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언어학의 종류
1. 거시적 구분 - 공시언어학(synchronic linguistics), 통시언어학(diachronic linguistics)
2. 음운론(Phonology)
3. 음성학(phonetics)
4. 형태론(Morphology)
5. 통사론(Syntax)
6. 의미론(Semantics)과 화용론(Pragmatics)
7. 텍스트언어학
Ⅲ. 언어학의 연구 분야
1. 비교언어학(역사언어학, 역사비교언어학)
2. 기술언어학
3. 대조언어학
4. 언어유형학(유형론)
5. 형식언어학
6. 이론언어학
7. 수리언어학
8. 전산언어학
9. 통계언어학(계량언어학)
10. 말뭉치언어학(코퍼스언어학)
11. 언어학사, 메타언어학(언어인류학)
12. 언어학의 하위 분야 - 수사학, 문체론, 기호학, 문자학
13. 전통언어학의 분야 - 어휘론, 문법론, 어원론, 방언학
14. 연구 차원에 따른 분야 - 전산의미론, 역사음운론, 이론통사론
15. 응용 분야
16. 인접 분야와 학제 간 연구
17. 언어학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
Ⅳ. 결 론
[참고 자료]
Ⅱ. 언어학의 종류
1. 거시적 구분 - 공시언어학(synchronic linguistics), 통시언어학(diachronic linguistics)
2. 음운론(Phonology)
3. 음성학(phonetics)
4. 형태론(Morphology)
5. 통사론(Syntax)
6. 의미론(Semantics)과 화용론(Pragmatics)
7. 텍스트언어학
Ⅲ. 언어학의 연구 분야
1. 비교언어학(역사언어학, 역사비교언어학)
2. 기술언어학
3. 대조언어학
4. 언어유형학(유형론)
5. 형식언어학
6. 이론언어학
7. 수리언어학
8. 전산언어학
9. 통계언어학(계량언어학)
10. 말뭉치언어학(코퍼스언어학)
11. 언어학사, 메타언어학(언어인류학)
12. 언어학의 하위 분야 - 수사학, 문체론, 기호학, 문자학
13. 전통언어학의 분야 - 어휘론, 문법론, 어원론, 방언학
14. 연구 차원에 따른 분야 - 전산의미론, 역사음운론, 이론통사론
15. 응용 분야
16. 인접 분야와 학제 간 연구
17. 언어학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
Ⅳ.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호학은 기호에 대한 연구이다. 의미가 만들어지는 방법 및 이해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도 이 학문의 범주에 속한다. 그리고 기호학자들은 생물체들이 자신만의 기호 세상에 적응하면서 결과를 예측하는 것을 연구기반으로 한다. 기호에 대한 일반적 이론을 만들어내는 학문이 기호학이며 생명체 사이의 소통을 연구하는 학문은 바로 생물기호학이다.
기호학은 원래 존 로케의 “인간 이해에 관한 에세이” (1690년)에서 파생이 되었다. 로케는 “그리스어: σημειον ”라는 단어에 기반하여 “semeiotike”라는 표현을 사용했었다.
4) 문자학
현대의 언어학에서 문자학은 거의 논의되지 않는다.
음성을 언어의 가장 낮은 단계의 물리적인 기반으로 보는 관점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문자는 부수적인 도구 또는 언어 이후의 것으로 파악이 되어져 언어학의 연구 대상에서 배제된다.
13. 전통언어학의 분야 - 어휘론, 문법론, 어원론, 방언학
그 연구의 역사가 매우 오래된 분야들로 전통언어학의 분야로 인식되기도 한다. 어휘론과 문법론은 언어의 의미와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에 해당하고 어원론은 언어의 시간적인 변화, 방언학은 언어의 공간적인 변화를 연구하는 제 분야이다.
14. 연구 차원에 따른 분야 - 전산의미론, 역사음운론, 이론통사론
어떠한 차원으로 언어를 연구하는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분야들도 존재한다.
