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ERP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ERP의 정의와 목적
2. ERP의 특징 및 장점
3. ERP 패키지의 특성
4. ERP 도입의 필요성
Ⅱ. 본 론
1. ERP의 구조
1) ERP 하부 시스템 및 모듈 구성
(1) 영업관리 하부 시스템
(2) 계획관리 하부 시스템
(3) 제조실행 하부 시스템
(4) 기준정보관리 하부 시스템
(5) 공급망관리 하부 시스템
(6) 인사/급여관리 하부 시스템
(7) 회계 및 재무관리 하부 시스템
(8) 원가통제 하부 시스템
2) 회계 관련 ERP 하부 시스템
(1) 급여관리
① 급/상여공제관리
② 급/상여관리
③ 급/상여소급분관리
④ 연말정산관리
⑤ 퇴직정산관리
(2) 회계관리
① 전표관리
② 결산 및 장부관리
③ 미수금관리
④ 미지급금관리
⑤ 자금관리
⑥ 자산관리
3) ERP 시스템의 구조적 특징
(1) ERP 시스템의 통합화와 패키지 구조
(2) ERP의 6가지 구조적 특성과 의미
① 통합화
② 패키지화
③ 고급 정보기술의 활용
④ BPR
⑤ 시스템 연계
⑥ 글로벌 환경 지원
2. ERP 시스템의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1) ERP 시스템의 유연성
2) ERP 시스템의 확장성 및 개방성
3) ERP 시스템으로의 전환
3. ERP 시스템의 선정방식
1) 가트너 그룹의 선정기준
2) 일반적 기준에 의한 구축전략
(1) 분석(Analysis)
(2) 설계(Design)
(3) 구축(Construction)
(4) 구현(Implementation)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1. ERP의 정의와 목적
2. ERP의 특징 및 장점
3. ERP 패키지의 특성
4. ERP 도입의 필요성
Ⅱ. 본 론
1. ERP의 구조
1) ERP 하부 시스템 및 모듈 구성
(1) 영업관리 하부 시스템
(2) 계획관리 하부 시스템
(3) 제조실행 하부 시스템
(4) 기준정보관리 하부 시스템
(5) 공급망관리 하부 시스템
(6) 인사/급여관리 하부 시스템
(7) 회계 및 재무관리 하부 시스템
(8) 원가통제 하부 시스템
2) 회계 관련 ERP 하부 시스템
(1) 급여관리
① 급/상여공제관리
② 급/상여관리
③ 급/상여소급분관리
④ 연말정산관리
⑤ 퇴직정산관리
(2) 회계관리
① 전표관리
② 결산 및 장부관리
③ 미수금관리
④ 미지급금관리
⑤ 자금관리
⑥ 자산관리
3) ERP 시스템의 구조적 특징
(1) ERP 시스템의 통합화와 패키지 구조
(2) ERP의 6가지 구조적 특성과 의미
① 통합화
② 패키지화
③ 고급 정보기술의 활용
④ BPR
⑤ 시스템 연계
⑥ 글로벌 환경 지원
2. ERP 시스템의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1) ERP 시스템의 유연성
2) ERP 시스템의 확장성 및 개방성
3) ERP 시스템으로의 전환
3. ERP 시스템의 선정방식
1) 가트너 그룹의 선정기준
2) 일반적 기준에 의한 구축전략
(1) 분석(Analysis)
(2) 설계(Design)
(3) 구축(Construction)
(4) 구현(Implementation)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확히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분석단계에서 현황파악을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사항은 (표 3)에 정리한 바와 같다. 분석과정을 통한 결과물은 업무영역 정의서, 영역별 프로세스 모형, 영역별 조직 모형, 업무 영역간 업무 흐름도, 업무 영역별 요구사항 및 문제점 등인데 이들은 바로 다음 단계인 설계에 반영하도록 되어 있다.
(2) 설계(Design)
설계단계는 전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를 구축시키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 단계에서는 ERP 프로젝트의 핵심인 개선된 프로세스, 즉 To-Be process를 도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To-Be process는 현재의 회사 업무 프로세스와 회사나 경영자 및 현업에서 요청한 사항과 ERP 패키지에 구현된 프로세스를 잘 조화시켜서 도출한다. 이를 위해 회사에서 내놓은 To-Be process 와 ERP 프로세스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발견하는 GAP 분석을 하게 된다. 또한 ERP 시스템에서 소화하지 못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및 대책을 수립하고 기존에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추후에 도입될 소프트웨어와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문제 역시 설계단계에서 이루어진다.
(3) 구축(Construction)
구축 단계는 분석·설계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현황파악 및 설정된 목표를 시스템적으로 구축하여 검증하는 과정이다. 분석·설계과정을 통해 영업, 생산, 구매, 자재, 회계, 인사급여 등 회사의 모든 업무에 대한 재설계 결과를 ERP 패키지의 각 모듈과 비교하여 꼭 필요한 모듈만을 조합하여 시스템으로 구축시킨 후 테스트를 한다.
