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ERP (전사적 자원관리: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1. ERP의 개념
2. 기능 및 업무상 특성
3. 도입의 필요성
4. 시스템의 구축방법
5. 도입으로 인한 효과
Ⅲ. ERP의 구조
1. ERP 시스템의 기본 구조
2. ERP 시스템의 기능적 구조
1) 기능 구조
2) 하부 시스템 및 모듈 구성
3) 지원 분야
3. ERP 시스템의 기술적 구조
1) 기술적 주요구조
2) 기술적 구조의 7계층
Ⅳ. ERP의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1. 유연성
2. 확장가능성
3. 확장가능성으로서의 SCM과 ERP
4. 확장가능성으로서의 CRM과 ERP
5. 확장형 ERP 패키지(Extended ERP)
Ⅴ. ERP 시스템의 선정방식
1. ERP 제품 선정 표준 프로세스
2. COTS 채택
3. ERP 모듈의 선정
4. 제품평가와 선정
Ⅵ. 결 론
[참고 문헌]
Ⅱ. ERP (전사적 자원관리: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1. ERP의 개념
2. 기능 및 업무상 특성
3. 도입의 필요성
4. 시스템의 구축방법
5. 도입으로 인한 효과
Ⅲ. ERP의 구조
1. ERP 시스템의 기본 구조
2. ERP 시스템의 기능적 구조
1) 기능 구조
2) 하부 시스템 및 모듈 구성
3) 지원 분야
3. ERP 시스템의 기술적 구조
1) 기술적 주요구조
2) 기술적 구조의 7계층
Ⅳ. ERP의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1. 유연성
2. 확장가능성
3. 확장가능성으로서의 SCM과 ERP
4. 확장가능성으로서의 CRM과 ERP
5. 확장형 ERP 패키지(Extended ERP)
Ⅴ. ERP 시스템의 선정방식
1. ERP 제품 선정 표준 프로세스
2. COTS 채택
3. ERP 모듈의 선정
4. 제품평가와 선정
Ⅵ.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및 자재조달비용 감소), 투명한 경영, 표준화, 단순화, 코드화.
Ⅲ. ERP의 구조
1. 기본 구조
■ 통합 ERP 패키지로 구성:
▷ 업무의 통합: 회계, 인사, 생산, 영업/물류
▷ 정보의 통합
▷ 시스템의 통합:PDM,FA,MES
■ Tool의 활용:
▷ 설계용 Tool
▷ 개발용 Tool
■ 협력업체와 연계한 전문화 프로그램 제공
▷ Implementation partner
▷ Third Party 어플리케이션과의 통합
▷ 추가 개발 어플리케이션과의 통합
■ 컨설팅 제공
▷ 교육
▷ 시스템 설치
▷ 시스템 셋업
▷ 사후관리
2. 기능적 구조
1) ERP 시스템 기능 구조
▷ 8개 하부 시스템
▷ 4개 지원 분야
→ 8개 하부 시스템 구성
▷ 영업관리 ▷ 계획관리 ▷ 제조실행 ▷ 기준정보관리.
▷ 공급망관리 ▷ 인적자원관리 ▷ 회계 및 재무관리 ▷ 원가통제.
→ 4대 지원 분야
▷ 경영혁신 분야 ▷ 정보화 지원기술 분야
▷ 산업유형 분야 ▷ 전문화 분야
ERP 시스템의 구성은 제품 공급자나 기관에 따라 여러 형태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다.
ERP 하부 시스템이란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를 지원하는 분야별 핵심 기능으로서 제품이나 서비스의 시작단계부터 출하 및 결산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일컫는다.
그리고 관리, 통제, 지원 역할을 수행하는 인적자원관리, 회계 및 재무, 원가통제 업무도 ERP 시스템의 분야별 하부업무 시스템에 포함된다.
지원 분야는 ERP의 업무기능을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ERP 하부 시스템 및 모듈 구성
ERP 하부 시스템은 기업의 업무기능을 지원하는 분야에 따라 제조업종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8개의 하부 시스템은 다시 세부적 전문 업무를 수행하는 모듈로 분류된다.
하부 시스템과 모듈은 ERP의 특성 상 동일기업내의 독립된 조직을 분산,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기업 간의 정보교환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분산된 조직이나 기업 간의 정보도 처리되어야 하므로, 단일, 복수 제품이나 서비스의 지원, 단일, 복합 조직 지원, 단일, 복합 국가지원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 영업 관리 하부시스템: 영업 관리는 기업의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하부 시스템이다.
- 계획관리 하부시스템: 계획 관리는 수요와 공급을 계획하는 데 필요한 기능이 포함되는 하부 시스템이다.
- 제조실행 하부시스템: 제조실행은 제조업의 생산 현장을 관리, 통제하는 기능이 포함된 하부 시스템이다.
- 기준정보관리 하부시스템: 기준정보관리는 기업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하부 시스템이다.
- 공급망관리 하부시스템: 공급망 관리는 제조활동에 필요한 물적 흐름을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해 기업 내부와 외부의 물류거점을 포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하부 시스템이다.