전산적인 차원에서 의미론을 연구하는 분야가 전산의미론, 역사적인 차원에서 음운론을 연구하는 분야는 역사음운론, 이론적인 관점에서 통사론을 연구하는 분야는 이론통사론 등으로 명명된다.
15. 응용 분야
언어와 관련된 실질적인 분야를 다루고 있는 응용언어학에는 언어와 관련한 교재 개발, 교수법, 사전 편찬, 언어치료, 번역과 통역, 언어정책, 전산처리 등 다양한 연구분야가 존재하고 있다.
* 정서법, 번역학, 담화분석, 맞춤법, 사전학 (사전편찬학)언어교육학, 언어정책, 자연언어처리(음성인식, 화자인식, 음성합성, 음성처리, 기계번역)
16. 인접 분야와 학제 간 연구
심리언어학, 신경언어학, 기호학, 사회언어학, 언어병리학(언어습득, 언어장애, 언어치료), 응용언어학(응용 언어학은 사회언어학, 인간의 마음과 언어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심리언어학과 기호학 등을 다루는 분야이다)등과 같이 인접 분야와 학제 간 연구가 이루어지는 분야도 있다.
언어학은 연구 주제에서 심리학, 철학, 인류학, 문학, 인지과학 등 공유하는 부분도 있다. 언어를 연구하는 분야들은 서로 간에 겹치는 부분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느 특정 학문 분야의 하위 분과로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도 매우 많다.
흔히 이러한 분야들은 학제 간 연구라고 불리운다. 이들은 언어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들 사이의 경계에 놓여져 있고, 일부 분야는 언어와 관련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언어학자들에 의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17. 언어학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
인지언어학, 자연언어처리(음성인식, 음성합성, 음성처리, 화자인식, 기계번역), 언어철학언어등과 같이 언어학이라는 학문 자체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도 존재한다.
Ⅳ. 결 론
언어에 대한 고찰이 시작된 것은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그 당시의 언어 연구는 단어의 의미와 형식과의 사이에 밀접한 필연적인 관계가 있다고 하는 자연론자(naturlaist)와 필연적인 관계가 전혀 없다고 하는 관습론자(conventionalist) 사이의 논쟁이었다.
이 논쟁이 발전한 형태의 하나로서 언어는 어디까지가 규칙적이냐에 대하여 규칙적 측면을 강조한 유추론자와 그 불규칙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변칙론자 사이의 논쟁이었던 것이다. 이후에 서구 사회로 부터 나타난 최초의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문법적 기술은 형태론에서는 기원전 2세기의 Dionysius Thrax의 문법서이고, 통사론은 2세기의 Apolonius Dyscolus 의 문법서다.
고대 그리스어에 관한 전통적 문법은 이들 두 저서에 의하여 거의 대부분 완성되었으며 현재까지 그대로 계승되었다고 말 할 수 도 있다.
그 후 중세로부터 르네상스를 지나서 19세기에 들어 비교언어학이 융성하기까지 현대 언어학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사실은 13~14세기에 싹을 보여 17세기에 프랑스에서 보편문법의 확립이 시도되어진 것을 들 수가 있다.
특히 1660년에 출판되어진 Port-Royal의 문법은 언어 구조가 이성의 반영이고, 인간 언어로 인한 표면적인 차이가 아무리 다양하더라도 보다더 일반적인 논리와 이성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해 내려고 하였다.
비교언어학이 19세기에 성과를 올리게 된 이후에 촘스키(Chomsky)의 변형생성문법이론이 나온 20세기 후반까지 비교언어학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졌다.
20세기 초에 Saussure의 공시적 언어 연구가 통시적 언어 연구보다도 더 중요하다고 강조되었고, 20세기 전반부의 언어학의 특징인 구조주의(structuralism)가 새로이 탄생하게 되었다.
지금까지도 여전히 유럽에서는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적 전통이 계승되고 있다.
