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역사] 부산 해안로 - 해안로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산의역사] 부산 해안로 - 해안로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ⅰ)부산의 해안로
 ⅱ)영도
  1)태종대
   ㄱ)태종대의 臺자의 의미
  2)감지해변산책로

Ⅱ. 해안로의 현황
 ⅰ)태종대 해안로의 현황
  1)지리적 현황
  2)생태적 현황
 ⅱ)감지해변산책로의 현황

Ⅲ. 해안로의 문제점

Ⅳ. 해안로의 개선방안
 ⅰ) 태종대의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
 ⅱ)해안성 생태계 보전지구 관리방안
 ⅲ)해안경관 보전지구 관리방안

Ⅴ. 결론

Ⅵ.. 인용자료

본문내용

정리 되어있었고 다만 편의시설은 문제점이 많았다. 많은 관광객에 비해서 편의시설이 부족한점이 확연히 대비될 정도로 높은 가격정찰과 태종대 유원지 안의 폐쇄된 편의시설이 많았다. 태종대가 해안경관이 뛰어난 만큼 이것을 보전할 방안이 필요하다 본다.
감지해변산책로의 경우 노점상의 호객행위가 심하였고 매점시설을 비롯한 다른 시설들은 전부 노후되어 보였다. 산책로의 시설은 그리 노후되어 보이지 않았으나 정비가 안되는 듯한 점과 해운대쪽의 산책로와 비교해 볼 때 초라해 보이는 것은 인정하지 않을수 없었다. 산책로를 찾아가는 길은 그리 좋은 길은 아니었으며 표지판도 찾기 힘들어 찾아가면서 이곳이 맞나 의심하는 일도 있었다.
Ⅳ. 해안로의 개선방안
국민여행실태 조사보고서(한국관광공사, 2005)에 의하면 향후 가장 가보고 싶은 부산의 방문관광지는 해운대(73.5%), 태종대(5.0%), 광안리(4.6%)등으로 조사되었으며 2006년 상반기의 국민여행실태조사에서도 해운대(74.6%), 태종대(6.2%), 자갈치시장(5.7%) 등으로 해상관광활동이 가능한 관광지를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비추어 볼 때 태종대가 꾸준히 선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태종대가 갖고있는 문제점을 해결해야 앞으로도 부산의 관광산업자원으로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해상관광활성화를 이루어야 하는 것이다.
해상관광활성화란 해안과 해상에 분포하는 해상관광의 구성요소와 해안과 해상의 관광자원을 이용하는 기구나 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관리하거나 개발하여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도록 하고 관광 산업체의 매출을 증가시키며 관광적 현상을 점진적으로 활발하게 진흥·발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해상관광객이 해상과 해안에 분포하고 있는 관광자원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게 하고, 해상관광지로 쉽고 편하게 접근하여 관광지에 식음료를 먹고·즐기며·체험하고 편안한 휴식을 취할수 있게 하면 해상관광은 활성화된다. 이중 영도는 관광거점 중에서 대외관광객을 견인하고 집중시키는 기능을 가진 부산의 랜드마크가 되는 대표적인 거점이다. 다양한 관광수요의 변화에 대응하는 지구별 계획이 필수적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ⅰ) 태종대의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
이 해상관광활성화를 위해 기본적으로 이루어야 할 것이 태종대의 자연적 보존이라 생각한다. 부산지역에서 해안성 생태계 보전지구로 설정할 수 있는 곳은 태종대유원지로 이용되는 지역뿐이다. 해안성 생태계 보전지구는 해안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으면서 해안성 목본에 의한 식생군락이 충분히 형성된 독특한 공간이다. 현재는 유원지로 이용되고 있는 태종대에 대하여 생태계 보전지구로 설정하여 하게 해수욕장 방문객들과 시민들에게 해안성 생태계를 체험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는 공간이다.
ⅱ)해안성 생태계 보전지구 관리방안
보존을 위해서는 단기적인 방안으로 방문로와 생태탐방로를 구분하여 설치하고, 장기적으로는 현존식생조사와 상세 현존식생도를 이용하여 모니터링의 기본 자료로 활용한다. 건전한 이용을 위해서 단기적으로 학습자료집을 통한 방문객교육과 서식처보전을 홍보하고 유원지내의 건전한 생태탐방을 유도하고 장기적으로 휴양시설에 대항하는 토지다이용체계 시스템을 적용한다. 복원을 위해서 단기적으로 과도한 답압 입지에 대한 복원을 실시하고 장기적으로 ‘유라시안대륙 동단 온대생태원’을 조성하여 현지 내 보전 전략을 구축하고 도시 개발 마스터플랜에서 태종대유원지를 해안성 생태학습장으로의 발전을 도모한다. 또한 잠재자연식생자원을 이용한 보전 면적 확대도 추구한다.
ⅲ)해안경관 보전지구 관리방안
태종대유원지는 그러하지 않지만 감지해변산책로에는 불법 또는 합법적인 영업형태의 음식점이 무질서한 형태로 밀집되어 있다. 체계적인 조성 계획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해안경관 및 해수의 오염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낚시 행위로 의한 해안 식생 및 해안경관의 파괴는 부산광역시 내의 공통된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해결방안 구축이 시급하다. 해안경관 보전지구의 보존을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등산로 정비 및 해안절벽의 관목식생에 대한 보호책을 수립하고, 2년 주기의 주요 식생 및 식물종자원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건전한 이용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불법 어로행위와 영업행위에 대한 강력한 근절책을 마련하고, 복원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잠재자연식생자원에 대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해안의 유형에 따라 유사복원과 대체복원을 실시하고 단기적으로는 토지다이용체계에 입각하여 최소면적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통하여 최소한 해안식생을 보존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해안로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알아보면서 관광자원으로서나 문화적으로 해안로의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중 해안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해안경관의 효율적인 발전사업이 추진되기 위하여 여러 가지가 필요할 것이다.
해안지역 경관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법·제도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행정기관, 지역주민, 개발업자, 시민단체 등 경관사업의 주체간에 명확한 역할분담과 경관전문가가 제안하는 계획적인 관리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Ⅵ.. 인용자료
①http://www.encykorea.com/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②http://www.taejongdae.or.kr/ 태종대 유원지 홈페이지
③http://tour.busan.go.kr/ 부산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④부산3대(부산 신 3대 명물:해운대 태종대 부산대이야기) / 김하기, 유수
⑤부산지역 해안 친수공간의 이용만족도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양진우
⑥A Study on the Landscape Management in Coastal Area / Youn, Sang Ho
⑦부산광역시 녹색 환경 및 생태계 보전과 증진을 위한 실천계획 수립 / 오동하, 김종원
⑧The Innovative Strategy on the Activation of Marine Tourism in Busan / Jaegwan Kim
⑨Busan Use Area Change Pattern Research of Costal Area / Ga-Ya Kim, Jung-Ho Kim, Sung-jin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09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5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