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차 례 ◈
Ⅰ.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문헌고찰
Ⅲ.연구기간 및 방법
Ⅳ.간호과정
1.간호사정
1)개인력
2)건강력
*현병력
*과거력
*가족력
*각 기관별 문진
3)간호력
4)신체검진
5)진단을 위한 검사
6)치료 및 경과
2.간호과정 적용
Ⅴ.결론
*참고문헌
Ⅰ.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문헌고찰
Ⅲ.연구기간 및 방법
Ⅳ.간호과정
1.간호사정
1)개인력
2)건강력
*현병력
*과거력
*가족력
*각 기관별 문진
3)간호력
4)신체검진
5)진단을 위한 검사
6)치료 및 경과
2.간호과정 적용
Ⅴ.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평소 주말에는 교회를 다니는 착실한 기독교신자이다.
2)건강력
(1)현병력
본 환자는 간 조직 생검(Liver biopsy)을 위해 2002.3.5 외래를 통해 입원하였으며, 심한 운동을 하면 우상복부에 통증이 있다. 평소 피로감을 자주 느낀다.
(2)과거력
어릴 때부터 비염이 있다.
(3)가족력
환자의 아버지도 간염이 있으며 폐결핵 말기까지 앓으셨다. 형1명과 누나3명이 있는데 모두 간염은 가지고 있으며 바로 위 두 살 많은 누나는 고혈압도 있다.
3)간호력
박씨는 미성년자 였을 때 B형간염 진단을 받아서인지 술과 담배는 전혀 하지 않고 B형간염말고는 평소 건강 하였다고 한다. 이 환자는 조직 생검을 위해 입원한 탓인지 그리 불편한곳 없이 편안하고 활발해 보였으며 성격도 낙천적이고 본 학생과의 면담에도 적극적으로 쉽게 응해주었다.
4)신체검진
① 체중:58㎏ , 신장:176㎝
② 활력징후: 혈압 130/80mmHg, 맥박 70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3℃
③ -복부 : 우상복부에 통증이 있다.
-운동 : 쉽게 피로함을 느낀다.
-비뇨기계: 소변이 진하게 노랗고 거품이 일어난다.
5)진단을 위한 검사
① 간 기능 수치검사 (AST/ALT 또는 GOT/GPT)
② B형 간염 항원과 항체검사 (HBsAg/HBsAb 와 HBeAg/HBeAb)
③ 간조직 생검 (Liver Bx)
④ 혈액학적검사
⑤ 심전도 (EKG: electrocardiogram)
⑥ 초음파검사 (USG: ultrasonography)
*간기능수치검사
검사
정상범위
3/5
3/6
3/7
3/9
비고
AST(SGOT)
15-40
54
56
63
56
급성 간세포 손상시 예민하게 상승하는 효소이며 급성간염때 급격히 증가한다. 만성간질환자는 천천히 올라간다.
ALT(SGPT)
10-40
86
102
103
80
γ-GTP
2-30
16
간에서 나오는 효소로 폐쇄성 황달시 현저히 증가한다. 알콜성 간 장애 환자는 이 수치가 음주에 의해 현저히 증가한다. 정상인 중에도 상습음주자는 비음주자에 비해 확실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나 금주하면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빌리루빈
0-0.5
0.22
간, 담도 계통 이상시 황달 진단에 유용. 급성간염, 담석증, 췌장암 같은 폐쇄성 황달이 있거나 용혈이 있을 때 많이 증가한다.
(이상없는 검사는 생략함)
*간조직생검
-정식 견본은 needle biopsy로 한 간 조직 측정(크기1.5*1cm)이다.
(specimen received in formal in are 3 pieces of needle biopsied hepatic tissue measuring, the larest one 1.5*0.1cm in size.)
-진단: 만성 B형간염(chronic hepatitis)
1)mild lobular activity : 온화한 소엽의 활동
2)minimal pogtoperiportal activity
: 최소한의 potal vein(간문맥 주위 조직)주변 활동
3)periportal fibrosis :periportal의 섬유화
-NOTE: By ziehl-Neelsen stain, no acid fast baillus is found.
MT stain was done.
균을 찾을 수는 업으나 TB(결핵)을 시사하는 조직학적 소견은 보임
6)치료 및 경과
(1)식이요법:일반 식이
(2)약물투여
약명
용량
투여방법
작용
HDF(hepadif)
3T #3
2ⓥ(qd)
p.o
IV
급.만성간염,지방간,간경변,중독성간질환 치료제
Nissel
3T #3
p.o
담즙분비촉진제,간보호제
Bearse
3T #3
p.o
종합소화제
10Dw5
1BT
IV
포도당(영양)
B2C2
1A
IV
비타민
(3)조직생검(3/6)
(4) 조직검사후 8시간동안 sand bag 유지함.
