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료관광이란?
2. 의료관광산업의 발전배경
3. 의료관광의 유형
4. 의료관광의 동기와 선택요인
1) 의료관광의 동기
2) 의료관광의 선택요인
5. 의료관광의 구성요소
1) 의료관광구조
2) 의료관광상품
3) 의료관광정책
6. 국내의료시장의 동향
1) 의료시장의 변화
2)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기대향상
3) 의료시장의 경쟁력 심화
7. 의료관광의 대한 활성화방안
1)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
2)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
3) 국가별 마케팅 전략 차별화
참고자료
2. 의료관광산업의 발전배경
3. 의료관광의 유형
4. 의료관광의 동기와 선택요인
1) 의료관광의 동기
2) 의료관광의 선택요인
5. 의료관광의 구성요소
1) 의료관광구조
2) 의료관광상품
3) 의료관광정책
6. 국내의료시장의 동향
1) 의료시장의 변화
2)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기대향상
3) 의료시장의 경쟁력 심화
7. 의료관광의 대한 활성화방안
1)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
2)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
3) 국가별 마케팅 전략 차별화
참고자료
본문내용
제안했으나 근본 해결책은 아니다. 의료관광은 침체된 국내 의료산업계의 탈출구이자 신 성장 동력의 하나다. 정부와 의료인 그리고 관련 단체가 핵심 쟁점의 합의안을 서둘러 도출해 의료분쟁조정법 입법을 앞당기는 노력이 절실하다.
② 비자 발급의 간소화와 다양한 연계상품도 개발
의료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우선 비자의 간소화가 필요한데 이는 관련 양국 정부가 문제해결에 앞장서야 한다. 또한 의료관광에 들어가는 비용은 다른 관광에 비해 비싼 편이다. 이와 관련해 병원 안에 호스텔을 운영하게 되면 의료관광에 들어가는 경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 관광객들이 우리나라의 유명관광지나 쇼핑몰 등을 많이 방문한다는 점을 들어 의료관광상품에 관광이나 쇼핑하는 데 할인혜택을 주는 방안 등을 접목한다면 의료관광비자가 아닌 다른 비자를 발급받고 들어와 몰래 성형하고 돌아가는 일은 사라지고 대신 오히려 의료관광으로 몰릴 수 있다.
(4) 외국인환자 의료분쟁 시 해결방안
\'의료관광’처럼 국가 간 거래나 ‘외국인’이 피해자로 되는 섭외사건에서는 그의 사법적 해결과 관련하여, 준거법· 관할법원 등의 결정에 ‘불법행위지’의 법과 법원이 기준이 된다는 국제 사법적 법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법리를 그대로 ‘의료관광’에도 적용하는 것은 의료공급자 측이나 의료소비자 측 모두에게 현명하지 않다. 왜냐하면 우선 의료소비자 입장에서는 제도적, 문화적 시스템이 다른 타국에서 재판이 유리할 수 없고 시간적비용 및 경제적 비용이 많다. 분쟁해결의 방법으로 공급자 측의 법적용을 강요하는 병원과는 의료계약을 꺼린다. 소송과 같은 사법적 방법은 상대방의 의사나 태도에 관계없이 국가권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강제적 해결방식이지만, ‘화해· 조정· 중재’와 같은 비사법적 방법은 당사자 쌍방의 일치된 자율적 의사에 이루어지는 자주적 해결방식이다. 후자를 ‘소송에 갈음하는 분쟁해결제도(대체적 분쟁해결제도)’라고 한다.
외국인 환자의 의료분쟁 시, 준거법을 비롯한 재판관할 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기 힘든 소송의 방법보다는 ‘화해· 조정· 중재’등의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를 통한 분쟁해결의 방법이 현실적이다.
(5) 리스크 사전예방 및 사후관리를 위한 방안
① 병원 현황에 맞는 리스크관리체계 구축(RMS : risk management system)
병원에서 모든 리스크 상황을 철저하게 관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개별 병원 현황에 따라 관리체계를 정비하여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필수 사항은 기본적으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
② 의료사고(분쟁) 예방을 위한 의료진과 행정실의 역할
리스크관리 범위 및 보고체계를 구축하였다면 의사, 간호부, 진료지원, 행정실 등 병원 임직원 모두 숙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기상황별 모의 훈련 시나리오를 마련하여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실시한다(주경근, 2010).
