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프로게이머의 정의
Ⅲ. 프로게이머의 자질
1. 다양한 생각/아이디어
2. 끈기, 인내, 집중
3. 자신이 원해서 선택한 직업이라는 생각
4. 항상 배우는 자세
5. 심리전, 긴장감을 떨치기
Ⅳ. 프로게이머의 수입
Ⅴ. 결론 및 전망
참고문헌
Ⅱ. 프로게이머의 정의
Ⅲ. 프로게이머의 자질
1. 다양한 생각/아이디어
2. 끈기, 인내, 집중
3. 자신이 원해서 선택한 직업이라는 생각
4. 항상 배우는 자세
5. 심리전, 긴장감을 떨치기
Ⅳ. 프로게이머의 수입
Ⅴ. 결론 및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론 및 전망
게임은 그 속성상 수명이 짧다. 지금 인기를 끌고 있는 스타크래프트의 경우에도 게임의 수명이라고 할 수 있는 인기도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질 가능성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므로 현재 스타크래프트 고수라고 할지라도 늘 새로운 게임을 익혀야 한다. 하지만 대회성적에 따라 장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대회에 집중하다보면 새로운 게임을 준비할만한 여유가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인기를 끄는 대부분의 게임이 주로 전략적인 측면보다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게임의 승부가 좌우되는 경향이 더 강해서 손의 순발력이 떨어지게 되거나 손가락에 무리가 오면 게임을 그만둬야 합니다. 즉 10년 이상 게임을 계속하기 어려우며, 계속해서 순발력이 좋은 젊은 청소년들의 도전을 견뎌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더구나 다양한 게임을 다뤄보지 못한 탓으로 게임에 대한 지식과 감각 등이 부족해서 게임 스토리 작가, 게임 해설가, 게임 개발 등의 게임산업분야에 종사하기도 어렵습니다. 만약 다른 일은 전혀 안하고 게임만 했다면 그의 미래를 책임질 곳은 아무데도 없다는 말입니다.
프로토스 유저인 김동수 선수는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지금까지는 많은 사람들이 프로게이머의 전성기는 짧다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은 뭐든지 새로 시작된 일에 대해서 불안하고 프로게이머는 위험하다고 불안해하지만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지금 이렇게 되지 않았나? 게임도 지금 과도기라고 생각하고 불안정한 것을 정착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에게는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 프로게이머도 충분히 평생 직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 현실적으로 평생 직업은 없을지도 모르지만 나의 목표는 평생 직업에 근접시키는 것이다. 이런 사람이 있는 한 프로게이머란 직업은 분명히 평생 직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김창배, 21C게임 패러다임, 지원미디어, 1999
2. 김태홍 외, 스타크노믹스, 소프트뱅크미디어, 2000
3. 구문모, 게임콘텐츠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1998
4. 이재현, 인터넷과 온라인 게임,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5. 이종오, 게임산업, LG경제연구원, 2000
6. 장희동, 한국게임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게임엑스포2000 세미나 자료집
7.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PP의 경영전략,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게임은 그 속성상 수명이 짧다. 지금 인기를 끌고 있는 스타크래프트의 경우에도 게임의 수명이라고 할 수 있는 인기도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질 가능성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므로 현재 스타크래프트 고수라고 할지라도 늘 새로운 게임을 익혀야 한다. 하지만 대회성적에 따라 장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대회에 집중하다보면 새로운 게임을 준비할만한 여유가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인기를 끄는 대부분의 게임이 주로 전략적인 측면보다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게임의 승부가 좌우되는 경향이 더 강해서 손의 순발력이 떨어지게 되거나 손가락에 무리가 오면 게임을 그만둬야 합니다. 즉 10년 이상 게임을 계속하기 어려우며, 계속해서 순발력이 좋은 젊은 청소년들의 도전을 견뎌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더구나 다양한 게임을 다뤄보지 못한 탓으로 게임에 대한 지식과 감각 등이 부족해서 게임 스토리 작가, 게임 해설가, 게임 개발 등의 게임산업분야에 종사하기도 어렵습니다. 만약 다른 일은 전혀 안하고 게임만 했다면 그의 미래를 책임질 곳은 아무데도 없다는 말입니다.
프로토스 유저인 김동수 선수는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지금까지는 많은 사람들이 프로게이머의 전성기는 짧다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은 뭐든지 새로 시작된 일에 대해서 불안하고 프로게이머는 위험하다고 불안해하지만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지금 이렇게 되지 않았나? 게임도 지금 과도기라고 생각하고 불안정한 것을 정착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에게는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 프로게이머도 충분히 평생 직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 현실적으로 평생 직업은 없을지도 모르지만 나의 목표는 평생 직업에 근접시키는 것이다. 이런 사람이 있는 한 프로게이머란 직업은 분명히 평생 직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김창배, 21C게임 패러다임, 지원미디어, 1999
2. 김태홍 외, 스타크노믹스, 소프트뱅크미디어, 2000
3. 구문모, 게임콘텐츠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1998
4. 이재현, 인터넷과 온라인 게임,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5. 이종오, 게임산업, LG경제연구원, 2000
6. 장희동, 한국게임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게임엑스포2000 세미나 자료집
7.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PP의 경영전략,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