(5) 월,수,토-간 수치검사(SGOT&SGPT)
2.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 및자료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3/5
(HD/1)
#1.만성질환과 관련된 피로날짜
휴식과 안정을 증진시켜 피로감을 줄여준다.
*침상에서 안정하도록 한다.
*조용한 환경을 조성
*환자와 함께 환자의 일상생활을 검토한다.
3/6
(HD/2)
#2.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S.“검사할 때 아픈가요?”
“결과가 나쁠까봐 걱정이에요”
불안행동을 유발시키는 요안을 확인한다.
*건사과정에 대하여 정확하고 간결하게 설명한다.
*환자의 말을 주의깊게 경청하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준다.
*환자의 불안행동을 접하는 가족 또는 의미있는 사람들을 지지한다.
많이 안심하고 안정되었다.
3/6
(HD/2)
#2.조직검사후 스트레스와 관련된 미열
o.혈압상승과 체온상승.(체온:37.5)
열을 내려준다
아이스백을 겨드랑이에 대어주어 열을 내려준다
체온내려감
3/13
(HD/9)
2AM
#3.원인불명의소화장애
S."체한 것 같아요.속이 답답해요“
환자를 편안하게 해준다.
*needle로 손가락 땀(self)
*효과없다하여 투약
Dages 1ⓒ#1
Alginon1ⓐ#1 IM주사
환자잠들음
Ⅴ.결론
본 학생은 이 환자를 간호 사례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행한 연구를 통해 만성 B형간염환자의 검사와 치료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환자의 안위를 위해 노력하였다.
환자가 퇴원할 때 간수치는 검사를 위해 입원할 당시의 간수치 보다 현저하게 떨어진 것을 알수있었다.(63/103→56/80).
좀 아쉬웠던 점은 이 환자가 검사를 목적으로 입원 하였고, 입원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환자의 모습을 충분히 관찰할 수는 없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1.대한소화기학회,대한소화기학회 총서2,군자출판사,1998
2.임상간호메뉴얼,현문사,1997
3.박진일외 공저,간질황의 병리,고려의학,1992
<<내과병동실습>>
Chronic Hepatitis B
(만성 B형 간염)
200112011
김명희
◈ 차 례 ◈
Ⅰ.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문헌고찰
Ⅲ.연구기간 및 방법
Ⅳ.간호과정
1.간호사정
1)개인력
2)건강력
*현병력
*과거력
*가족력
*각 기관별 문진
3)간호력
4)신체검진
5)진단을 위한 검사
6)치료 및 경과
2.간호과정 적용
Ⅴ.결론
*참고문헌
2)건강력
(1)현병력
본 환자는 간 조직 생검(Liver biopsy)을 위해 2002.3.5 외래를 통해 입원하였으며, 심한 운동을 하면 우상복부에 통증이 있다. 평소 피로감을 자주 느낀다.
(2)과거력
어릴 때부터 비염이 있다.
(3)가족력
환자의 아버지도 간염이 있으며 폐결핵 말기까지 앓으셨다. 형1명과 누나3명이 있는데 모두 간염은 가지고 있으며 바로 위 두 살 많은 누나는 고혈압도 있다.
3)간호력
박씨는 미성년자 였을 때 B형간염 진단을 받아서인지 술과 담배는 전혀 하지 않고 B형간염말고는 평소 건강 하였다고 한다. 이 환자는 조직 생검을 위해 입원한 탓인지 그리 불편한곳 없이 편안하고 활발해 보였으며 성격도 낙천적이고 본 학생과의 면담에도 적극적으로 쉽게 응해주었다.
4)신체검진
① 체중:58㎏ , 신장:176㎝
② 활력징후: 혈압 130/80mmHg, 맥박 70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3℃
③ -복부 : 우상복부에 통증이 있다.
-운동 : 쉽게 피로함을 느낀다.
-비뇨기계: 소변이 진하게 노랗고 거품이 일어난다.
5)진단을 위한 검사
① 간 기능 수치검사 (AST/ALT 또는 GOT/GPT)
② B형 간염 항원과 항체검사 (HBsAg/HBsAb 와 HBeAg/HBeAb)
③ 간조직 생검 (Liver Bx)
④ 혈액학적검사
⑤ 심전도 (EKG: electrocardiogram)
⑥ 초음파검사 (USG: ultrasonography)
*간기능수치검사
검사
정상범위
3/5
3/6
3/7
3/9
비고
AST(SGOT)
15-40
54
56
63
56
급성 간세포 손상시 예민하게 상승하는 효소이며 급성간염때 급격히 증가한다. 만성간질환자는 천천히 올라간다.
ALT(SGPT)
10-40
86
102
103
80
γ-GTP
2-30
16
간에서 나오는 효소로 폐쇄성 황달시 현저히 증가한다. 알콜성 간 장애 환자는 이 수치가 음주에 의해 현저히 증가한다. 정상인 중에도 상습음주자는 비음주자에 비해 확실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나 금주하면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빌리루빈
0-0.5
0.22
간, 담도 계통 이상시 황달 진단에 유용. 급성간염, 담석증, 췌장암 같은 폐쇄성 황달이 있거나 용혈이 있을 때 많이 증가한다.
