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1.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기본개념
2. 심리적 문제의 형성 과정과 그 증상의 의미
1) 심리적 문제의 형성 과정
2) 증상의 의미
3.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과정과 그 기법
1)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상담과정
① 상담목표
②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③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④ 상담과정
2)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상담기법
[2]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1.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의 기본개념
1) 성격의 구조
① 유기체
② 현상적 장
③ 자기
2) 적응 또는 부적응 행동
2. 인간관
3.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4.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의 상담과정과 그 기법
1)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의 상담과정
2)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의 상담기법
① 진실성
②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
③ 정확한 공감적 이해
[3] 인지상담이론
1.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주요개념
1) 개요
2) 인간관
3) 주요개념
① ABC모델
② 도식
③ 자동적 사고
④ 인지 오류 또는 인지 왜곡
2.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과정과 방법
1)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목표
2)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과정
① 상담진행과정
②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3)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기법
[4]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비교·설명 <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1.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기본개념
2. 심리적 문제의 형성 과정과 그 증상의 의미
1) 심리적 문제의 형성 과정
2) 증상의 의미
3.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과정과 그 기법
1)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상담과정
① 상담목표
②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③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④ 상담과정
2)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상담기법
[2]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1.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의 기본개념
1) 성격의 구조
① 유기체
② 현상적 장
③ 자기
2) 적응 또는 부적응 행동
2. 인간관
3.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4.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의 상담과정과 그 기법
1)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의 상담과정
2)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의 상담기법
① 진실성
②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
③ 정확한 공감적 이해
[3] 인지상담이론
1.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주요개념
1) 개요
2) 인간관
3) 주요개념
① ABC모델
② 도식
③ 자동적 사고
④ 인지 오류 또는 인지 왜곡
2.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과정과 방법
1)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목표
2)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과정
① 상담진행과정
②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3)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기법
[4]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비교·설명 <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행동 상담이론의 주요개념
1) 개요
- 1960년대 Ellis, Beck 등에 의해 창시됨
- 인지치료(CT)는 우울증 치료에서 비롯됨
- 인간의 사고를 가장 강조하였음
- 잘못된 사고가 심리적 문제의 원인이라기 보다는, 심리적 문제를 유지시키는 요인
- 적극적이고 구조화된 단기 상담모형
- 인지재구성치료, 대처기술치료, 문제해결치료
- 자가치료의 원칙
- 상담효과의 지속성에서 우수
2) 인간관
- 합리적이기도 하고, 비합리적이기도 한 존재
- 왜곡된 사고는 어린 시절 부모의 영향이 크나, 성장한 후에는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자신의 인지, 정서,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3) 주요개념
① ABC모델(인지매개가설)
- A (Activating Events) : 선행사건 또는 상황
- B (Beliefs) : 생각 또는 사고
- C (Consequences) : 결과 (감정 또는 행동)
: A ---------> C (X)
A --> B --> C (O)
② 도식 (schema)
- 도식은 세상을 보는 틀(구조)을 제공함
- 도식에는 오류 또는 왜곡이 있음
- 도식은 순기능적일 수도 있고, 역기능적일 수도 있음
- 도식은 어린 시절 경험으로부터 형성됨
- 도식은 경험을 통하여 변화될 수 있음
③ 자동적 사고
- 어떤 상황이나 사건에 접했을 때 즉각적이고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이나 영상
- 부정적 자동적 사고, 긍정적 자동적 사고
- 인지특수성 가설
우울: 상실, 실패, 손상과 관련
불안: 위험이나 위협, 불확실성과 관련
④ 인지 오류 또는 인지 왜곡
- 어떤 사건이나 상황을 왜곡해서 정보처리 하는 것
- 부정적 자동적 사고 속에는 인지오류가 포함됨
a. 흑백논리
b. 과잉일반화
c. 선택적 주의
d. 파국화
e. 독심술적 오류
f. 개인화
g. 강박적 부담
2.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과정과 방법
1)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목표
- 역기능적 도식을 변화시켜 보다 현실적, 합리적, 적응적, 균형 잡힌 사고를 하게 하는 것
-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 즉 지나치게 긍정도 부정도 아닌, 균형 잡힌 사고를 추구
2)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과정
① 상담진행과정
a. 심리적 문제를 구체화하여 상담목표 정함
b. 인지상담의 기본원리 설명
c. 심리적 문제를 일으키는 환경적 자극과 자동적 사고를 탐색, 생각이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식
d. 자동적 사고의 현실적 타당성 검토
e. 대안적 해석을 탐색하고 검토, 합리적 사고로 변화
f. 역기능적 인지도식 탐색
g. 역기능적 인지도식의 내용을 현실성, 합리성, 유용성 측면에서 검토
h. 대안적 인지 내면화
②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 협력적 경험주의
- 언어적 기법 : 소크라테스 식 대화
- 행동적 기법 : 행동실험
3)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기법
[4]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비교·설명 <표>
인간관
원인론
치료적 방법론
정신분석상담
- 무의식에 의해 결정되는 존재
- 개인은 과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 인간 성격의 세 가지 요소: 원초, 자아, 초자아
- 원초아와 자아의 정신적 갈등
- 무의식적 욕구와 충동, 이의 통제 과정에서 필요한 자아의 방어기능 취약->불안에 압도
- 무의식적 욕구/충동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해소: 자유연상법, 꿈의 분석
- 건강한 자아를 만드는 것이 목표. 오랜 시간이 걸림(7~8년 까지도)
인간중심상담
- 과거에서 분리된, 긍정적이고 발전 가능성이 있는 존재
- 스스로 자아실현할 수 있는 잠재력, 경향성을 가진 존재
- 자기-경험 간 불일치: 개인이 자신의 경험 중 일부를 부모 또는 사회의 가치에 맞춰 왜곡/부정하였기 때문
- 내담자 중심요법
- 경험을 그대로 수용할 것을 강조
- 상담자는 태도로서 본보기를 직접 보여주며, 가치판단을 하거나 비판하지 않는다.