- 인적자원관리 하부 시스템: 인적자원관리는 기업 조직 및 구성원과 관련한 업무를 관장하는 시스템이다.
- 회계 및 재무관리 하부시스템: 회계 및 재무관리는 기업의 현금 및 자산에 대한 관리 및 통제기능을 수행하는 하부 시스템이다.
- 원가통제 하부 시스템: 원가통제는 비용 및 이익관리를 위한 지원기능으로서 원가계산 관련 기능이 지원되는 하부시스템이다.
3) ERP 지원분야
- 경영혁신 분야: 경영혁신 분야는 ERP 시스템의 성공적 구현을 실현하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 정보화 지원기술 분야: 정보화 지원기술 분야는 8개 하부 시스템에 대한 기업내의 효율적 업무진행과 더불어 기업 외부와의 업무처리와 통합을 지원하는 정보화 기술로 구성된다.
- 산업유형 지원 분야: 산업유형 지원 분야는 적용업종의 형태에 따라 8개 하부 시스템에대한 구성을 다르게 가져갈 수 있다. 업종에 따라 필요 기능을 적절히 변화하여 산업유형에 따라 하부 시스템과 구성 모듈을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 전문화 분야 : 전문화 분야는 현재의 ERP 시스템 지원기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고도의 ERP 구현 전문화 기술을 의미한다.
3. 기술적 구조
ERP시스템의 Applications구성 형태가 Client와 Sever간에 어떻게 구분되어 있는가에 따라Distributed Presentation, Remote Presentation, Distributed Function, Remote Data Management, Distributed Data Management의 5가지 Client/Sever Type으로 정의된다.
1) ERP의 기술적 주요구조
ERP Application 시스템은 다음 3개의 주요 Component로 구성되어 있다.
-Presentation Component 또는 User Interface :Application Program 과 End user간의 인터페이 스(Dialogue) 관리.
-Application Processing Logic : COBOL 코드, C코드 또는 4GL 코드 등으로 만들어, Application 을 수행하도록 실제 데이터를 변형시키는 작업 수행.
-데이터 관리 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 :데이터의 Access와 Updating 관리.
2) ERP 기술적 구조의 7계층
[ERP 기술적 구조의 7계층]
1. 하드웨어 플랫폼
2. 오퍼레이팅 시스템 (OS)
3. 데이터베이스
4. 네트워크
5. 사용자 인터페이스
6. 개발 지원 도구
7. 응용 프로그램
- 하드웨어 플랫폼 : 개발된 ERP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등을 수용하는 컴퓨터 서버이다. Unix, NT, AS/400 등이 있다.
- 오퍼레이팅 시스템 (OS) : 컴퓨터 운영체제로서 Unix, 윈도우NT, OS/400등이 해당된다.
- 데이터베이스 : ERP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보관 및 관리하는 자장소로서, ERP 시스템의 구현 시에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오라클, 프로그레스, MS SQL 서버, 인포믹스, 등이 사용된다.
- 네트워크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연결, 동일 지역 또는 원격지에 있는 동일 기종 또는 이기종 시스템간의 물리적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TCP/IP, NETBIOS,
Ⅲ. ERP의 구조
1. 기본 구조
■ 통합 ERP 패키지로 구성:
▷ 업무의 통합: 회계, 인사, 생산, 영업/물류
▷ 정보의 통합
▷ 시스템의 통합:PDM,FA,MES
■ Tool의 활용:
▷ 설계용 Tool
▷ 개발용 Tool
■ 협력업체와 연계한 전문화 프로그램 제공
▷ Implementation partner
▷ Third Party 어플리케이션과의 통합
▷ 추가 개발 어플리케이션과의 통합
■ 컨설팅 제공
▷ 교육
▷ 시스템 설치
▷ 시스템 셋업
▷ 사후관리
2. 기능적 구조
1) ERP 시스템 기능 구조
▷ 8개 하부 시스템
▷ 4개 지원 분야
→ 8개 하부 시스템 구성
▷ 영업관리 ▷ 계획관리 ▷ 제조실행 ▷ 기준정보관리.
▷ 공급망관리 ▷ 인적자원관리 ▷ 회계 및 재무관리 ▷ 원가통제.
→ 4대 지원 분야
▷ 경영혁신 분야 ▷ 정보화 지원기술 분야
▷ 산업유형 분야 ▷ 전문화 분야
ERP 시스템의 구성은 제품 공급자나 기관에 따라 여러 형태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다.
ERP 하부 시스템이란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를 지원하는 분야별 핵심 기능으로서 제품이나 서비스의 시작단계부터 출하 및 결산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일컫는다.
그리고 관리, 통제, 지원 역할을 수행하는 인적자원관리, 회계 및 재무, 원가통제 업무도 ERP 시스템의 분야별 하부업무 시스템에 포함된다.
지원 분야는 ERP의 업무기능을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ERP 하부 시스템 및 모듈 구성
ERP 하부 시스템은 기업의 업무기능을 지원하는 분야에 따라 제조업종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8개의 하부 시스템은 다시 세부적 전문 업무를 수행하는 모듈로 분류된다.
