이 망막이 제 위치에 있도록 지켜 준다. 만일 안구가 천공되어 초자체액을 소실하게 되면 망막은 맥락으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는 망막박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수정체와 각막의 사이에는 전강(anterior cavity)이 있는데 여기에는 안구의 조 직액인 안방수로 채워져 있다. 안방수는 모양체의 유두에서 형성되어 동공을 거쳐 전방으로 유입되어 홍채와 각막의 연결부위에 있는 슐렘관(작은 혈관들은 공막 정맥동이라 부른다)에 의해 재 흡수된다. 안방수는 조직액이기 때문에 영 양공급의 기능을 한다. 수정체와 각막은 모세혈관이 없으며 그것들은 지속적인 안방수의 유입으로 인해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3) 눈의 부속기관
: 외안근, 안와, 안검, 속눈썹, 눈썹, 누선, 혈관, 지방층이 포함
- 80%정도는 안와주위에 있고, 나머지 20%는 안검, 속눈썹, 눈썹과 누선에 의해 보호된다.
① 외안근
: 보고자 하는 물체를 향하여 서로 협동적으로 움직인다.
- 직근: 안구의 수직운동과 수평운동, 사근은 회전운동에 관여한다.
② 눈썹: 돌출되어 있으므로 안면외상으로부터 눈을 보호
③ 속눈썹: 눈에 들어오는 이물을 제거
④ 안검: 골격근에 움직일 수 있는 피부층
- 상안 검거근은 상안검을 들어올리고, 하직근은 하안검을 잡아당기며, 안륜근은 안검이 눈을 덮을 수 있도록 해준다.
- 안검을 깜박이는 반응은 안구앞면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
㉡ 모양체(ciliary body)
: 홍채 후면에 있는 평활근 고리, 현수인대를 이완시키기 위해 수축
㉢ 홍채(iris)
: 수정체와 각막 사이에 위치
- 카메라의 조리개 역할
- 색소과립 세포가 있어 안구색깔을 나타내고 외부광선을 차단한다.
→ 안구색깔은 색소과립의 밀도에 따라 다양
ㄷ. 신경층(망막,retina)
: 안구의 뒤쪽 2/3에 형성되어 있으며 시각 수용체인 간상체와 추상체를 포함
- 추상체는 색깔을 구별하는 반면 간상체는 단지 빛만을 감지
- 안구후면에 황반이 있다.
- 중심와: 이곳에 상이 맺혀져야만 사물이 명료하게 나타난다.
- 맹점: 시신경 유두의 중앙에 있으며 시신경세포가 없어 광선자극에 대해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
② 굴절 매체
ㄱ. 안방수(Aqueous humor)
: 모양체 주위의 모양돌기 상피에서 생성되는 맑은 액체
- 안압형성
- 빛을 굴절시키는 매개체
- 혈관이 없는 각막과 같은 조직에 영양공급
- 모양체 돌기에서 생성되어 후방으로 유출된 후 동공을 따라 흘러나와 전방의 실램관로 흡수된다.
- 녹내장 ⇒ 안방수 흐름에 방해가 있으면 안방수가 축적되어 안압이 상승하게 되어 이때 양막과 시신경이 압박되면서 손상을 가지고 올 수 있다.
ㄴ. 수정체(Lens)
: 안구중앙에 볼록하게 생긴 둥근 모양의 투명한 무혈관성 조직
- 모양체근이 부착되어 있고, 렌즈라고 부른다.
- 물체를 선명하게 보이도록 조절
- 모양체근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수정체 두께가 변화되어 수정체 볼록정도가 조절되면서 먼 곳과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의 초점이 정확히 맺히도록 조절하기 때문에 물체가 선명하게 보인다.
- 백내장: 수정체에 혼탁이 생기면 빛의 투과를 막아 나타나는 시력장애
ㄷ. 초자체(Vitreous humor)
: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공간에 들어있는 무색투명한 젤리 모양의 조직으로 안구용적 및 2/3을 차지한다.
- 안구의 모양을 구형으로 유지
- 망막과 맥락막층을 지지하고 보호
- 수정체에서 망막에 이르는 광선의 통로
③ 안구의 강
: 눈에는 두 개의 강(cavities) 즉, 후강과 전강이 있다. 크기 가 약간 더 큰 후강은 수정체와 망막의 사이에 있으며 초자체액(vitreous humor)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반고체성 물질이 망막이 제 위치에 있도록 지켜 준다. 만일 안구가 천공되어 초자체액을 소실하게 되면 망막은 맥락으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는 망막박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수정체와 각막의 사이에는 전강(anterior cavity)이 있는데 여기에는 안구의 조 직액인 안방수로 채워져 있다. 안방수는 모양체의 유두에서 형성되어 동공을 거쳐 전방으로 유입되어 홍채와 각막의 연결부위에 있는 슐렘관(작은 혈관들은 공막 정맥동이라 부른다)에 의해 재 흡수된다. 안방수는 조직액이기 때문에 영 양공급의 기능을 한다. 수정체와 각막은 모세혈관이 없으며 그것들은 지속적인 안방수의 유입으로 인해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3) 눈의 부속기관
: 외안근, 안와, 안검, 속눈썹, 눈썹, 누선, 혈관, 지방층이 포함
- 80%정도는 안와주위에 있고, 나머지 20%는 안검, 속눈썹, 눈썹과 누선에 의해 보호된다.
① 외안근
: 보고자 하는 물체를 향하여 서로 협동적으로 움직인다.
- 직근: 안구의 수직운동과 수평운동, 사근은 회전운동에 관여한다.
② 눈썹: 돌출되어 있으므로 안면외상으로부터 눈을 보호
③ 속눈썹: 눈에 들어오는 이물을 제거
④ 안검: 골격근에 움직일 수 있는 피부층
- 상안 검거근은 상안검을 들어올리고, 하직근은 하안검을 잡아당기며, 안륜근은 안검이 눈을 덮을 수 있도록 해준다.
- 안검을 깜박이는 반응은 안구앞면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
키워드
안과계의 구조와 기능 , 이비인후과 구조와 기능 , 귀(Ear)의 구조와 기능, 코(Nose)의 구조와 기능, Neck의 구조와 기능, 눈(Eye)의 구조와 기능, 외이, 중이, 안구, 있다, 고막, 망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