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자원개발사례조사] 프랑스 랑독 루씨옹(Languedoc-Roussillon) 위치 및 환경 개발계획 및 과정 개발전략의 특징 개발후 효과 개발 후 문제점과 대책 지구별 조사 방문후 시사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광자원개발사례조사] 프랑스 랑독 루씨옹(Languedoc-Roussillon) 위치 및 환경 개발계획 및 과정 개발전략의 특징 개발후 효과 개발 후 문제점과 대책 지구별 조사 방문후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위치 및 환경

2. 개발계획 및 과정

3. 개발전략의 특징

4. 개발후 효과

5. 개발후 문제점과 대책

6. 지구별 조사 개요
■ 빨라바스(Palavas) 지역
■ 그랑모뜨(Grande Motte) 지역
■ 깝다그드(le Cap Dagde) 지역
■ 그뤼쌍(Gruissan) 지역
■ 나르본(Narbonne) 지역
■ 세트(Sete) 지역

7. 방문후 시사점

본문내용

육박하면 관광객과 지역민 사이에 이해상충 발생이 우려
- 상주인구의 어느정도 성장은 매우 바람직하나 그 이상의 지속적 성장은 억제하는 것이 유리
기존 지역산업 종사자 문제
- 당초 지역에는 어민과 농민(포도재배)이 다수 분포하였으나 이들이 지역을 떠나지 않도록 이주단지를 조성하고 관광지내 상점 등 운영권을 주어 배려
토지매입 문제
- 토지매입은 부분적으로 조금씩 비밀스럽게 추진
- 늪지는 0.5~0.8프랑, 포도밭은 4~5프랑 정도로 매입
- 해수욕장 사이에 땅은 거의 값이 없었음(불모지)
민간개발자의 자금 확보문제
- 개발에 참여하는 민간기업에게는 정부가 여신을 보증
- 중앙정부에서 60%, 지방정부에서 40%를 보증
- 민간이 도중 파산하거나 사업추진이 불가능하면 정부가 직접 지원(초기2~3년간이 문제였으며 그후에는 문제 해결)
비수기 문제
- 상인들이 겨울장사를 위해서 산악지역으로 옮겨가는 등 소득확보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어 크게 문제되지 않음
30년이 지난 시설의 노후화와 쇠락화 문제
- 소유주에게 개선을 요구하고 지역정부에서 지원
- 한집당 대체로 60,000프랑 정도가 들게 되며, 이중 40%를 지역정부에서 지원
6. 지구별 조사 개요
■ 빨라바스(Palavas) 지역
당초 랑독루시옹 개발계획에 의해 개발된 지역이 아니고, 인근 몽삘리에(Montpellier) 도시에 인접하여 자연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도시계획에 의거하여 개발된 대도시 인접 유원지역임
대부분의 해양관광지에서 볼 수 있듯이 마리나항을 중심으로 양쪽에 해변을 개발하였으며, 대상지역 배후에 위치한 자연형의 석호(昔湖)에 의해 선형(線型)의 리조트로 개발됨
■ 그랑모뜨(Grande Motte) 지역
약 10만 베드를 목표로 계획에 의해 건설된 도시로서 피라미드식 고층건물과 백색을 주제로한 형이상학적 건축디자인으로 말미암아 유럽의 명물 리조트로 급부상
마리나를 중심으로 7개의 지구로 나누어 개발하고 각 지구별로 중심시설을 배치함으로써 관광인파가 한 곳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
배후에는 골프장, 간선도로를 배치하여 외부와 철저히 단절된 리조트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녹지축을 구성하여 인공적 건축물에 의한 답답함을 완충
■ 깝다그드(le Cap Dagde) 지역
주로 4~5층 정도의 중밀도 개발지구로서 주황색과 직선으로 구성된 독특한 건축을 주제로 지역을 강조
모든 개발지구마다 별도의 중심시설로 어디에 가도 독립된 리조트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일체의 차량동선을 단지외로 설계함으로서 평온한 단지 분위기를 강조
평지에 입지하여 대단히 큰 규모가 실제로는 그렇게 커 보이지 않음
■ 그뤼쌍(Gruissan) 지역
배후 별장지대와 함께 단지 전면에는 샬레(별장)형 건축물을 배치하고 전 단지를 2층 이하의 건축물로 배치
최초로 개발됨에 따라 현재 건물의 개보수 작업이 크게 진행중임
주로 가족단위의 절약형 관광객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해안지역도 크게 손대지 않아 자연 그대로의 경관을 유지함으로써 독특한 단지환경을 나타냄
자칫 좋지 않은 관광지로 생각될 수도 있으나, 최근 유럽인들의 자연친화적 관광행태와 잘 맞아떨어지는 지역임
■ 나르본(Narbonne) 지역
주황색과 원형의 건축물을 주제로 3~4층 정도의 중밀도 개발단지로 자연발생적 개발지역임
단조로운 직선해안에 배후지역 역시 선형으로 개발된 이 지역은 배후에 나르본시와 베지르시가 입지하여 개발의 상업성이 유지된 지역임
■ 세트(Sete) 지역
세트는 남부 프랑스의 오래된 항구도시로 인구는 약 5만명에 불구하지만 지역에서의 관광중심성은 매우 큼
특히 수운이 발달하여 도심내 유서깊은 건축물이 도심내 운하와 함께 조형미를 크게 높이고 있음
또한, 프랑스의 세계적 시인인 폴 발레리(Paul Valery)의 고향으로써 그가 최후를 맞이하고 묘지 역시 이 지역에 있어서 지역의 관광잠재력을 더욱 높이고 있음
랑독루시옹을 방문하는 관광객중 상당수가 이 지역을 거쳐가고 있음
7. 방문후 시사점
랑독루시옹 개발지역은 본래 습지지역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지역의 기존 문화사회와는 완전히 격리된 인공관광지임
그러나 관광지마다 별도의 설계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휴양리조트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성공하였음
성공배후에는 프랑스 정부의 전폭적 지원과 함께 장기 휴가제도가 제도화함에 따른 수요창출이 큰 몫을 한 것으로 판단됨
특히, 그랑모뜨 지역은 건축설계를 혁신함으로써 건축물 자체가 관광자원화 하는 등 주변에 자원이 부족함을 디자인과 단지설계로 보완하고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큼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2.03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1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