하부 시스템과 모듈은 ERP의 특성 상 동일기업내의 독립된 조직을 분산,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기업 간의 정보교환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분산된 조직이나 기업 간의 정보도 처리되어야 하므로, 단일, 복수 제품이나 서비스의 지원, 단일, 복합 조직 지원, 단일, 복합 국가지원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 영업 관리 하부시스템: 영업 관리는 기업의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하부 시스템이다.
- 계획관리 하부시스템: 계획 관리는 수요와 공급을 계획하는 데 필요한 기능이 포함되는 하부 시스템이다.
- 제조실행 하부시스템: 제조실행은 제조업의 생산 현장을 관리, 통제하는 기능이 포함된 하부 시스템이다.
- 기준정보관리 하부시스템: 기준정보관리는 기업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하부 시스템이다.
- 공급망관리 하부시스템: 공급망 관리는 제조활동에 필요한 물적 흐름을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해 기업 내부와 외부의 물류거점을 포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하부 시스템이다.
- 인적자원관리 하부 시스템: 인적자원관리는 기업 조직 및 구성원과 관련한 업무를 관장하는 시스템이다.
- 회계 및 재무관리 하부시스템: 회계 및 재무관리는 기업의 현금 및 자산에 대한 관리 및 통제기능을 수행하는 하부 시스템이다.
- 원가통제 하부 시스템: 원가통제는 비용 및 이익관리를 위한 지원기능으로서 원가계산 관련 기능이 지원되는 하부시스템이다.
3) ERP 지원분야
- 경영혁신 분야: 경영혁신 분야는 ERP 시스템의 성공적 구현을 실현하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 정보화 지원기술 분야: 정보화 지원기술 분야는 8개 하부 시스템에 대한 기업내의 효율적 업무진행과 더불어 기업 외부와의 업무처리와 통합을 지원하는 정보화 기술로 구성된다.
- 산업유형 지원 분야: 산업유형 지원 분야는 적용업종의 형태에 따라 8개 하부 시스템에대한 구성을 다르게 가져갈 수 있다. 업종에 따라 필요 기능을 적절히 변화하여 산업유형에 따라 하부 시스템과 구성 모듈을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 전문화 분야 : 전문화 분야는 현재의 ERP 시스템 지원기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고도의 ERP 구현 전문화 기술을 의미한다.
3. 기술적 구조
ERP시스템의 Applications구성 형태가 Client와 Sever간에 어떻게 구분되어 있는가에 따라Distributed Presentation, Remote Presentation, Distributed Function, Remote Data Management, Distributed Data Management의 5가지 Client/Sever Type으로 정의된다.
1) ERP의 기술적 주요구조
ERP Application 시스템은 다음 3개의 주요 Component로 구성되어 있다.
-Presentation Component 또는 User Interface :Application Program 과 End user간의 인터페이 스(Dialogue) 관리.
-Application Processing Logic : COBOL 코드, C코드 또는 4GL 코드 등으로 만들어, Application 을 수행하도록 실제 데이터를 변형시키는 작업 수행.
-데이터 관리 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 :데이터의 Access와 Updating 관리.
2) ERP 기술적 구조의 7계층
[ERP 기술적 구조의 7계층]
1. 하드웨어 플랫폼
2. 오퍼레이팅 시스템 (OS)
3. 데이터베이스
4. 네트워크
5. 사용자 인터페이스
6. 개발 지원 도구
7. 응용 프로그램
- 하드웨어 플랫폼 : 개발된 ERP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등을 수용하는 컴퓨터 서버이다. Unix, NT, AS/400 등이 있다.
- 오퍼레이팅 시스템 (OS) : 컴퓨터 운영체제로서 Unix, 윈도우NT, OS/400등이 해당된다.
- 데이터베이스 : ERP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보관 및 관리하는 자장소로서, ERP 시스템의 구현 시에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오라클, 프로그레스, MS SQL 서버, 인포믹스, 등이 사용된다.
- 네트워크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연결, 동일 지역 또는 원격지에 있는 동일 기종 또는 이기종 시스템간의 물리적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TCP/IP, NETBIOS,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레포트생산관리 ERP의 구조,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시스템선정방식을 논...
[생산관리 공통] ERP의 (1) 구조, (2)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3) 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
[생산관리] ERP의 (1)구조, (2)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시오
2014년 1학기 생산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ERP의 구조,유연성,확장가능성,시스템선정)
[생산관리 4공통] ERP의 (1)구조, (2)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시스템의 선정방식을 ...
2015년 1학기 생산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ERP의 구조,유연성,확장가능성,시스템선정)
[생산관리 공통] ERP의 (1) 구조, (2)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3) 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
[생산관리 공통] ERP의 (1) 구조, (2)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 시스템의 선정방식...
[생산관리]ERP(전사적자원관리)의 (1)구조, (2)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시스템의 선...
(생산관리) ERP의 (1)구조, (2)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