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본론-문헌고찰
-해부, 생리 및 병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3.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1.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본론-문헌고찰
-해부, 생리 및 병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3.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본문내용
1회 5-10mg
1일 1회 경구투여
Calcium
Channel
Blocker
고혈압, 협심증
안면홍조, 두통, 피로,
심계항진, 현기증,
흉부압박감, 구역
임부, 가임부,
심인성 쇽 환자,
Bisolvon
1회 4-8mg
1일 1회
근주 및 정주
Cough
& Cold
Remedy
급상만성기관지염,
폐결핵, 수술후,
객담배출, 진폐증
구토, 식욕부진, 발진,
소양증, 심계항진,
아나팔락시스, 혈관부종
첨가제 과민증 환자 금기
Ranitidin
1회 50mg을
1일 3~4회
정맥 또는 근육
위산분비
억제제
위십이지장 궤양,역류성 식도염,
수술후 궤양
쇽, 발열, 발진, 기관지
경련, 설사, 구역,
복부팽만
2.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의미있는 자료
진단명
S: ".............................."
O: V/S에서 Fever 상승한다.
오랜 침상생활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 유무
S : "............................"
O : tachypnea가 나타남.
사지에 cyanosis가 나타남
기침을 할 때에 가래가 끓는 소리가 남.
발열이 있음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S: ".............................."
O: 근육의 긴장력이 감소되어 있다.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S: ".............................."
O: 피부가 건조하고 탄력이 없다.
피부 발적이 나타난다.
감각 및 운동장애와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중추신경계 변화와 관련된 언어소통 장애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오랜 침상생활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 유무
환자의 신체활력
증후를 check
하여 합병증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
한다.
활력징후를 알아본다
Fever가 높을시
Ice Pank을 대어준다 .
필요시 dr에게 의뢰
한다.
대상자의 V/S을 수시로 체크 기록한다
Fever 상승시 즉시 Ice Pack을 대준다
응급시 N/S dr 즉시 의뢰한다.
대상자의 Fever가
조금씩 높아지고
있고 Ice bag을
써서 일시적으로
열을 내리지만
N/S dr.
진단결과
합병증을 의심하고 있다.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환자는 호흡음이
정상이고 청색증, 호흡곤란이
나타나지 않는다.
SaO2가 100%로
유지된다.
분비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적절하게
투여한다.
충분한 환기를 유지한다.
흉부 물리요법, 체위변경등
마사지를 2시간마다 실시한다.
가습기를 설치하였다.
동맥혈 가스분압 결과를
확인한다.
필요시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 거담제,흡입제, 항생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여 가스교환 능력을 증진시킨다.
대상자의 호흡수, 리듬,
호흡음, 기침, 가래의 특징을
사정하여 호흡양상을
기록한다.
적절한 수분공급:처방에 따라 정맥수액공급을 한다.
최대한 산소가 공급될 수
있는 체위를 취한다.
(체위 변경시는 안위, 의학적
문제, 비만, 골절, 수술
등의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대상자는
호흡곤란을
경험하지 않고
ABGA결과가
정상이었다.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모든 관절운동
범위가 유지되고
근육의 양과
근력이 유지된다.
대상자는 침상 안정
기간에 정상적으로 근골격기능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부동기간에
정상적으로
호흡기능을 유지한다.
적어도 하루에 2번씩
모든 관절에 대해서 능동적
관절운동을 실시하고
관찰한다.
능동적 운동이 불가능할 경우
수동적인 관절운동을
수행한다.
베개, 타월, 핸드롤, 손수건
등을 사용하여 신체정렬을
유지하도록 한다.
견고한 매트리스나 침대판을
제공하고 발판을 대준다.
매시간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돕는다.
기관 절개관 흡인을 하여
분비물을 제거함으로써
기도 개방성을 유지한다.
2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을
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
하고 도와준다.
대상자는 관절의
강직이나 경축, 근 긴장력
감소를 나타내지
않는다.
▶감각 및 운동장애와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감각 및 운동장애와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대상자의 피부는 깨끗하고 건조하다.
대상자의 피부
통합성을 높인다.
장애를 사정하고 크기,
길이, 발적이나 배액 여부
및 위치를 확인한다.
뼈가 돌출된 부위, 발적된
부위를 마사지하여 욕창을
예방한다.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대상자는
피부 발적, 수포와
같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III. 결론
김 o o 환자는 75세 가사를 돌보던 환자로 2003년 1월 S-ICH로 김천의료원 N/S에서 Lt. Hemiparesis OP를 1차적으로 받고 2003년 3월 26일 퇴원했던 환자로 04년 AM 8시경 화장실을 다녀오던중 Mantal Change로 ER을 통해 방문 Br. CT상 S-ICH Rt. hemiparesis 진단을 받고 10월 6일 Ventriculostomy OP를 받고 ICU에서 현재까지 가료중이다. 뒤척임 정도의 침상생활만 하고 있으며 평균 활력징후는 (V/S) B.P 140~80 P 110 R 26 F 37.2정도 check 되고 있으며 Endotrachal Tube를 하고 있다가 Dyspnea로 10월 12일 Trachiotomy를 시행하였다. 통증에 반응을 보이고 Fever가 계속 상승되고 있어 합병증을 의심해 10월 18일부터 항생제를 투여하고 있다. 보호자들에게 예후를 설명하였고 앞으로 발전상을 계속 지켜보고 있는 상태이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上-2 (2002, 전시자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下-2 (2002, 전시자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 각론 (2002, 정담)
간호진단과 중재 (이은옥 외, 수문사)
간호진단과 중재(이은옥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
1일 1회 경구투여
Calcium
Channel
Blocker
고혈압, 협심증
안면홍조, 두통, 피로,
심계항진, 현기증,
흉부압박감, 구역
임부, 가임부,
심인성 쇽 환자,
Bisolvon
1회 4-8mg
1일 1회
근주 및 정주
Cough
& Cold
Remedy
급상만성기관지염,
폐결핵, 수술후,
객담배출, 진폐증
구토, 식욕부진, 발진,
소양증, 심계항진,
아나팔락시스, 혈관부종
첨가제 과민증 환자 금기
Ranitidin
1회 50mg을
1일 3~4회
정맥 또는 근육
위산분비
억제제
위십이지장 궤양,역류성 식도염,
수술후 궤양
쇽, 발열, 발진, 기관지
경련, 설사, 구역,
복부팽만
2.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의미있는 자료
진단명
S: ".............................."