3) 국가별 마케팅 전략 차별화
의료관광의 마케팅 전략으로 세 가지를 꼽았다. 첫 번째는 중국, 일본, 동남아 등의 근거리시장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들은 현지관광투어에 미용, 건강검진 등 웰빙 요소를 추가한 형태의 관광을 하는데 이런 경우 여행업자나 일반인이 마케팅 대상이 된다. 두 번째로 미국이나 캐나다, 유럽 등 원거리 선진국은 치료 대기시간을 줄이고 진료비 지출을 줄이기 위해 방한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엔 의료보험 관계자나 의료관광 전문 에이전트가 마케팅 대상이 된다. 마지막으로 러시아, 중동, 동남아 등의 의료후진국의 경우 순수한 치료목적으로 방한하기 때문에 정부관계자, 의료 전문인부터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마케팅 대상이 다양하다. 특히 의료 마케팅을 잘 하려면 각국의 의료법이나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극동러시아의 경우 친한 분위기를 활용한 마케팅을 해야 하며, 중국에선 성형관련 상품 광고를 불허한다는 점을 알아야 하고, 일본에선 해외치료비용 보험 환급제와 국민 건강보험제도를 이해해야 한다. 이 밖에도 의료관광객을 유치하는 기관에선 수준 높은 의료기술과 외국어 홍보물, 홍보미디어, 외국어 안내판, 사후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의료관광이야말로 글로벌화에 기여하는 직업 중에 하나라는 자부심을 가지게 되 의료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 환자의 치료일정을 맞춰줘야 하고, 병원과 환자 사이에서 통역 역할도 해야 하고, 환자에게 한국 병원에 대한 좋은 이미지 또한 심어줘야 한다는 점에서 의료관광 코디네이터는 반드시 필요한 존재로, 앞으로 많은 코디네이터들이 나와 의료 산업 국제화에 힘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관광산업과 결합된 한국 의료산업글로벌화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앞으로 의료산업과 관광산업의 환상적인 의료관광 ‘메디컬 코스모폴리탄 대한만국’을 통해 아름다운 꿈을 연주해갈 한국의 미래를 기대한다(주경근, 2010).
참고자료
고태규안무업, 의료관광시스템, 무역경영사, 2010.
김구영, IT를 통한 해외 의료관광 유치의 활성화 방안,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9.
문성민, 의료관광 들여다보기, 대왕사, 2010.
손수진, 의료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연구, 문명연지, 2009.
신재기유명희, 의료관광마케팅, 한올출판사, 2009.
안광호유창조전승우, Kotler의 마케팅 원리 제 12판, 시그마프레스, 2008.
유태규, 의료관광 선도국의 보건의료시스템의 거버넌스 구축형태, 한국공공관리학보, 2009.
유명희, 의료관광 마케팅, 한올출판사, 2009.
윤형호, 서울시 의료관광의 국제마케팅 육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임종범윤병국권성길, 한국의료관광상품 개발방안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3호, 2009.
임형택, 의료관광정책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정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정인석 외, 신 관광사업 총론, 두양사, 2010.
주경근,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0.
한혜숙유명희김순호, 관광학개론, 한올출판사, 2010.
황여임, 한국 의료관광시장 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5.
② 비자 발급의 간소화와 다양한 연계상품도 개발
의료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우선 비자의 간소화가 필요한데 이는 관련 양국 정부가 문제해결에 앞장서야 한다. 또한 의료관광에 들어가는 비용은 다른 관광에 비해 비싼 편이다. 이와 관련해 병원 안에 호스텔을 운영하게 되면 의료관광에 들어가는 경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 관광객들이 우리나라의 유명관광지나 쇼핑몰 등을 많이 방문한다는 점을 들어 의료관광상품에 관광이나 쇼핑하는 데 할인혜택을 주는 방안 등을 접목한다면 의료관광비자가 아닌 다른 비자를 발급받고 들어와 몰래 성형하고 돌아가는 일은 사라지고 대신 오히려 의료관광으로 몰릴 수 있다.
(4) 외국인환자 의료분쟁 시 해결방안
\'의료관광’처럼 국가 간 거래나 ‘외국인’이 피해자로 되는 섭외사건에서는 그의 사법적 해결과 관련하여, 준거법· 관할법원 등의 결정에 ‘불법행위지’의 법과 법원이 기준이 된다는 국제 사법적 법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법리를 그대로 ‘의료관광’에도 적용하는 것은 의료공급자 측이나 의료소비자 측 모두에게 현명하지 않다. 왜냐하면 우선 의료소비자 입장에서는 제도적, 문화적 시스템이 다른 타국에서 재판이 유리할 수 없고 시간적비용 및 경제적 비용이 많다. 분쟁해결의 방법으로 공급자 측의 법적용을 강요하는 병원과는 의료계약을 꺼린다. 소송과 같은 사법적 방법은 상대방의 의사나 태도에 관계없이 국가권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강제적 해결방식이지만, ‘화해· 조정· 중재’와 같은 비사법적 방법은 당사자 쌍방의 일치된 자율적 의사에 이루어지는 자주적 해결방식이다. 후자를 ‘소송에 갈음하는 분쟁해결제도(대체적 분쟁해결제도)’라고 한다.
