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 간염바이러스를 구분하고, 각각의 감염 경로를 기술하시오.(5점)
1) A형 간염의 경로
2) B형 간염의 경로
3) C형 간염의 경로
4) D형 감염, E형 간염의 경로
5) G형 간염의 경로
2. 급성 간염의 경우, 특별한 치료약이 없고 침상안정과 식이요법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1)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 – 식이요법
2)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 – 생활요법
3)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 – 운동요법
4)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 – 민간요법
5)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 – 대증요법
3. B형 간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10점)
1) 예방접종
(1) 백신의 역사
(2) 백신 종류 및 국내 유통 백신
(3) 면역원성 및 효과
2) 실시기준 및 방법
(1) 접종대상
(2) 접종시기 및 방법
(3) 특수 상황에서의 백신 접종
(4) 백신 접종 후 관리
(5) 노출 후 관리
3) 동시접종 및 교차접종
4) 지연접종
5) 금기사항 및 주의사항
6)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7) 백신 관리 방법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 간염바이러스를 구분하고, 각각의 감염 경로를 기술하시오.(5점)
1) A형 간염의 경로
2) B형 간염의 경로
3) C형 간염의 경로
4) D형 감염, E형 간염의 경로
5) G형 간염의 경로
2. 급성 간염의 경우, 특별한 치료약이 없고 침상안정과 식이요법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1)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 – 식이요법
2)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 – 생활요법
3)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 – 운동요법
4)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 – 민간요법
5) 급성기 간염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관리방법 – 대증요법
3. B형 간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10점)
1) 예방접종
(1) 백신의 역사
(2) 백신 종류 및 국내 유통 백신
(3) 면역원성 및 효과
2) 실시기준 및 방법
(1) 접종대상
(2) 접종시기 및 방법
(3) 특수 상황에서의 백신 접종
(4) 백신 접종 후 관리
(5) 노출 후 관리
3) 동시접종 및 교차접종
4) 지연접종
5) 금기사항 및 주의사항
6)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7) 백신 관리 방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확인하기 위하여 감염원의 혈액을 채취해야 한다. 감염원의 HBsAg 상태와 노출된 사람의 백신 접종력, anti-HBs 상태에 따라 조치법이 다르다.
3) 동시접종 및 교차접종
B형간염 백신은 BCG, DTaP, 폴리오, MMR, 수두, A형간염,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 백신과 동시에 접종할 수 있으며, 혼합 백신으로 접종할 수도 있으나 같은 주사기에 다른 백신을 같이 섞어 접종해서는 안 된다. 서로 다른 부위에 주사해야 하나 같은 부위에 주사할 때에는 적어도 2.5 cm 이상의 간격을 띄어야 한다. B형간염 백신은 다른 회사 제품들을 서로 교차하여 3회 접종하더라도 한 회사 제품을 3회 접종한 것과 차이가 없으므로 교차접종이 가능하다.
4) 지연접종
권장 접종시기보다 지연된 경우는 처음부터 다시 접종할 필요가 없으며, 이전의 접종력을 인정하고 다음 차수부터 접종하되 접종이 지연되었기 때문에 최소 접종간격을 유지하여 나머지 횟수만큼 접종한다. 1회 접종하고 지연이 된 경우 가능한 빨리 2번째 접종을 하고, 3번째 접종은 적어도 2개월 간격을 두고 접종한다. 3번째 접종만 지연된 경우는 빠른 시일 내에 3번째 접종을 실시한다.
5) 금기사항 및 주의사항
금기는 이전에 B형간염 백신 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있었을 때이며, 임신이나 수유 및 면역억제 상태라도 접종을 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백신이다. 백신 구성 성분이나 이전 백신 접종에서 심한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있는 경우는 접종 금기이나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은 매우 드물다. 중등도 혹은 중증 급성 질환에 이환된 경우는 증세의 호전이 있을 때까지는 금기이다. 그러나 상기도염과 같은 가벼운 질환이 있는 경우는 금기가 아니다. 임산부에 대한 B형간염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계획된 연구는 없으나 간접적인 결과에 의하면 산모나 태아에 해를 끼치는 경우는 없었다. 따라서 임신 중 B형간염에 감염되면 산모나 태아에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백신의 적응이 된다면 임신 중이나 수유 중에도 접종이 가능하다. 면역 저하가 있어도 접종은 가능하나 백신에 대한 반응은 정상인에 비해 떨어진다.