(이상없는 검사는 생략함)
*간조직생검
-정식 견본은 needle biopsy로 한 간 조직 측정(크기1.5*1cm)이다.
(specimen received in formal in are 3 pieces of needle biopsied hepatic tissue measuring, the larest one 1.5*0.1cm in size.)
-진단: 만성 B형간염(chronic hepatitis)
1)mild lobular activity : 온화한 소엽의 활동
2)minimal pogtoperiportal activity
: 최소한의 potal vein(간문맥 주위 조직)주변 활동
3)periportal fibrosis :periportal의 섬유화
-NOTE: By ziehl-Neelsen stain, no acid fast baillus is found.
MT stain was done.
균을 찾을 수는 업으나 TB(결핵)을 시사하는 조직학적 소견은 보임
6)치료 및 경과
(1)식이요법:일반 식이
(2)약물투여
약명
용량
투여방법
작용
HDF(hepadif)
3T #3
2ⓥ(qd)
p.o
IV
급.만성간염,지방간,간경변,중독성간질환 치료제
Nissel
3T #3
p.o
담즙분비촉진제,간보호제
Bearse
3T #3
p.o
종합소화제
10Dw5
1BT
IV
포도당(영양)
B2C2
1A
IV
비타민
(3)조직생검(3/6)
(4) 조직검사후 8시간동안 sand bag 유지함.
(5) 월,수,토-간 수치검사(SGOT&SGPT)
2.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 및자료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3/5
(HD/1)
#1.만성질환과 관련된 피로날짜
휴식과 안정을 증진시켜 피로감을 줄여준다.
*침상에서 안정하도록 한다.
*조용한 환경을 조성
*환자와 함께 환자의 일상생활을 검토한다.
3/6
(HD/2)
#2.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S.“검사할 때 아픈가요?”
“결과가 나쁠까봐 걱정이에요”
불안행동을 유발시키는 요안을 확인한다.
*건사과정에 대하여 정확하고 간결하게 설명한다.
*환자의 말을 주의깊게 경청하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준다.
*환자의 불안행동을 접하는 가족 또는 의미있는 사람들을 지지한다.
많이 안심하고 안정되었다.
3/6
(HD/2)
#2.조직검사후 스트레스와 관련된 미열
o.혈압상승과 체온상승.(체온:37.5)
열을 내려준다
아이스백을 겨드랑이에 대어주어 열을 내려준다
체온내려감
3/13
(HD/9)
2AM
#3.원인불명의소화장애
S."체한 것 같아요.속이 답답해요“
환자를 편안하게 해준다.
*needle로 손가락 땀(self)
*효과없다하여 투약
Dages 1ⓒ#1
Alginon1ⓐ#1 IM주사
환자잠들음
Ⅴ.결론
본 학생은 이 환자를 간호 사례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행한 연구를 통해 만성 B형간염환자의 검사와 치료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환자의 안위를 위해 노력하였다.
환자가 퇴원할 때 간수치는 검사를 위해 입원할 당시의 간수치 보다 현저하게 떨어진 것을 알수있었다.(63/103→56/80).
좀 아쉬웠던 점은 이 환자가 검사를 목적으로 입원 하였고, 입원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환자의 모습을 충분히 관찰할 수는 없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1.대한소화기학회,대한소화기학회 총서2,군자출판사,1998
2.임상간호메뉴얼,현문사,1997
3.박진일외 공저,간질황의 병리,고려의학,1992
<<내과병동실습>>
Chronic Hepatitis B
(만성 B형 간염)
200112011
김명희
◈ 차 례 ◈
Ⅰ.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문헌고찰
Ⅲ.연구기간 및 방법
Ⅳ.간호과정
1.간호사정
1)개인력
2)건강력
*현병력
*과거력
*가족력
*각 기관별 문진
3)간호력
4)신체검진
5)진단을 위한 검사
6)치료 및 경과
2.간호과정 적용
Ⅴ.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Depression간호진단
폐암 케이스
두개내출혈
CRF 대상자 간호과정
당뇨(diabetes mellitus:DM)케이스
케이스 스터디 )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호스피스
[케이스스터디][폐질환][간세포암][갑상선암][뇌출혈]폐질환 케이스스터디(CaseStudy), 간세...
호스피스 보고서
[간호관리학] Nursing Management Case Study - 부정적 조직 분위기
전남 대학교 병원 기관 방문보고서
[간호학] 백내장 케이스
폐결핵 케이스 (Tuberculosis CASE STUDY), 폐결핵 간호진단, 폐결핵 간호과정, TB case TB ...
입원환자 관리 시나리오 [ 대학병원 실제 사례를 통한 입원환자 관리 시나리오 - 입원시 병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