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작가 및 도서소개
1. 작가소개
2. 도서소개
Ⅱ. 리처드 도킨슨의 만들어진 신
1. 종교와 정치
2. 무신론에 대한 사회의 태도에 대한 고발
3. 신의 존재 증명에 대한 과학적 입증
4. 종교의 기능
5. 종교에 적대적인 이유
Ⅲ. 서평
1. 작가소개
2. 도서소개
Ⅱ. 리처드 도킨슨의 만들어진 신
1. 종교와 정치
2. 무신론에 대한 사회의 태도에 대한 고발
3. 신의 존재 증명에 대한 과학적 입증
4. 종교의 기능
5. 종교에 적대적인 이유
Ⅲ. 서평
본문내용
사람들에게는 이 책이 신을 부정하는 책으로 보이겠지만 내가 보기에는 이 책은 구약의 10 계명 중 최초의 계명인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에 대한 해설서로 보인다. 왜냐하면 이 책은 우리가 지금 믿고 있는 신이 모두 우상이라고 말하고, 그런 우상들의 파괴야말로 인류에게 가장 필요한 일이라고 말하며, 사람들이 믿고 있는 그 우상들을 깨는데 책의 전부를 할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구약의 십계명에서 말하는 우상의 참 뜻이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본 사람에게는 이 책이 그렇게 대단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감히 앞에서 이 책은 신의 존재에 대해 회의하는 사람에게 아주 초보적인 책이라고 말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책의 저자 리처드 도킨슨은 자신이 무신론자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나는 그가 무신론자가 아닌 것 같다. 그리고 그야말로 진정한 유신론자 같아 보인다. 그것은 그가 무신론자라는 말 외에 다른 표현으로는(사람들에게 오해를 일으키지 않는) 자신의 믿음을 표현할 방법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나는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저자와 교감한 말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미묘한 몇몇 구절에 대한 나의 느낌 때문이기도 하지만 결정적인 것은 내가 책 속에서 그가 다른 사람과 대담한 이 구절에서 진정한 자아라는 표현을 쓴 것을 읽었기 때문이다.
\"종교적 양육을 일종의 정신적 학대라고 하셨는데, 지옥을 믿도록 키우는 종교의 정신적 학대와 성적 학대에 따른 정신적 외상을 비교하면 어떻습니까?\"
\"아주 어려운 질문이군요.......사실 비슷한 점이 많다고 봅니다. 신뢰의 악용이니까요. 그것은 아이가 자유롭게 느끼고, 정상적인 방식으로 세계와 소통하고,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권리를 부정하는 것이지요......그것은 일종의 모욕이지요. 양쪽 다 진정한 자아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495쪽)
이 책을 읽고 난 후 나는 한참 생각해 보았다. 만일 내가 이 책을 보다 일찍 읽었더라면 그 동안의 나의 여행은 훨씬 쉬웠을지 모른다. 그러나 만일 내가 그렇게 되었다면 잃었던 것도 많았을 것이다. 길을 잃고 이 길 저 길을 방황하며 많은 세상구경을 했던 것들을. 그리고 전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저자의 편을 들며 나는 이런 말도 안 되는 생각도 해 보았다. 만일 누군가가 이 책을 읽고 자신의 신앙이 흔들린다면 이 책의 의도가 올바르게 전해진 것일까 하고. 그것에 대해서 나는 이런 답을 찾았다.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성경과 불경 그리고 이 책 또한 달이 아닌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라는 것을 언젠가는 그 사람이 알게 될 것이므로. 위에 말을 쉽게 풀어서 이야기하면 이렇다. 약은 늘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아픈 사람이 약을 먹으면 병이 낫지만, 아프지 않은 건강한 사람이 쓸데없이 약을 좋아하면 오히려 병이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은 이 책을 마음에 들지 않아 하는 사람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을 너무나 마음에 들어 한다면 그 사람들은 이 책을 읽지 말아야 할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나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책의 저자 리처드 도킨슨은 자신이 무신론자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나는 그가 무신론자가 아닌 것 같다. 그리고 그야말로 진정한 유신론자 같아 보인다. 그것은 그가 무신론자라는 말 외에 다른 표현으로는(사람들에게 오해를 일으키지 않는) 자신의 믿음을 표현할 방법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나는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저자와 교감한 말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미묘한 몇몇 구절에 대한 나의 느낌 때문이기도 하지만 결정적인 것은 내가 책 속에서 그가 다른 사람과 대담한 이 구절에서 진정한 자아라는 표현을 쓴 것을 읽었기 때문이다.
\"종교적 양육을 일종의 정신적 학대라고 하셨는데, 지옥을 믿도록 키우는 종교의 정신적 학대와 성적 학대에 따른 정신적 외상을 비교하면 어떻습니까?\"
\"아주 어려운 질문이군요.......사실 비슷한 점이 많다고 봅니다. 신뢰의 악용이니까요. 그것은 아이가 자유롭게 느끼고, 정상적인 방식으로 세계와 소통하고,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권리를 부정하는 것이지요......그것은 일종의 모욕이지요. 양쪽 다 진정한 자아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495쪽)
이 책을 읽고 난 후 나는 한참 생각해 보았다. 만일 내가 이 책을 보다 일찍 읽었더라면 그 동안의 나의 여행은 훨씬 쉬웠을지 모른다. 그러나 만일 내가 그렇게 되었다면 잃었던 것도 많았을 것이다. 길을 잃고 이 길 저 길을 방황하며 많은 세상구경을 했던 것들을. 그리고 전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저자의 편을 들며 나는 이런 말도 안 되는 생각도 해 보았다. 만일 누군가가 이 책을 읽고 자신의 신앙이 흔들린다면 이 책의 의도가 올바르게 전해진 것일까 하고. 그것에 대해서 나는 이런 답을 찾았다.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성경과 불경 그리고 이 책 또한 달이 아닌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라는 것을 언젠가는 그 사람이 알게 될 것이므로. 위에 말을 쉽게 풀어서 이야기하면 이렇다. 약은 늘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아픈 사람이 약을 먹으면 병이 낫지만, 아프지 않은 건강한 사람이 쓸데없이 약을 좋아하면 오히려 병이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은 이 책을 마음에 들지 않아 하는 사람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을 너무나 마음에 들어 한다면 그 사람들은 이 책을 읽지 말아야 할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 DNA에 대하여
[우수 평가 독후감]만들어진 신 독후감상문- 개인적인 생각과 교훈을 중심으로.
밈(meme)이란 무엇인가?
만들어진 신 감상문 (리처드 도킨스)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Clinton Richard Dawkins 저)
이타주의에 의한 도덕의 진화 [진화심리학] {이타주의 정의와 이타주의의 문제, 진화심리학 ...
[독후감] 만들어진 신(The God Delusion) 리처드 도킨스
[기독교문화신학] 교회가 직면한 문화적 도전 - 리처드 도킨스 의 『만들어진 신』 -
독후감) 이기적 유전자를 읽고
신, 만들어진 위험 [독서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