6)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주사 부위의 통증으로 성인과 소아에서 각각 13~29%, 3~9%가 발생하며, 피로, 두통, 보챔과 같은 경한 전신 증상은 성인 11~17%, 소아 0~20%, 37.7℃ 이상의 발열은 성인 1%, 소아 0.4~6.4%에서 발생한다. 중한 전신 이상반응 및 알레르기 반응은 매우 드물다. 아나필락시스는 접종자의 약 60만명 중 1명에서 발생하는데 실제로는 이 수치보다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B형간염 백신을 출생 시 혹은 출생 직후에 접종하더라도 신생아기에 발열, 패혈증 검사, 알레르기 혹은 신경학적 이상을 나타내는 빈도가 증가하여 나타나지는 않았다. 대규모 대조군 역학연구에 의해서 B형간염 백신과 영아 돌연사 증후군, 당뇨,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탈수초 질환과의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7) 백신 관리 방법
B형간염 백신은 반드시 2~8℃로 냉장 보관하여야 하고 냉동해서는 안 된다. 만약 냉동 온도에 노출되면 백신의 역가는 떨어진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간염바이러스의 감염 경로와 B형간염의 예방법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해 보았다. 일본, 대만 등 B형간염의 유병률이 높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1980년대부터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B형간염 수직감염 예방사업’에서 명칭 변경)을 실시하여 HBsAg 양성률을 감소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02년 7월부터 HBsAg 양성인 산모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를 대상으로 B형간염에 대한 백신 및 면역글로불린 비용, 표면항원 및 항체 검사 비용을 지원하는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을 실시해 오고 있다. 2002년 7월부터 2011년 4월까지 B형간염 주산기감염의 위험에 노출된 신생아 수는 총 137,629명으로 추정(산모 표면항원 양성률 0.032×연간 출생아수의 총합)되며, 이 중 실제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에 참여한 등록자 수는 총 130,457명으로 대상자의 94.7%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백신 3회 접종과 필요 시 재접종을 완료하고 최종 HBsAg/anti-HBs 검사결과를 등록한 62,170명(T)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산기 예방조치 결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96.6%(A+C+G/T×100)에서 항체가 형성되었고, 항체 형성 실패율은 3.3%(B+D+F+H/T ×100), 완전 무반응자 비율은 0.05%(E/T ×100)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는 2008년에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 사무처(Regional Office for Western Pacific; WPRO)로 부터 서태평양 지역 최초로 ‘B형간염 관리 성과인증서’를 받아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은 매우 성공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B형간염으로 인한 질병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대상자의 지속적인 등록 관리와 예방조치 이후 HBsAg 양성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강화하여 전 인구의 HBsAg 양성률 1% 미만을 목표로, 효율적인 대상자 관리를 위하여 대한의사협회 등 관련 단체들과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강애실 외, 신생아기에 접종한 B형 백신의 종류와 면역 효과에 관한 연구. 소아과, 1995
김영수 외, 성인에서 유전자 재조합 B형 간염 바이러스백신(HG-II)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 대한내과학회지, 2000
김종현, B형 간염 바이러스 주산기 감염, Korean J Pediatr, 2004
김종현 외, B형간염 검사에 대한 현황 및 타당성 조사연구, 질병관리본부, 2007
김종현 외, B형 간염 수직감염 예방사업의 초기평가 및 예방조치 실패에 대한 요인분석, 질병관리본부, 2004
질병관리본부, 2009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년도, 2009
선희식, 만성간염의 식이요법, 중앙의학사, 1976
이창홍,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최신 진단, 치료요법, Medifo, 2004
3) 동시접종 및 교차접종
B형간염 백신은 BCG, DTaP, 폴리오, MMR, 수두, A형간염,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 백신과 동시에 접종할 수 있으며, 혼합 백신으로 접종할 수도 있으나 같은 주사기에 다른 백신을 같이 섞어 접종해서는 안 된다. 서로 다른 부위에 주사해야 하나 같은 부위에 주사할 때에는 적어도 2.5 cm 이상의 간격을 띄어야 한다. B형간염 백신은 다른 회사 제품들을 서로 교차하여 3회 접종하더라도 한 회사 제품을 3회 접종한 것과 차이가 없으므로 교차접종이 가능하다.
4) 지연접종
권장 접종시기보다 지연된 경우는 처음부터 다시 접종할 필요가 없으며, 이전의 접종력을 인정하고 다음 차수부터 접종하되 접종이 지연되었기 때문에 최소 접종간격을 유지하여 나머지 횟수만큼 접종한다. 1회 접종하고 지연이 된 경우 가능한 빨리 2번째 접종을 하고, 3번째 접종은 적어도 2개월 간격을 두고 접종한다. 3번째 접종만 지연된 경우는 빠른 시일 내에 3번째 접종을 실시한다.