-공감으로서 내담자의 의식을 거울처럼 반영
인지상담
- 사람마다 세상을 바라보는 ‘생각의 틀’이 있다
- 인지가 감정 행동을 결정한다(‘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달라진다’는 원리)
- 건강하지 못한 인지로 인해 객관적이 지 않은, 비관적인 사고를 한다
- 인지적 오류: 과잉일반화, 이분법적 사고, 의미의 확대 및 축소 등
- ‘생활사건들 속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오류와 부정적인 사고를 찾아내고 교정하는 데 초점
- 다양한 행동적 실험 권유: 노출기법, 체계적 둔감법 등
Ⅲ. 결론
지금까지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그 결과를 하나의 <표>로 요약 제시하였다.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은 인간의 표면적으로 드러난 문제에 관심을 가지기 보다는, 그러한 문제를 만들어낸 원인에 관심을 두고 그 원인을 찾아서 제거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은 상담자가 허용적이고 비간섭적인 분위기를 형성하여 내담자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동기화 할 수 있는 이론적 지식이나 기법보다 상담자의 태도와 인간적 특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각각의 상담이론은 상담자에게 상담에 대한 효과적인 아이디어와 지침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어떤 상담 기법을 사용하든지 잊지 않아야 하는 것은 이론적 기법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진정한 인간적 만남을 놓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상담은 실제 활동이 강조되는 실천영역이기 때문에 이론과 실제, 학문과 실습을 공정하게 분배, 병행시킬 때 가장 이상적인 접근방법이 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양명숙, 김동일 외 3명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2. 천성문, 박명숙 외 3명 저,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3. 이장호, 상담심리학, 박영사, 2011.
4. 박경애 저, 상담심리학 (상담과 심리치료의 주요 이론과 실제), 공동체, 2011.
5. 백사인, 윤경희 외 3명 저, 상담심리학 입문, 공동체, 2013.
6. 윤가현, 권석만 외 3명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7. 이수연, 권해수 외 3명 저, 성격의 이해와 상담, 학지사, 2013.
8.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마음의 치유와 성장으로 가는 길), 학지사, 2012.
1) 개요
- 1960년대 Ellis, Beck 등에 의해 창시됨
- 인지치료(CT)는 우울증 치료에서 비롯됨
- 인간의 사고를 가장 강조하였음
- 잘못된 사고가 심리적 문제의 원인이라기 보다는, 심리적 문제를 유지시키는 요인
- 적극적이고 구조화된 단기 상담모형
- 인지재구성치료, 대처기술치료, 문제해결치료
- 자가치료의 원칙
- 상담효과의 지속성에서 우수
2) 인간관
- 합리적이기도 하고, 비합리적이기도 한 존재
- 왜곡된 사고는 어린 시절 부모의 영향이 크나, 성장한 후에는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자신의 인지, 정서,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3) 주요개념
① ABC모델(인지매개가설)
- A (Activating Events) : 선행사건 또는 상황
- B (Beliefs) : 생각 또는 사고
- C (Consequences) : 결과 (감정 또는 행동)
: A ---------> C (X)
A --> B --> C (O)
② 도식 (schema)
- 도식은 세상을 보는 틀(구조)을 제공함
- 도식에는 오류 또는 왜곡이 있음
- 도식은 순기능적일 수도 있고, 역기능적일 수도 있음
- 도식은 어린 시절 경험으로부터 형성됨
- 도식은 경험을 통하여 변화될 수 있음
③ 자동적 사고
- 어떤 상황이나 사건에 접했을 때 즉각적이고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이나 영상
- 부정적 자동적 사고, 긍정적 자동적 사고
- 인지특수성 가설
우울: 상실, 실패, 손상과 관련
불안: 위험이나 위협, 불확실성과 관련
④ 인지 오류 또는 인지 왜곡
- 어떤 사건이나 상황을 왜곡해서 정보처리 하는 것
- 부정적 자동적 사고 속에는 인지오류가 포함됨
a. 흑백논리
b. 과잉일반화
c. 선택적 주의
d. 파국화
e. 독심술적 오류
f. 개인화
g. 강박적 부담
2.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과정과 방법
1)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목표
- 역기능적 도식을 변화시켜 보다 현실적, 합리적, 적응적, 균형 잡힌 사고를 하게 하는 것
-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 즉 지나치게 긍정도 부정도 아닌, 균형 잡힌 사고를 추구
2)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과정
① 상담진행과정
a. 심리적 문제를 구체화하여 상담목표 정함
b. 인지상담의 기본원리 설명
c. 심리적 문제를 일으키는 환경적 자극과 자동적 사고를 탐색, 생각이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식