외국인 환자의 의료분쟁 시, 준거법을 비롯한 재판관할 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기 힘든 소송의 방법보다는 ‘화해· 조정· 중재’등의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를 통한 분쟁해결의 방법이 현실적이다.
(5) 리스크 사전예방 및 사후관리를 위한 방안
① 병원 현황에 맞는 리스크관리체계 구축(RMS : risk management system)
병원에서 모든 리스크 상황을 철저하게 관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개별 병원 현황에 따라 관리체계를 정비하여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필수 사항은 기본적으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
② 의료사고(분쟁) 예방을 위한 의료진과 행정실의 역할
리스크관리 범위 및 보고체계를 구축하였다면 의사, 간호부, 진료지원, 행정실 등 병원 임직원 모두 숙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기상황별 모의 훈련 시나리오를 마련하여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실시한다(주경근, 2010).
3) 국가별 마케팅 전략 차별화
의료관광의 마케팅 전략으로 세 가지를 꼽았다. 첫 번째는 중국, 일본, 동남아 등의 근거리시장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들은 현지관광투어에 미용, 건강검진 등 웰빙 요소를 추가한 형태의 관광을 하는데 이런 경우 여행업자나 일반인이 마케팅 대상이 된다. 두 번째로 미국이나 캐나다, 유럽 등 원거리 선진국은 치료 대기시간을 줄이고 진료비 지출을 줄이기 위해 방한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엔 의료보험 관계자나 의료관광 전문 에이전트가 마케팅 대상이 된다. 마지막으로 러시아, 중동, 동남아 등의 의료후진국의 경우 순수한 치료목적으로 방한하기 때문에 정부관계자, 의료 전문인부터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마케팅 대상이 다양하다. 특히 의료 마케팅을 잘 하려면 각국의 의료법이나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극동러시아의 경우 친한 분위기를 활용한 마케팅을 해야 하며, 중국에선 성형관련 상품 광고를 불허한다는 점을 알아야 하고, 일본에선 해외치료비용 보험 환급제와 국민 건강보험제도를 이해해야 한다. 이 밖에도 의료관광객을 유치하는 기관에선 수준 높은 의료기술과 외국어 홍보물, 홍보미디어, 외국어 안내판, 사후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의료관광이야말로 글로벌화에 기여하는 직업 중에 하나라는 자부심을 가지게 되 의료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 환자의 치료일정을 맞춰줘야 하고, 병원과 환자 사이에서 통역 역할도 해야 하고, 환자에게 한국 병원에 대한 좋은 이미지 또한 심어줘야 한다는 점에서 의료관광 코디네이터는 반드시 필요한 존재로, 앞으로 많은 코디네이터들이 나와 의료 산업 국제화에 힘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관광산업과 결합된 한국 의료산업글로벌화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앞으로 의료산업과 관광산업의 환상적인 의료관광 ‘메디컬 코스모폴리탄 대한만국’을 통해 아름다운 꿈을 연주해갈 한국의 미래를 기대한다(주경근, 2010).
참고자료
고태규안무업, 의료관광시스템, 무역경영사, 2010.
김구영, IT를 통한 해외 의료관광 유치의 활성화 방안,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9.
문성민, 의료관광 들여다보기, 대왕사, 2010.
손수진, 의료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연구, 문명연지, 2009.
신재기유명희, 의료관광마케팅, 한올출판사, 2009.
안광호유창조전승우, Kotler의 마케팅 원리 제 12판, 시그마프레스, 2008.
유태규, 의료관광 선도국의 보건의료시스템의 거버넌스 구축형태, 한국공공관리학보, 2009.
유명희, 의료관광 마케팅, 한올출판사, 2009.
윤형호, 서울시 의료관광의 국제마케팅 육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임종범윤병국권성길, 한국의료관광상품 개발방안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3호, 2009.
임형택, 의료관광정책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정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정인석 외, 신 관광사업 총론, 두양사, 2010.
주경근,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0.
한혜숙유명희김순호, 관광학개론, 한올출판사, 2010.
황여임, 한국 의료관광시장 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5.
키워드
추천자료
국내외 의료관광의 현황 및 사례와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외국사례를 통한 우리나라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여행사 경영론)의료 관광의 잠재력 분석을 통한 활성화 전략
[관광학개론]의료관광의 정의와 현황 및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의료관광의 현황 및 정책과 나아갈 방향
국내 의료관광의 현황, 사례, 문제점과 방안
국내 의료관광의 현황, 활성화 정책, 방안 분석
의료관광 활성화방안 - 의료관광 개념과 중요성, 의료관광 전략, 현황, 상품화 사례, 활성화 ...
[의료]의료관광의료관광의 현황, 문제점 및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
글로벌 의료 관광산업의 이해 및 성공사례 분석 - 의료산업 국제화, 의료서비스 무역, 세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