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복지 발달(전개) 과정
외국의 아동 복지 발달 과정(영국, 미국)
한국의 아동복지 발달(전개) 과정
한국 아동복지의 전망
1. 외국의 아동 복지 발달 과정(영국, 미국)
1) 근대 이전의 아동
2) 근대의 아동
3) 현대의 아동
4) 영국의 아동복지 발달과정
5) 미국의 아동복지 발달 과정
2. 한국의 아동복지 발달(전개) 과정
1) 아동에 대한 시각의 변화
2) 근대 이전의 아동복지
3) 근대적 아동복지
4) 현대적 아동복지
3. 한국 아동복지의 전망
1) 가족의 변화에 따른 대책
2) 국제협약의 기준을 통한 아동인권 옹호
3) 새로운 전달 체계의 제도화
4) 서비스의 다양성과 전문화
5) 지역사회 차원의 아동복지 접근
외국의 아동 복지 발달 과정(영국, 미국)
한국의 아동복지 발달(전개) 과정
한국 아동복지의 전망
1. 외국의 아동 복지 발달 과정(영국, 미국)
1) 근대 이전의 아동
2) 근대의 아동
3) 현대의 아동
4) 영국의 아동복지 발달과정
5) 미국의 아동복지 발달 과정
2. 한국의 아동복지 발달(전개) 과정
1) 아동에 대한 시각의 변화
2) 근대 이전의 아동복지
3) 근대적 아동복지
4) 현대적 아동복지
3. 한국 아동복지의 전망
1) 가족의 변화에 따른 대책
2) 국제협약의 기준을 통한 아동인권 옹호
3) 새로운 전달 체계의 제도화
4) 서비스의 다양성과 전문화
5) 지역사회 차원의 아동복지 접근
본문내용
적으로 함.
④ 1985년 서울시립아동상담소가 공립기관으로는 처음으로 ‘아동권익보호신고소’를 개설.
⑤ 1989년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발족.
(2) 1990년대 이후
- 1991년 1월 영유아보육법 제정 - 탁아와 관련되는 내용은 아동복지법에서 분리. 시설탁아 및 가정탁아시설은 아동복지시설에서 제외.
- 과거 시설수용보호와 국외입양사업에 치중되어 있던 아동복지사업이 가정과 지역사회 중 심의 보육서비스, 국내입양, 가정위탁, 재가복지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 발전되어 갔다.
① 한국아동복지협회 창립
- 1991년 한국아동복지학회 창립→ 한국아동복지의 문제를 조영하고 아동복지정책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강화 하고자 정부 간담회와 정책 건의 힘씀.
② 학교사회복지의 개시
- 1993년 지역사회복지관 - 부적응 학생 프로그램 운영 시작.
- 1997년 민간사회복지재단 -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 지원.
- 1998년 경기도 교육청과 1999년 대구광역시 교육청
사회복지관을 사회봉사명령을 받은 학생들의 특별 교육이수기관으로 지정.
- 2000년 학교사회복지실천모델을 활용한 생활지도를 시범적으로 운영.
③ IMF 위기와 아동복지
- 우리나라이 경제적위기로 인하여 부모의 실직과 어려움으로 많은 가정이 해체, 핵가족구조에서 아동이 시설에 맡겨지게 되었고, 이에 따른 실직가정 자녀의 방과 후 학교도 운영되었지만 이들 아동의 심리사화적 문제에 대한 개입은 미흡한 상황.
→ 실직으로 인한 가족 내 역할 변화로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비 일관적인 양육 태도로 아동의 정신건강이 위협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녀들의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이 개발 실시됨.
④ 아동보호서비스의 전개
- 2000년 아동복지법의 개정→ 전국 규모의 아동학대예방사업 즉, 아동보호서비스 체계를 구축.
⑤ 아동복지시설의 평가
- 현재 아동복지시설의 수용인원 : 30명에서 200명까지 다양. 200명 이상의 대규모 시설은 종교단체에 의한 특수시설의 형태로 운영.
- 200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평가(아동복지시설도 포함)→ 아동에 대한 정서적 치유와 성장, 자립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많이 미흡.