O: V/S에서 Fever 상승한다.
오랜 침상생활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 유무
S : "............................"
O : tachypnea가 나타남.
사지에 cyanosis가 나타남
기침을 할 때에 가래가 끓는 소리가 남.
발열이 있음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S: ".............................."
O: 근육의 긴장력이 감소되어 있다.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S: ".............................."
O: 피부가 건조하고 탄력이 없다.
피부 발적이 나타난다.
감각 및 운동장애와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중추신경계 변화와 관련된 언어소통 장애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오랜 침상생활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 유무
환자의 신체활력
증후를 check
하여 합병증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
한다.
활력징후를 알아본다
Fever가 높을시
Ice Pank을 대어준다 .
필요시 dr에게 의뢰
한다.
대상자의 V/S을 수시로 체크 기록한다
Fever 상승시 즉시 Ice Pack을 대준다
응급시 N/S dr 즉시 의뢰한다.
대상자의 Fever가
조금씩 높아지고
있고 Ice bag을
써서 일시적으로
열을 내리지만
N/S dr.
진단결과
합병증을 의심하고 있다.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환자는 호흡음이
정상이고 청색증, 호흡곤란이
나타나지 않는다.
SaO2가 100%로
유지된다.
분비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적절하게
투여한다.
충분한 환기를 유지한다.
흉부 물리요법, 체위변경등
마사지를 2시간마다 실시한다.
가습기를 설치하였다.
동맥혈 가스분압 결과를
확인한다.
필요시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 거담제,흡입제, 항생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여 가스교환 능력을 증진시킨다.
대상자의 호흡수, 리듬,
호흡음, 기침, 가래의 특징을
사정하여 호흡양상을
기록한다.
적절한 수분공급:처방에 따라 정맥수액공급을 한다.
최대한 산소가 공급될 수
있는 체위를 취한다.
(체위 변경시는 안위, 의학적
문제, 비만, 골절, 수술
등의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대상자는
호흡곤란을
경험하지 않고
ABGA결과가
정상이었다.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모든 관절운동
범위가 유지되고
근육의 양과
근력이 유지된다.
대상자는 침상 안정
기간에 정상적으로 근골격기능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부동기간에
정상적으로
호흡기능을 유지한다.
적어도 하루에 2번씩
모든 관절에 대해서 능동적
관절운동을 실시하고
관찰한다.
능동적 운동이 불가능할 경우
수동적인 관절운동을
수행한다.
베개, 타월, 핸드롤, 손수건
등을 사용하여 신체정렬을
유지하도록 한다.
견고한 매트리스나 침대판을
제공하고 발판을 대준다.
매시간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돕는다.
기관 절개관 흡인을 하여
분비물을 제거함으로써
기도 개방성을 유지한다.
2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을
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
하고 도와준다.
대상자는 관절의
강직이나 경축, 근 긴장력
감소를 나타내지
않는다.
▶감각 및 운동장애와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감각 및 운동장애와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대상자의 피부는 깨끗하고 건조하다.
대상자의 피부
통합성을 높인다.
장애를 사정하고 크기,
길이, 발적이나 배액 여부
및 위치를 확인한다.
뼈가 돌출된 부위, 발적된
부위를 마사지하여 욕창을
예방한다.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대상자는
피부 발적, 수포와
같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III. 결론
김 o o 환자는 75세 가사를 돌보던 환자로 2003년 1월 S-ICH로 김천의료원 N/S에서 Lt. Hemiparesis OP를 1차적으로 받고 2003년 3월 26일 퇴원했던 환자로 04년 AM 8시경 화장실을 다녀오던중 Mantal Change로 ER을 통해 방문 Br. CT상 S-ICH Rt. hemiparesis 진단을 받고 10월 6일 Ventriculostomy OP를 받고 ICU에서 현재까지 가료중이다. 뒤척임 정도의 침상생활만 하고 있으며 평균 활력징후는 (V/S) B.P 140~80 P 110 R 26 F 37.2정도 check 되고 있으며 Endotrachal Tube를 하고 있다가 Dyspnea로 10월 12일 Trachiotomy를 시행하였다. 통증에 반응을 보이고 Fever가 계속 상승되고 있어 합병증을 의심해 10월 18일부터 항생제를 투여하고 있다. 보호자들에게 예후를 설명하였고 앞으로 발전상을 계속 지켜보고 있는 상태이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上-2 (2002, 전시자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下-2 (2002, 전시자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 각론 (2002, 정담)
간호진단과 중재 (이은옥 외, 수문사)
간호진단과 중재(이은옥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