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레포트 - 안과계 이비인후과계 구조 및 기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레포트 - 안과계 이비인후과계 구조 및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귀의 구조와 기능
-코의 구조와 기능
-인두의 구조와 기능
-후두 (Larynx)의 구조
-눈의 구조와 기능
-의학용어

3.결론

본문내용

상안검을 들어올림.
하직근 : 하안검을 잡아 당김.
안륜근 : 안검이 눈을 덮을 수 있도록 해줌.
⑦ 안검을 깜빡이는 반응은 안구앞면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
2. 눈의 기능
(1) 시력(visual acuity)
물체를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2개의 직선을 2개로 분해할 수 있는 최소각을 측정하여 그 역수로 나타냄.
① 시각(visual angle) : 물체의 양쪽 끝에서 망막에 이르는 두 직선이 초점에서 이루는 각.
② 시력조절(visual accomodation)
원거리와 근거리에 있는 물체를 알아보기 위해 물체의 초점을 변화시키는 것.
낮과 밤에 따라 달라지는 광선의 량, 빛의 굴절에 따라 달라짐.
- 낮눈보기 : 낮에 물체를 보는 것을 말함. 원뿔세포에 의해 이루어짐.
원뿔세포 : 시신경에 의해 대뇌피질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세포 하나하나가 독자적으로 활동하여 물체를 예리하게 봄.
- 밤눈보기 : 밤에 물체를 보는 것을 말함. 막대세포에 의해 이루어짐.
여러 개의 막대세포는 하나의 시신경에 연결되어 대뇌에 전달되기 때문에 하나하나가 독자적으로 활동하지 못하므로 밤에는 물체가 모호하고 회색으로 보임.
- 폭주(convergence) : 근거리를 볼 때에 두 눈의 시선이 그 물체를 향해 모이는 것.
③ 렌즈의 굴절력 및 조절력
굴절력 : 초점거리의 역수로 나타냄.
- 눈의 총 굴절력 : 안정시 58D
원점 : 58D 굴절력으로 망막에 선명한 상을 맺을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지점. 보통 6m인데, 이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에 물체가 있으면 반사적으로 렌즈두께를 조절하여 굴절력을 증가시킴.
근점 : 더 이상 가까운 곳의 물체를 똑똑히 볼 수 없는 최단거리.
노안 : 조절력 1D, 근점거리 100cm, 돋보기 필요.
④ 광선입사량의 조절
홍채에 의한 동공크기를 변화시킴으로서 조절.
동공크기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활동으로 결정됨.
(2) 시야(visual field)
① 한 눈으로 고정된 한 지점만을 계속 바라볼 때 볼 수 있는 전 외계범위.
② 시야의 중심은 망막의 시신경 유두, 즉 맹점이 되기 때문에 이곳에 투사되는 물체는 전혀 시각을 일이키지 않음.
③ 두눈보기 : 두 눈으로 앞에 있는 한 점을 보게 하면서 눈 하나 하나의 시야를 측정할 때 두 시야가 서로 겹치는 영역.
(3) 색깔감별능력(color vision)
① 막대세포가 담당.
막대세포 : 광선노출에 민감하게 화학변화를 일으키는 rhodopsin, 시자홍 이라는 물질이 간직되어 있고, 광선자극에 대한 역치가 낮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만 시각에 관계하며, 단일 파장에만 예민하게 반응을 나타내어 흑백필름과 같이 광선의 명암만을 받아들임.
(4) 시신경 흥분 전도로
① 시신경이 시각중추에 도달하기 전에 절단, 손상되면 흥분전달이 중단되어 시야장애가 나타남.
(5) 노화와 시각의 변화
① 지방이 감소되어 안검피부가 쭈그러들면 느슨한 주름을 만들고, 안검근막을 앞쪽으로 밀어 피부를 이완시키며, 눈썹거근이 무력해지고 상안검 무게가 증가되기 때문에 노인성 안검하수증이 나타남.
② 하안검과 안구의 간격이 넓어져서 외반안, 내반안이 발생.
③ 누선 분비물 생산 감소 : 안구건조.
④ 각막 : 광택상실. 만곡도가 감소. 노안의 원인이 됨.
⑤ 동공 : 작아지고, 불규칙해지며, 빛의 조절작용이 감소됨.
⑥ 외안운동 : 정상. 위를 응시하는 운동은 비정상.
⑦ 렌즈 : 두꺼워지고 노란색. 전등불을 비추면 불투명하고 회색으로 보이므로 백내장으로 오인하기 쉬움.
⑧ 수정체 : 점차 무색으로 혼탁해짐. 백색으로 혼탁해진 상태(백내장)는 수정체를 적출하고 알맞은 안경으로 시력을 회복할 수 있음.
의학용어 정리
1. ablepsia, ablepsy 실명
2. achromatopsia 색맹
3. amblyopia 약시
4. blepharitis 안검염
5. blindness 실명
6. chalazion 산립종
7. conjunctivitis 결막염
8. dacryostenosis 누관폐쇄증
9. glaucoma 녹내장
10. hordeolum 맥립종
11. lacrima 누액, 눈물
12. myopia 근시
13. hypermetropia, hyperopia 원시
14. nyctalopia, night blindness 야맹증
15. presbyopia 노안
16. retinitis 망막염
17. retinoblastoma 망막아세포종
18. tonometry 안압검사
19. xerophthalmia 안구건조증
20. optic neuropathy 시신경증
21. A/C (anterior chamber of the eye) 눈의 전방
22. CAT (cataract) 백내장
23. M, My (myopia) 근시
24. ON (optic nerve) 시신경
25. Pr (Presbyopia) 노안
26. PRK (photorefractive keratectomy) 광굴절성 각막절제술
27. X (xerophthalmia) 안구건조증
Ⅲ. 결론
항상 소화기계,순환계 약어만 외우느라 정신이 없었는데 안과계와 이비인후과계의 약어를 알아보면서 “아 안과계와 이비인후과에도 이렇게 많은 약어가 있구나” 하는 생각에 다시 한번 놀랐고 역시 간호의 길은 멀고 어렵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하게 되었다.
눈과 귀는 우리 인체에서 우리가 항상 사용하는 기관이고, 항상 곁에 있는 존재여서 소중함
을 모르고 있었는데 조사하면서 만약에 “눈과 귀가 불편하면 어떻게 될까” 라고 생각해보니
정말 막막해졌다. 그리고 다른 부위도 항상 조심히 다뤄야 하는 부위지만 눈과 귀는 더욱더
조심히 다뤄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눈과 귀에 대해 우리가 더 열심히 공부해야 더 최고의
간호를 간호 할수 있겠다 라는 생각에 더욱 더 열심히 공부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참고문헌
이강이외(2004), 인체생리학, 현문사, 452~473p
윤동호외(1999), 안과학, 일조각, 1~29p
윤진영외(2005), 안경사를 위한 안과학, 대학서림, 11~38p
이성호 김귀숙 김순이 노명희 외(2005), 인체해부학, 현문사, 323~332p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5.03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