d. 자동적 사고의 현실적 타당성 검토
e. 대안적 해석을 탐색하고 검토, 합리적 사고로 변화
f. 역기능적 인지도식 탐색
g. 역기능적 인지도식의 내용을 현실성, 합리성, 유용성 측면에서 검토
h. 대안적 인지 내면화
②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 협력적 경험주의
- 언어적 기법 : 소크라테스 식 대화
- 행동적 기법 : 행동실험
3) 인지행동 상담이론의 상담기법
[4]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비교·설명 <표>
인간관
원인론
치료적 방법론
정신분석상담
- 무의식에 의해 결정되는 존재
- 개인은 과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 인간 성격의 세 가지 요소: 원초, 자아, 초자아
- 원초아와 자아의 정신적 갈등
- 무의식적 욕구와 충동, 이의 통제 과정에서 필요한 자아의 방어기능 취약->불안에 압도
- 무의식적 욕구/충동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해소: 자유연상법, 꿈의 분석
- 건강한 자아를 만드는 것이 목표. 오랜 시간이 걸림(7~8년 까지도)
인간중심상담
- 과거에서 분리된, 긍정적이고 발전 가능성이 있는 존재
- 스스로 자아실현할 수 있는 잠재력, 경향성을 가진 존재
- 자기-경험 간 불일치: 개인이 자신의 경험 중 일부를 부모 또는 사회의 가치에 맞춰 왜곡/부정하였기 때문
- 내담자 중심요법
- 경험을 그대로 수용할 것을 강조
- 상담자는 태도로서 본보기를 직접 보여주며, 가치판단을 하거나 비판하지 않는다.
-공감으로서 내담자의 의식을 거울처럼 반영
인지상담
- 사람마다 세상을 바라보는 ‘생각의 틀’이 있다
- 인지가 감정 행동을 결정한다(‘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달라진다’는 원리)
- 건강하지 못한 인지로 인해 객관적이 지 않은, 비관적인 사고를 한다
- 인지적 오류: 과잉일반화, 이분법적 사고, 의미의 확대 및 축소 등
- ‘생활사건들 속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오류와 부정적인 사고를 찾아내고 교정하는 데 초점
- 다양한 행동적 실험 권유: 노출기법, 체계적 둔감법 등
Ⅲ. 결론
지금까지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그 결과를 하나의 <표>로 요약 제시하였다.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은 인간의 표면적으로 드러난 문제에 관심을 가지기 보다는, 그러한 문제를 만들어낸 원인에 관심을 두고 그 원인을 찾아서 제거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은 상담자가 허용적이고 비간섭적인 분위기를 형성하여 내담자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동기화 할 수 있는 이론적 지식이나 기법보다 상담자의 태도와 인간적 특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각각의 상담이론은 상담자에게 상담에 대한 효과적인 아이디어와 지침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어떤 상담 기법을 사용하든지 잊지 않아야 하는 것은 이론적 기법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진정한 인간적 만남을 놓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상담은 실제 활동이 강조되는 실천영역이기 때문에 이론과 실제, 학문과 실습을 공정하게 분배, 병행시킬 때 가장 이상적인 접근방법이 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양명숙, 김동일 외 3명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2. 천성문, 박명숙 외 3명 저,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3. 이장호, 상담심리학, 박영사, 2011.
4. 박경애 저, 상담심리학 (상담과 심리치료의 주요 이론과 실제), 공동체, 2011.
5. 백사인, 윤경희 외 3명 저, 상담심리학 입문, 공동체, 2013.
6. 윤가현, 권석만 외 3명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7. 이수연, 권해수 외 3명 저, 성격의 이해와 상담, 학지사, 2013.
8.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마음의 치유와 성장으로 가는 길), 학지사, 2012.
키워드
추천자료
[상담심리학 2015] 정신분석적상담이론, 인간중심적상담이론, 게슈탈트상담이론 비교설명하고...
상담심리학 공통4]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의 비교분...
상담심리학2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 결...
[상담심리학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 ...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그...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그...
[상담심리학 4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그 결...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설명 핵심적 ...
상담심리학_방통대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