(4) 구현(Implementation)
시스템 구축이 끝나면 실제 시스템을 돌려보게 된다. 본격적인 시스템 가동에 앞서 시험적으로 운영하는 과정이 구현단계로 볼 수 있다. 구축된 시스템에 실 데이터를 입력시켜 시스템을 시험적으로 운영(Prototyping)go 보고 문제점이 발견되면 다시 개선점(To-Be process)을 찾아 구축하게 된다.
ERP 구축단계
수행 업무 내용
분석
(Analysis)
프로젝트 팀(Task Force Team) 구성
현재 시스템 문제 파악
현업 요구 분석
세부추진 일정 계획수립
경영전략 및 비전 도출
주요 성공요인 도출
목표와 범위 설정
시스템 설치
교육
설계
(Design)
To-Be process 도출
GAP 분석(패키지 기능과 To-Be process와의 차이분석)
패키지 설치 및 파라미터 설정
추가개발 및 수정보완문제 논의
인터페이스 문제 논의
사용자 요구 대상 선정 Customizing
교육
구축
(Construction)
모듈 조합화(Configuration: To-Be process에 맞게 모듈을 조합)
테스트(각 모듈별 테스트 후 통합 테스트)
추가개발 또는 수정 기능 확정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연계 테스트
출력물 제시
교육
구현
(Implementation)
Prototyping
Data Conversion
시스템 평가
교육
유지보수
향후일정 수립
(표 ) ERP 시스템 각 구축단계별 업무
Ⅲ. 결 론
ERP 시스템은 제조 기업의 기간 업무 전반을 대상으로 한 컴퓨터 통합 경영정보시스템이다. 1980년대 들어 공급 체계(Supply Chain)와 설계, 영업, 원가회계 등 회사 내 연관부서 업무를 동시에 고려하면서 시스템 구성 및 사용자 편이성의 측면에서는 비유연성을 최소화하고, 기술적 측면에서는 객체 지향기술, 분산 데이터처리, 개방형 구조, Light Sizing 등을 받아들인 분산화, 개방화된 시스템으로서 ERP 도입을 추진하게 되었다.
MRP 시스템 중 COPICS(Communication Oriented Production Information & Control System)이 ERP의 원형이 되었다. MRP 시스템이 생산 활동을 위한 자재 투입의 최적화라면, ERP 시스템은 기업활동을 위한 경영 자원 투입이라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ERP는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확실하게 처리하며, 적은 노력으로 기업 전체의 최적화를 지향한다. 기존에는 업무에 맞춘 시스템 개발(커스터마이즈형 ERP 시스템)이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표준 비즈니스 모델을 축으로 기업 리엔지니어링을 동시에 실시하려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논커스터마이즈형(non-customize) ERP가 범용화 되고 있다.
EPR 시스템을 도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여야 할 점은 자체적으로 개발할 것인가 구입할 것인가의 두 가지 대안 중에 미래 지향적 관점에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카트너 그룹의 선정기준은 기능, 기술적 아키텍쳐, 수행능력, 벤더의 비전, 서비스 및 지원, 비용이라는 6개이의 기준에 의해 선정하며, 일반적 기준에 의한 구축 전략은 기존의 MIS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분석(Analysis)→설계(Design)→구축(Construction)→구현(Implementation)의 4가지 단계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문상원, eSCM의 구축과 운용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4.
2. 전사적 자원관리(ERP) 도입기업의 성공 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 김광례, 인하대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3.
3. 중소기업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 도입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김동명, 경일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3.
4. 전사적 자원관리(ERP) 도입의 성공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학수, 중앙대 국제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2.
5. REID를 적용한 ERP 모델에 관한 연구, 윤기호, 서경대 물류대학원 석사논문, 2006.
6. ERP 시스템 도입 성과에 관한 연구 : 도입기간과 교육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최용욱, 단국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6.
7. ERP 시스템 구현의 단계별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김유진, 부경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6.
8.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의 주요 성공 요인과 활용성 간의 관련성 연구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구본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0.
9. 박병형, 한 권으로 끝내는 e-ERP, 태영출판사, 2001.
10. 전사적 자원관리의 도입전략, 김원실,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1999.
(2) 설계(Design)
설계단계는 전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를 구축시키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 단계에서는 ERP 프로젝트의 핵심인 개선된 프로세스, 즉 To-Be process를 도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To-Be process는 현재의 회사 업무 프로세스와 회사나 경영자 및 현업에서 요청한 사항과 ERP 패키지에 구현된 프로세스를 잘 조화시켜서 도출한다. 이를 위해 회사에서 내놓은 To-Be process 와 ERP 프로세스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발견하는 GAP 분석을 하게 된다. 또한 ERP 시스템에서 소화하지 못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및 대책을 수립하고 기존에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추후에 도입될 소프트웨어와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문제 역시 설계단계에서 이루어진다.
(3) 구축(Construction)
구축 단계는 분석·설계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현황파악 및 설정된 목표를 시스템적으로 구축하여 검증하는 과정이다. 분석·설계과정을 통해 영업, 생산, 구매, 자재, 회계, 인사급여 등 회사의 모든 업무에 대한 재설계 결과를 ERP 패키지의 각 모듈과 비교하여 꼭 필요한 모듈만을 조합하여 시스템으로 구축시킨 후 테스트를 한다.
