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처
②계속 아프다고 호소
③자꾸 뒤척임
-기대되는 결과
①통증이 사라진다.
5/1
①통증 사정을 한다.
②적절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③이완 기술을 가르쳐준다.
④통증호소를 경청한다.
⑤수술부위를 관찰한다.
⑥올바른 체위에 대해 교육한다.
5/1
①통증사정을 함.
②적절한 진통제 투여.
③통증호소 경청.
5/2, 5/3
①적절한 진통제 투여.
5/3
①심한 통증
②TLSO착용하고 병실을 천천히 조금씩 돌아다님.
5/4
①중정도 통증
②TLSO착용하고 잘 보행하심.
5/6
①경한 정도의 통증
간호진단
간호계획
중재
평가
4/30
-간호진단
: 감염위험성
-관련요인
①foley 카테터 삽입
②Hemo-vac삽입.
③수술부위의 상처
④c-line
-기대되는 결과
①foley 카테터와 Hemo-vac을 제거할때까지 감염의 징후가 없다.
②수술부위의 상처가 잘 아문다.
5/1
①회음부 간호를 실시한다.
②배액양상을 관찰한다.
③urine bag의 위치를 잘 고정시킨다.
④상처를 소독한다.
⑤dressing을 교환한다.
⑥foley 카테터와 Hemo-vac, c-line 제거한다.
4/30
①배액양상을 관찰함
②urine bag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항상 아래로 향하도록 교육함.
5/2
①회음부간호 실시함.
②상처 소독함.
③dressing 교환함.
④foley 카테터와 Hemo-vac, c-line 제거함.
5/2
①카테터 삽입 부위의 감염징후가 없다.
②상처가 잘 아뭄.
5/3~5/9
①상처부위의 열감이 없고, 잘 아뭄.
간호진단
간호계획
중재
평가
5/1
-간호진단
: 수면장애
-관련요인
①통증
②불안감
③낮잠
-기대되는 결과
①아침에 잘 주무셨다고 한다.
②낮잠을 잘 주무시지 않는다.
5/2
①알맞은 진통제를 투여한다.
②낮에 깨어있도록 교육한다.
③밤에 자극을 줄여준다.
④밤에 수면시 깨우는 것을 최소화 한다.
⑤필요시 수면제를 투여한다.
5/2
①알맞은 진통제를 투여함.
②낮에 깨어있도록 교육함.
③수면시 깨우는 것을 최소화 함.
5/3
①알맞은 진통제 투여.
5/3~5/9
①아침에 잘 잤다고 함.
5/4
①낮잠을 자지 않고, ambulation 하심.
Ⅲ. 결론
1) 사례요약
56세 김**님은 작년 9월경부터 LBP and both leg pain 증상이 간헐적으로 있어 NS opd f/u하던 중 올해 3월말부터 증상 악화소견보여 MRI w/u후 op위해 입원하셨다. 주 증상은 LBP and both leg pain이고 HTN과 DM이 있으시다. 4월 29일 fusion수술을 하시고 4월 30일에 우리 병동으로 오셨다. 병동으로 오실 때 foley 카테터, Hemo-vac, C-line을 잡고 계셨다. 본인 동의하에 IV PCA도 달고 계셨는데 저혈압과 오심으로 인해 clamping을 해 놓고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그러자 통증도 많이 사라지고 저혈압과 오심도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5월 2일 foley 카테터와 PCA를 remove했고, 곧 Hemo-vac도 remove했다. 맞춰둔 TLSO가 도착해서 착용을 하시고 간단하게 ambulation하라는 처방이 났다. 처음에는 굉장히 답답해 하시고 불편해 하시면서 걷는것 조차 힘들어하셨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활동범위도 넓어지시고 pole대가 없이도 걸으실 수 있게 되셨다. 퇴원하기 2-3일 전부터는 보조기를 착용하시고 층을 몇바퀴나 도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下 Ⅳ, 수문사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2, 정담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성인 질병을 중심으로), 현문사
-의학약어와 해설, 현문사.
-내ㆍ외과 간호학, 형설출판사.
②계속 아프다고 호소
③자꾸 뒤척임
-기대되는 결과
①통증이 사라진다.
5/1
①통증 사정을 한다.
②적절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③이완 기술을 가르쳐준다.
④통증호소를 경청한다.
⑤수술부위를 관찰한다.
⑥올바른 체위에 대해 교육한다.