촘스키가 언어를 한 개인의 두뇌 속에서 일어나는 인지과정으로 파악한 것에 반하여, 소쉬르는 언어를 사회라는 구조 속으로 부터 파악해 냄으로써 궁극적으로 유럽, 특히 프랑스 후기구조주의 철학자들의 자양분으로 작용되었다.
미셸 푸코 등의 후기구조주의 철학자들은 언어를 권력 관계로서 분석하는 작업을 시도하기도 했었다.
언어학계는 이러한 전통적인 연구주제 외에도 별도로 새로운 연구 분야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언어와 인지구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인지언어학과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과 검색을 활용한 코퍼스 언어학이 특히 각광받는 추세이다.
[참고자료]
전정예, 언어학 특강, 경진문화사, 2010
페르디낭 드 소쉬르, 최승언 역,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로버트 로빈스, 강범모 역, 언어학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7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1995
요하네스 페르, 최용호 역, 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인간사랑, 2002
George Yule, 노진서 역, 언어학 강의, 케임브리지, 2009
기호학은 원래 존 로케의 “인간 이해에 관한 에세이” (1690년)에서 파생이 되었다. 로케는 “그리스어: σημειον ”라는 단어에 기반하여 “semeiotike”라는 표현을 사용했었다.
4) 문자학
현대의 언어학에서 문자학은 거의 논의되지 않는다.
음성을 언어의 가장 낮은 단계의 물리적인 기반으로 보는 관점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문자는 부수적인 도구 또는 언어 이후의 것으로 파악이 되어져 언어학의 연구 대상에서 배제된다.
13. 전통언어학의 분야 - 어휘론, 문법론, 어원론, 방언학
그 연구의 역사가 매우 오래된 분야들로 전통언어학의 분야로 인식되기도 한다. 어휘론과 문법론은 언어의 의미와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에 해당하고 어원론은 언어의 시간적인 변화, 방언학은 언어의 공간적인 변화를 연구하는 제 분야이다.
14. 연구 차원에 따른 분야 - 전산의미론, 역사음운론, 이론통사론
어떠한 차원으로 언어를 연구하는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분야들도 존재한다.
전산적인 차원에서 의미론을 연구하는 분야가 전산의미론, 역사적인 차원에서 음운론을 연구하는 분야는 역사음운론, 이론적인 관점에서 통사론을 연구하는 분야는 이론통사론 등으로 명명된다.
15. 응용 분야
언어와 관련된 실질적인 분야를 다루고 있는 응용언어학에는 언어와 관련한 교재 개발, 교수법, 사전 편찬, 언어치료, 번역과 통역, 언어정책, 전산처리 등 다양한 연구분야가 존재하고 있다.
* 정서법, 번역학, 담화분석, 맞춤법, 사전학 (사전편찬학)언어교육학, 언어정책, 자연언어처리(음성인식, 화자인식, 음성합성, 음성처리, 기계번역)
16. 인접 분야와 학제 간 연구
심리언어학, 신경언어학, 기호학, 사회언어학, 언어병리학(언어습득, 언어장애, 언어치료), 응용언어학(응용 언어학은 사회언어학, 인간의 마음과 언어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심리언어학과 기호학 등을 다루는 분야이다)등과 같이 인접 분야와 학제 간 연구가 이루어지는 분야도 있다.
언어학은 연구 주제에서 심리학, 철학, 인류학, 문학, 인지과학 등 공유하는 부분도 있다. 언어를 연구하는 분야들은 서로 간에 겹치는 부분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느 특정 학문 분야의 하위 분과로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도 매우 많다.
흔히 이러한 분야들은 학제 간 연구라고 불리운다. 이들은 언어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들 사이의 경계에 놓여져 있고, 일부 분야는 언어와 관련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언어학자들에 의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17. 언어학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
인지언어학, 자연언어처리(음성인식, 음성합성, 음성처리, 화자인식, 기계번역), 언어철학언어등과 같이 언어학이라는 학문 자체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도 존재한다.
