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봉사활동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봉사활동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노인에 대한 봉사활동

3.장애인에 대한 봉사활동

4.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봉사활동의 공통점

5.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봉사활동의 차이점

6.결론

7.참고자료

본문내용

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한다.
- 자원봉사활동을 할 때는 단정한 복장과 겸손한 태도로 임하며 노인에게 성적 충동을 야기하는 행동이나 옷차림은 하지 않는다.
- 기관의 규칙을 지키고 기관의 직원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한 일 은 미리 기관의 담당자와 의논하여 제공한다.
- 자원봉사활동을 계속하지 못할 경우 노인에게 상처를 주지 않도록 관계를 신중하게 종결한다.
장애인에 대한 봉사활동의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장애인들은 저능아가 아니다. 봉사하는 가운데서 우리 생활 장애인에 대한 비하, 무시 등의 언행은 삼가야 한다.
- 정신지체 장애인이 생활연령도 어린 것은 아니다. 정신지체인의 정신연령은 현저히 낮기는 하지만 생활연령은 똑 같다. 그러므로 인간으로서의 대우를 해야 하며 반말의 사용, 지시적인 말 등은 해서는 안 된다.
- 견학의 공간이 아니며 생활하는 주거공간임을 알고 일반가정의 분위기를 저해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실내에서의 흡연, 소음, 신발을 신고 다니는 것, 뛰어다니는 것 등을 주의해야 한다.
- 생활실이나 봉사 공간 내에서 함부로 물건에 손을 대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개인의 소지품이며 그들의 프라이버시임을 알아야 한다.
- 다른 사람의 집을 방문했을 때의 지켜야 할 예의를 지켜야 한다.
- 봉사시간을 정확하게 지킨다.
- 봉사하기 편한 단정한 옷차림이어야 한다.
- 장애인들에게 비아냥이나 욕설, 은어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동행한 봉사자들과 웃고 떠들어서도 안 된다.
6. 결론
봉사활동은 특정계층을 위한 특정계층의 활동이 아닌 일반시민이면 누구든지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이 원할 때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봉사활동은 시민의 권리나 의무를 초월한 인간의 기본적 욕구의 표출이며 자연스런 행위이다. 따라서 일상생활 속에서 이러한 욕구들이 자연스럽게 충족될 수 있어야 하며 더 나아가 봉사활동에의 참여가 지속화되고 체득화되어 이상적인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렇듯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음으로서 자기성장 및 자아실현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 문제의 인식을 통해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신을 자각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고양하고 복지사회 구현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봉사활동이 생활화되기 위해서는 생활의 근거지인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봉사활동의 장이 개발되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어린 시절부터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7. 참고 자료
권중돈, 조학래, 김기수(2008). 자원봉사의 이해와 실천. 서울: 학지사
옥희,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2008.
김종호. 2010. 자원봉사 활동의 체계적 이해. 한국인간관계학보
자원봉사론(2009) 류기형, 남미애, 박경일, 홍봉선, 강대선 공저
배기효 외 공저, 2010, 자원봉사론, 공동체
백대현, ‘장애인복지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2008.
노인복지, 장인협, 최성재 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 가격2,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1.14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