3. 한국 아동복지의 전망
1) 가족의 변화에 따른 대책
① 여성의 출산율 저하, 이혼으로 인한 가족 해체
- 정상적인 가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동증가
② 개선방향
- 여성의 출산 장려-모자복지, 가족복지정책 추진
- 아동의 건전한 발달을 지원
- 보육서비스와 모성보호제도 확충
- 편부모 가구의 아동에 대한 양육비 지원 강화
2) 국제협약의 기준을 통한 아동인권 옹호
3) 새로운 전달 체계의 제도화
- 아동학대예방센터, 가정위탁지원센터, 입양지원센터, 지역아동센터
→ 새로운 전달체계 도입
4) 서비스의 다양성과 전문화
① 사회적, 정서적 지원, 가족해체를 예방하는 전문적 프로그램 개발
② 아동복지 시설에 대한 경험적 연구
5) 지역사회 차원의 아동복지 접근
① 아동복지기관이 지역사회 접근 활용, 설치, 운영
②아동양육 시설의 지역사회에 개방(아동상담, 일시보호, 급식, 프로그램제공)
④ 1985년 서울시립아동상담소가 공립기관으로는 처음으로 ‘아동권익보호신고소’를 개설.
⑤ 1989년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발족.
(2) 1990년대 이후
- 1991년 1월 영유아보육법 제정 - 탁아와 관련되는 내용은 아동복지법에서 분리. 시설탁아 및 가정탁아시설은 아동복지시설에서 제외.
- 과거 시설수용보호와 국외입양사업에 치중되어 있던 아동복지사업이 가정과 지역사회 중 심의 보육서비스, 국내입양, 가정위탁, 재가복지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 발전되어 갔다.
① 한국아동복지협회 창립
- 1991년 한국아동복지학회 창립→ 한국아동복지의 문제를 조영하고 아동복지정책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강화 하고자 정부 간담회와 정책 건의 힘씀.
② 학교사회복지의 개시
- 1993년 지역사회복지관 - 부적응 학생 프로그램 운영 시작.
- 1997년 민간사회복지재단 -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 지원.
- 1998년 경기도 교육청과 1999년 대구광역시 교육청
사회복지관을 사회봉사명령을 받은 학생들의 특별 교육이수기관으로 지정.
- 2000년 학교사회복지실천모델을 활용한 생활지도를 시범적으로 운영.
③ IMF 위기와 아동복지
- 우리나라이 경제적위기로 인하여 부모의 실직과 어려움으로 많은 가정이 해체, 핵가족구조에서 아동이 시설에 맡겨지게 되었고, 이에 따른 실직가정 자녀의 방과 후 학교도 운영되었지만 이들 아동의 심리사화적 문제에 대한 개입은 미흡한 상황.
→ 실직으로 인한 가족 내 역할 변화로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비 일관적인 양육 태도로 아동의 정신건강이 위협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녀들의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이 개발 실시됨.
④ 아동보호서비스의 전개
- 2000년 아동복지법의 개정→ 전국 규모의 아동학대예방사업 즉, 아동보호서비스 체계를 구축.
⑤ 아동복지시설의 평가
- 현재 아동복지시설의 수용인원 : 30명에서 200명까지 다양. 200명 이상의 대규모 시설은 종교단체에 의한 특수시설의 형태로 운영.
- 200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평가(아동복지시설도 포함)→ 아동에 대한 정서적 치유와 성장, 자립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많이 미흡.
3. 한국 아동복지의 전망
1) 가족의 변화에 따른 대책
① 여성의 출산율 저하, 이혼으로 인한 가족 해체
- 정상적인 가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동증가
② 개선방향
- 여성의 출산 장려-모자복지, 가족복지정책 추진
- 아동의 건전한 발달을 지원
- 보육서비스와 모성보호제도 확충
- 편부모 가구의 아동에 대한 양육비 지원 강화
2) 국제협약의 기준을 통한 아동인권 옹호
3) 새로운 전달 체계의 제도화
- 아동학대예방센터, 가정위탁지원센터, 입양지원센터, 지역아동센터
→ 새로운 전달체계 도입
4) 서비스의 다양성과 전문화
① 사회적, 정서적 지원, 가족해체를 예방하는 전문적 프로그램 개발
② 아동복지 시설에 대한 경험적 연구
5) 지역사회 차원의 아동복지 접근
① 아동복지기관이 지역사회 접근 활용, 설치, 운영
②아동양육 시설의 지역사회에 개방(아동상담, 일시보호, 급식, 프로그램제공)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 및 청소년복지론
사회복지 발달 과정과 Recurring Issues
지역사회복지실천 탈시설화
사회복지의 역사와 발달과정
[아동복지][아동복지정책][아동복지서비스][아동복지사업][아동복지시설][아동문제][아동복지...
사회복지의 역사 (영국, 독일, 스웨덴, 미국, 한극이 사회복지의 역사)
아동복지론 아동복지발달과정
학교사회복지_학교사회복지개념, 발달, 학교사회복지사, 학교사회복지모델, 학교사회복지현황...
현행 아동복지를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외국의 아동복지의 변천과정을 비교 하시오 (영국 미국...
청소년복지의 정책현황, 전망, 과제, 발전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