5/1
①통증사정을 함.
②적절한 진통제 투여.
③통증호소 경청.
5/2, 5/3
①적절한 진통제 투여.
5/3
①심한 통증
②TLSO착용하고 병실을 천천히 조금씩 돌아다님.
5/4
①중정도 통증
②TLSO착용하고 잘 보행하심.
5/6
①경한 정도의 통증
간호진단
간호계획
중재
평가
4/30
-간호진단
: 감염위험성
-관련요인
①foley 카테터 삽입
②Hemo-vac삽입.
③수술부위의 상처
④c-line
-기대되는 결과
①foley 카테터와 Hemo-vac을 제거할때까지 감염의 징후가 없다.
②수술부위의 상처가 잘 아문다.
5/1
①회음부 간호를 실시한다.
②배액양상을 관찰한다.
③urine bag의 위치를 잘 고정시킨다.
④상처를 소독한다.
⑤dressing을 교환한다.
⑥foley 카테터와 Hemo-vac, c-line 제거한다.
4/30
①배액양상을 관찰함
②urine bag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항상 아래로 향하도록 교육함.
5/2
①회음부간호 실시함.
②상처 소독함.
③dressing 교환함.
④foley 카테터와 Hemo-vac, c-line 제거함.
5/2
①카테터 삽입 부위의 감염징후가 없다.
②상처가 잘 아뭄.
5/3~5/9
①상처부위의 열감이 없고, 잘 아뭄.
간호진단
간호계획
중재
평가
5/1
-간호진단
: 수면장애
-관련요인
①통증
②불안감
③낮잠
-기대되는 결과
①아침에 잘 주무셨다고 한다.
②낮잠을 잘 주무시지 않는다.
5/2
①알맞은 진통제를 투여한다.
②낮에 깨어있도록 교육한다.
③밤에 자극을 줄여준다.
④밤에 수면시 깨우는 것을 최소화 한다.
⑤필요시 수면제를 투여한다.
5/2
①알맞은 진통제를 투여함.
②낮에 깨어있도록 교육함.
③수면시 깨우는 것을 최소화 함.
5/3
①알맞은 진통제 투여.
5/3~5/9
①아침에 잘 잤다고 함.
5/4
①낮잠을 자지 않고, ambulation 하심.
Ⅲ. 결론
1) 사례요약
56세 김**님은 작년 9월경부터 LBP and both leg pain 증상이 간헐적으로 있어 NS opd f/u하던 중 올해 3월말부터 증상 악화소견보여 MRI w/u후 op위해 입원하셨다. 주 증상은 LBP and both leg pain이고 HTN과 DM이 있으시다. 4월 29일 fusion수술을 하시고 4월 30일에 우리 병동으로 오셨다. 병동으로 오실 때 foley 카테터, Hemo-vac, C-line을 잡고 계셨다. 본인 동의하에 IV PCA도 달고 계셨는데 저혈압과 오심으로 인해 clamping을 해 놓고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그러자 통증도 많이 사라지고 저혈압과 오심도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5월 2일 foley 카테터와 PCA를 remove했고, 곧 Hemo-vac도 remove했다. 맞춰둔 TLSO가 도착해서 착용을 하시고 간단하게 ambulation하라는 처방이 났다. 처음에는 굉장히 답답해 하시고 불편해 하시면서 걷는것 조차 힘들어하셨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활동범위도 넓어지시고 pole대가 없이도 걸으실 수 있게 되셨다. 퇴원하기 2-3일 전부터는 보조기를 착용하시고 층을 몇바퀴나 도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下 Ⅳ, 수문사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2, 정담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성인 질병을 중심으로), 현문사
-의학약어와 해설, 현문사.
-내ㆍ외과 간호학, 형설출판사.
추천자료
척추관협착증 (spinal stenosis)
[성인간호학]척추관협착증 CASE
[척추협착증 Spinal Stenosis] 간호과정, Case Study입니다.
척추협착증(spinal stenosis) - 척추의 구조, 관련된 증상,ㄷ 대상자 적용, 연구기간 및 방법
척추관 협착증
[의학] 척추관 협착증에 관해서
[신경외과 케이스 스터디]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척추관협착증 케이스 스터디 A+
(A+받음) 성인간호학실습 척추협착증 case study
A+,성인간호,성인간호학,성인간호케이스,성인간호학케이스,성인간호케이스스터디,성인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