Ⅳ. 결 론
언어에 대한 고찰이 시작된 것은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그 당시의 언어 연구는 단어의 의미와 형식과의 사이에 밀접한 필연적인 관계가 있다고 하는 자연론자(naturlaist)와 필연적인 관계가 전혀 없다고 하는 관습론자(conventionalist) 사이의 논쟁이었다.
이 논쟁이 발전한 형태의 하나로서 언어는 어디까지가 규칙적이냐에 대하여 규칙적 측면을 강조한 유추론자와 그 불규칙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변칙론자 사이의 논쟁이었던 것이다. 이후에 서구 사회로 부터 나타난 최초의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문법적 기술은 형태론에서는 기원전 2세기의 Dionysius Thrax의 문법서이고, 통사론은 2세기의 Apolonius Dyscolus 의 문법서다.
고대 그리스어에 관한 전통적 문법은 이들 두 저서에 의하여 거의 대부분 완성되었으며 현재까지 그대로 계승되었다고 말 할 수 도 있다.
그 후 중세로부터 르네상스를 지나서 19세기에 들어 비교언어학이 융성하기까지 현대 언어학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사실은 13~14세기에 싹을 보여 17세기에 프랑스에서 보편문법의 확립이 시도되어진 것을 들 수가 있다.
특히 1660년에 출판되어진 Port-Royal의 문법은 언어 구조가 이성의 반영이고, 인간 언어로 인한 표면적인 차이가 아무리 다양하더라도 보다더 일반적인 논리와 이성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해 내려고 하였다.
비교언어학이 19세기에 성과를 올리게 된 이후에 촘스키(Chomsky)의 변형생성문법이론이 나온 20세기 후반까지 비교언어학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졌다.
20세기 초에 Saussure의 공시적 언어 연구가 통시적 언어 연구보다도 더 중요하다고 강조되었고, 20세기 전반부의 언어학의 특징인 구조주의(structuralism)가 새로이 탄생하게 되었다.
지금까지도 여전히 유럽에서는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적 전통이 계승되고 있다.
촘스키가 언어를 한 개인의 두뇌 속에서 일어나는 인지과정으로 파악한 것에 반하여, 소쉬르는 언어를 사회라는 구조 속으로 부터 파악해 냄으로써 궁극적으로 유럽, 특히 프랑스 후기구조주의 철학자들의 자양분으로 작용되었다.
미셸 푸코 등의 후기구조주의 철학자들은 언어를 권력 관계로서 분석하는 작업을 시도하기도 했었다.
언어학계는 이러한 전통적인 연구주제 외에도 별도로 새로운 연구 분야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언어와 인지구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인지언어학과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과 검색을 활용한 코퍼스 언어학이 특히 각광받는 추세이다.
[참고자료]
전정예, 언어학 특강, 경진문화사, 2010
페르디낭 드 소쉬르, 최승언 역,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로버트 로빈스, 강범모 역, 언어학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7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1995
요하네스 페르, 최용호 역, 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인간사랑, 2002
George Yule, 노진서 역, 언어학 강의, 케임브리지, 2009
추천자료
2012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C(언어학의종류와연구분야)
국어국문학과-언어학연구의 역사적 논의와 언어의 힘 A+
[방통대 전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C형] 언어학이 어떤 학문인지를 설명하시오.
[언어의 이해 C형] 언어학이 어떤 학문인지를 설명!!!!
[언어의 이해 B형] 내적 언어학의 분야를 제시하고 각 분야에서 무엇을 어떻게 연구하는지를 ...
[언어의 이해 C형] 외적 언어학의 분야를 제시하고, 각 분야에서 무엇을 어떻게 연구하는지를...
방통대 중간과제 언어의 이해 B형 내적 언어학의 분야를 제시하고, 각 분야에서 무엇을 어떻...
방통대 중간과제 언어의 이해 C형 외적 언어학의 분야를 제시하고, 각 분야에서 무엇을 어떻...
방통대 중간과제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하시오
[독후감상문] 언어와 언어학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