5) 금기사항 및 주의사항
금기는 이전에 B형간염 백신 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있었을 때이며, 임신이나 수유 및 면역억제 상태라도 접종을 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백신이다. 백신 구성 성분이나 이전 백신 접종에서 심한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있는 경우는 접종 금기이나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은 매우 드물다. 중등도 혹은 중증 급성 질환에 이환된 경우는 증세의 호전이 있을 때까지는 금기이다. 그러나 상기도염과 같은 가벼운 질환이 있는 경우는 금기가 아니다. 임산부에 대한 B형간염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계획된 연구는 없으나 간접적인 결과에 의하면 산모나 태아에 해를 끼치는 경우는 없었다. 따라서 임신 중 B형간염에 감염되면 산모나 태아에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백신의 적응이 된다면 임신 중이나 수유 중에도 접종이 가능하다. 면역 저하가 있어도 접종은 가능하나 백신에 대한 반응은 정상인에 비해 떨어진다.
6)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주사 부위의 통증으로 성인과 소아에서 각각 13~29%, 3~9%가 발생하며, 피로, 두통, 보챔과 같은 경한 전신 증상은 성인 11~17%, 소아 0~20%, 37.7℃ 이상의 발열은 성인 1%, 소아 0.4~6.4%에서 발생한다. 중한 전신 이상반응 및 알레르기 반응은 매우 드물다. 아나필락시스는 접종자의 약 60만명 중 1명에서 발생하는데 실제로는 이 수치보다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B형간염 백신을 출생 시 혹은 출생 직후에 접종하더라도 신생아기에 발열, 패혈증 검사, 알레르기 혹은 신경학적 이상을 나타내는 빈도가 증가하여 나타나지는 않았다. 대규모 대조군 역학연구에 의해서 B형간염 백신과 영아 돌연사 증후군, 당뇨,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탈수초 질환과의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7) 백신 관리 방법
B형간염 백신은 반드시 2~8℃로 냉장 보관하여야 하고 냉동해서는 안 된다. 만약 냉동 온도에 노출되면 백신의 역가는 떨어진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간염바이러스의 감염 경로와 B형간염의 예방법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해 보았다. 일본, 대만 등 B형간염의 유병률이 높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1980년대부터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B형간염 수직감염 예방사업’에서 명칭 변경)을 실시하여 HBsAg 양성률을 감소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02년 7월부터 HBsAg 양성인 산모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를 대상으로 B형간염에 대한 백신 및 면역글로불린 비용, 표면항원 및 항체 검사 비용을 지원하는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을 실시해 오고 있다. 2002년 7월부터 2011년 4월까지 B형간염 주산기감염의 위험에 노출된 신생아 수는 총 137,629명으로 추정(산모 표면항원 양성률 0.032×연간 출생아수의 총합)되며, 이 중 실제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에 참여한 등록자 수는 총 130,457명으로 대상자의 94.7%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백신 3회 접종과 필요 시 재접종을 완료하고 최종 HBsAg/anti-HBs 검사결과를 등록한 62,170명(T)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산기 예방조치 결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96.6%(A+C+G/T×100)에서 항체가 형성되었고, 항체 형성 실패율은 3.3%(B+D+F+H/T ×100), 완전 무반응자 비율은 0.05%(E/T ×100)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는 2008년에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 사무처(Regional Office for Western Pacific; WPRO)로 부터 서태평양 지역 최초로 ‘B형간염 관리 성과인증서’를 받아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은 매우 성공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B형간염으로 인한 질병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대상자의 지속적인 등록 관리와 예방조치 이후 HBsAg 양성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강화하여 전 인구의 HBsAg 양성률 1% 미만을 목표로, 효율적인 대상자 관리를 위하여 대한의사협회 등 관련 단체들과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강애실 외, 신생아기에 접종한 B형 백신의 종류와 면역 효과에 관한 연구. 소아과, 1995
김영수 외, 성인에서 유전자 재조합 B형 간염 바이러스백신(HG-II)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 대한내과학회지, 2000
김종현, B형 간염 바이러스 주산기 감염, Korean J Pediatr, 2004
김종현 외, B형간염 검사에 대한 현황 및 타당성 조사연구, 질병관리본부, 2007
김종현 외, B형 간염 수직감염 예방사업의 초기평가 및 예방조치 실패에 대한 요인분석, 질병관리본부, 2004
질병관리본부, 2009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년도, 2009
선희식, 만성간염의 식이요법, 중앙의학사, 1976
이창홍,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최신 진단, 치료요법, Medifo, 2004
추천자료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문헌고찰 및 case study
[간호학]간염
간염 case study
[간종양][간암][간경화][간염]간의 기능, 간의 구조, 간암(간암의 정의, 간암의 임상증상, 간...
간경화증(Liver Cirrhosis) 케이스 실습보고서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 간염바이러스 구분 및 각각의 감...
[성인간호학4공통]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간염바이러스 구분과 각각의 감염경로, ...
성인간호학4공통)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 간염바이러스와 각각의 감염 경로 2)급...
[성인간호학 공통] 1)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 간염바이러스 구분, 각각의 감염경...
성인간호-5가지 간염바이러스 구분,감염경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