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장구조의이해E형)동사 condescend와 seem 문장의 심층구조를 (65d)와 (65e)로 설정하는 근거를 자세히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문장구조의이해E형)동사 condescend와 seem 문장의 심층구조를 (65d)와 (65e)로 설정하는 근거를 자세히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사 condescend 문장의 심층구조
1) 교과서 (65d)의 condescend 문장의 심층구조
2) 교과서 condescend 문장의 심층구조 내용 요약
3) condescend 문장의 심층구조 설정근거 및 고찰 정리

2. 동사 seem 문장의 심층구조
1) 교과서 (65e)의 seem 문장의 심층구조
2) 교과서의 seem 문장의 심층구조 내용 요약
3) seem 문장의 심층구조 설정근거 및 고찰 정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될 수 없다.
(16)
a.
To swim underwater would be begun by few of us.
b.
To buy the Times would be began by many of my friends.
What-분열문 (15a,b)는 to-부정사보문 (16a,b)처럼 비문법적이므로 부정사보문의 기저구조는 NP가 될 수 없다고 우선 가정할 수 있다. seem형 동사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위 (15)와 같이 what이 목적어가 될 수 없고, 위 (16)에서와 같이 to-부정사보문은 수동문의 주어가 될 수 없다. 그리고 seem, happened, appear, chance, tend 동사는 자동사로서 단독으로 서술어 기능을 하지 못한다.
그러나 began, continued와 ceased는 단독으로 서술어 기능을 할 수 있으나 부정사보문이 주어가 될 때 이들 동사는 단독으로 서술어 기능을 하지 못한다.
위의 seem 동사류의 심층구조 (65e)를 보면 seem 유형 동사는 내포문을 NP 내에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동사는 내포문을 VP에 두고 있는데 이 seem 유형 동사만이 내포문을 NP 내에 두고 있다. 따라서 seem 유형 동사의 통사적 자질 특성은 보문소가 that일 때는 It seems that I am sick와 같이 외치변형이 의무적으로 적용되고, 보문소가 for-to 일 때는 인상이 적용되어 I seem to be sick와 같은 문장을 나오게 한다. 그리하여 seem 유형 동사와 결합하는 부정사보문의 능동문과 수동문은 동의문이다.
(16)
a.
John seemed to ignore poor students.
b.
Poor students seemed to be ignored by John.
이처럼 부정사보문의 주어가 인상되었음은 상위문의 주어로 there가 seem 유형 동사의 주어가 될 수 있음에 대한 근거가 된다.
(17)
a.
There seemed to be another storm in March.
※ 참고문헌
1. 안승신, 서진희, 영어문장구조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2. 김선화, 영어 부정사의 통시적 연구,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3. 김정애, to-부정사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 양윤국, 영어통사론의 이론과 실제, 상명대학교출판부, 1997.
5. 윤만근, 영어통사론, 형성출판사, 1991.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25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1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