(4) 구현(Implementation)
시스템 구축이 끝나면 실제 시스템을 돌려보게 된다. 본격적인 시스템 가동에 앞서 시험적으로 운영하는 과정이 구현단계로 볼 수 있다. 구축된 시스템에 실 데이터를 입력시켜 시스템을 시험적으로 운영(Prototyping)go 보고 문제점이 발견되면 다시 개선점(To-Be process)을 찾아 구축하게 된다.
ERP 구축단계
수행 업무 내용
분석
(Analysis)
프로젝트 팀(Task Force Team) 구성
현재 시스템 문제 파악
현업 요구 분석
세부추진 일정 계획수립
경영전략 및 비전 도출
주요 성공요인 도출
목표와 범위 설정
시스템 설치
교육
설계
(Design)
To-Be process 도출
GAP 분석(패키지 기능과 To-Be process와의 차이분석)
패키지 설치 및 파라미터 설정
추가개발 및 수정보완문제 논의
인터페이스 문제 논의
사용자 요구 대상 선정 Customizing
교육
구축
(Construction)
모듈 조합화(Configuration: To-Be process에 맞게 모듈을 조합)
테스트(각 모듈별 테스트 후 통합 테스트)
추가개발 또는 수정 기능 확정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연계 테스트
출력물 제시
교육
구현
(Implementation)
Prototyping
Data Conversion
시스템 평가
교육
유지보수
향후일정 수립
(표 ) ERP 시스템 각 구축단계별 업무
Ⅲ. 결 론
ERP 시스템은 제조 기업의 기간 업무 전반을 대상으로 한 컴퓨터 통합 경영정보시스템이다. 1980년대 들어 공급 체계(Supply Chain)와 설계, 영업, 원가회계 등 회사 내 연관부서 업무를 동시에 고려하면서 시스템 구성 및 사용자 편이성의 측면에서는 비유연성을 최소화하고, 기술적 측면에서는 객체 지향기술, 분산 데이터처리, 개방형 구조, Light Sizing 등을 받아들인 분산화, 개방화된 시스템으로서 ERP 도입을 추진하게 되었다.
MRP 시스템 중 COPICS(Communication Oriented Production Information & Control System)이 ERP의 원형이 되었다. MRP 시스템이 생산 활동을 위한 자재 투입의 최적화라면, ERP 시스템은 기업활동을 위한 경영 자원 투입이라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ERP는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확실하게 처리하며, 적은 노력으로 기업 전체의 최적화를 지향한다. 기존에는 업무에 맞춘 시스템 개발(커스터마이즈형 ERP 시스템)이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표준 비즈니스 모델을 축으로 기업 리엔지니어링을 동시에 실시하려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논커스터마이즈형(non-customize) ERP가 범용화 되고 있다.
EPR 시스템을 도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여야 할 점은 자체적으로 개발할 것인가 구입할 것인가의 두 가지 대안 중에 미래 지향적 관점에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카트너 그룹의 선정기준은 기능, 기술적 아키텍쳐, 수행능력, 벤더의 비전, 서비스 및 지원, 비용이라는 6개이의 기준에 의해 선정하며, 일반적 기준에 의한 구축 전략은 기존의 MIS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분석(Analysis)→설계(Design)→구축(Construction)→구현(Implementation)의 4가지 단계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문상원, eSCM의 구축과 운용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4.
2. 전사적 자원관리(ERP) 도입기업의 성공 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 김광례, 인하대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3.
3. 중소기업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 도입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김동명, 경일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3.
4. 전사적 자원관리(ERP) 도입의 성공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학수, 중앙대 국제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2.
5. REID를 적용한 ERP 모델에 관한 연구, 윤기호, 서경대 물류대학원 석사논문, 2006.
6. ERP 시스템 도입 성과에 관한 연구 : 도입기간과 교육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최용욱, 단국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6.
7. ERP 시스템 구현의 단계별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김유진, 부경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6.
8.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의 주요 성공 요인과 활용성 간의 관련성 연구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구본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0.
9. 박병형, 한 권으로 끝내는 e-ERP, 태영출판사, 2001.
10. 전사적 자원관리의 도입전략, 김원실,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1999.
키워드
추천자료
[생산관리] ERP의 구조와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시스템의 선정방식
[생산관리 공통] ERP의 (1) 구조, (2)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3) 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
[생산관리] ERP의 (1)구조, (2)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시오
2014년 1학기 생산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ERP의 구조,유연성,확장가능성,시스템선정)
[생산관리 4공통] ERP의 (1)구조, (2)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시스템의 선정방식을 ...
2015년 1학기 생산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ERP의 구조,유연성,확장가능성,시스템선정)
[생산관리 공통] ERP의 (1) 구조, (2)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3) 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
[생산관리 공통] ERP의 (1) 구조, (2)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 시스템의 선정방식...
생산관리 방송대 해피캠퍼스
[2019 생산관리] ERP에 관하여 다음 사항을 중심으로 논하시오(1) 구조(2) 유연성 및 확장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