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무대조명
(1) 무대조명의 개념
(2) 무대조명의 특성
1) 조명의 강도
2) 조명의 분배
3) 조명의 방향성
(3) 무대조명의 방향에 따른 연출 효과
1) Back light의 효과
2) Side light의 효과
3) Top light의 효과
4) Stage spot light의 효과
5) Foot light의 효과
6) Strobe의 효과
2 무대조명의 색
(1) 색의 정의
(2) 무대조명과 색채
참고자료
(1) 무대조명의 개념
(2) 무대조명의 특성
1) 조명의 강도
2) 조명의 분배
3) 조명의 방향성
(3) 무대조명의 방향에 따른 연출 효과
1) Back light의 효과
2) Side light의 효과
3) Top light의 효과
4) Stage spot light의 효과
5) Foot light의 효과
6) Strobe의 효과
2 무대조명의 색
(1) 색의 정의
(2) 무대조명과 색채
참고자료
본문내용
리는 색조의 Pink가 적다. 백열 램프를 사용한 조명기구로 그대로 사람에게 비추면 동양인의 피부색은 그대로의 상태라도 아름답게 보이지만 서양인의 피부를 아름답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Salmon Pink의 Color Filter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Blue에 대해서는 #72, #73, #78 등, Green의 성분이 들어가 있는 Blue 종류가 많다. 해외 제품의 Blue는 Steel Blue라고 해서 Cyan의 농도를 바꾼 Blue가 많지만 Poly colour의 Blue는 Yellow의 성분이 들어가 있는 것처럼 느낀다.
- LEE FILTER (영국)
LEE FILTER가 무대 조명으로 사용되게 된 것은 약 25년 정도 전의 일이다. 이 Color Filter는 국내에서는 영화 조명용 Color Filter로서 무대보다도 먼저 사용되었다. LEE FILTER의 특징은 열에 강하다는 것이다.
무대 조명에서는 Fresnel lens light나 Plano-convex lens light 뿐만이 아니라, PAR light등과 같이 보다 높은 열을 발하는 조명 기구가 늘고 있다. 이러한 조명 기구를 사용하면 Color Filter의 색에 따라서는 1회의 공연만으로 색이 변색해서 Color Filter의 형태가 변형해 버리는 일도 있다.
LEE FILTER는 종래의 Color Filter보다도 열에 강하고 변색, 변형이 상당히 적은 Color Filter로서 무대 조명에서 채택되고 있다. 영화 조명용의 Color Filter로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필름이나 비디오를 통했을 때의 색의 관점과 무대 등에서 인간의 눈으로 직접 봤을 때의 관점과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Color Filter의 견본에는 각각의 색의 투과율과 파장이 게재되어 있다.
색의 수는 상당히 많고 Pink 계열의 색이더라도 Rose나 Salmon 등을 합치면 10가지 색 이상이나 있다. 또, #071이라는 색이 있지만 이 색은 Poly colour의 #71과 많이 비슷하다. 이것은 Poly colour가 열에 약하고 특히 #71의 Dark blue는 장시간 점등하고 있는 일이 많아 1회 공연만으로 변색되는 일도 있다.
- ROSCO (미국)
ROSCO 이전에는 재질이 다른 많은 종류의 Color Filter를 만들었다.
콘서트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것이 ROSCO LENE이라는 Color Filter이고 이 Color Filter는 Cutter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를 수 있으며 또 색의 수는 적지만 사용하기 쉬운 원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열에 약하고 바로 변형해 버리는 것이 결점으로 원재료 등의 관계에서 생산되지 않게 되었다. 현재는 ROSCO LUX라는 명칭으로 새로운 Color Filter가 출시되고 있다.
ROSCO LUX는 색의 수가 많고 열에 강하다는 등 LEE FILTER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GAMCOLOR (미국)
이 Color Filter는 비교적 새로운 Color Filter이다. 후발(後發) 제품을 위해 지금까지 없었던 색, 예를 들면 하나의 색이더라도 엷은 색의 톤의 종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Color Filter의 색의 종류는 이전과 비교하면 상당히 많아지고 있다. 이것은 조명 기구가 밝아지고 색의 미묘한 차이를 내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제품의 엷은 색의 톤도 그러한 경향에 맞춘 것이다.
- 색온도 변환 Filter, Effect Filter
일반적인 Color Filter는 빛의 색을 넣기 위해서 사용하지만 색온도 변환 Filter나 Effect Filter는 빛의 성분을 바꾸기 위해 사용한다.
색온도 변환 Filter는 색온도가 3200°인 색을 기준으로 해서 그 이상 색온도가 높은 빛은 색온도를 낮추고 색온도가 낮은 빛은 색온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컬러필터의 종류
Filter 명칭
특 성
제 조 국
Poly colour
젤라틴이라고도 불림
60가지의 색상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만들어짐
Pink와 Blue의 색상이 타 필터지와 다름
일본
LEE Filter
가장 큰 특징은 열에 강함
변색, 변형이 적음
색의 수가 상당히 많음
영국
ROSCO
ROSCO LUX라고 출시됨
색의 수가 많고, 열에 강함
미국
GAMCOLOR
엷은 색의 톤 종류가 다양함
미국
색온도를 바꾸는 Filter를 ‘Color Temperature Correction’이라고 하고 색온도를 올리는 Filter를 CTB(Conversion Temperature Blue), 색온도를 내리는 Filter를 CTO(Conversion Temperature Orange)라고 한다. Filter를 보면 CTB는 엷은 Blue로 CTO는 엷은 Amber의 Filter이다. 콘서트에서는 이 Filter를 본래의 목적의 색온도 변환을 위해 사용하는 일도 있지만 엷은 Blue나 Amber의 Color Filter로서 사용하는 일도 있다.
Effect Filter는 방전등을 사용할 때의 파장의 조정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HMI의 램프의 기구를 사용하면 그 빛은 색온도가 높고 파장의 성분으로서 Green 부분이 많고 Red, Pink의 성분이 적은 빛이 된다. 그 빛을 그대로 인물에게 비추면 Green 성분이 들어간 빛이 되어 그다지 아름답지 않다. 그래서 마이너스 Green의 Filter를 넣는 것으로 파장을 조정한다. 이것은 인간의 눈에서 보는 것보다도 영상을 통해서 본 경우에 확실히 알 수 있다.
참고자료
고희선, 『무대조명』, 교보문고, 2000
김덕태 외, 『색채학』, 일진사, 2001
김용숙 외, 『색채의 이해』, 일진사, 2007
김유순 외, 『색채와 색채진단』, 도서출판 예림, 2004
괴테, 장회창 옮김, 『색채론』, 민음사, 2003
권영걸 외 26인, 『이제는 색이다!』, 도서출판 국제, 2002
문은배, 『색채의 이해와 활용』, 안그라픽스, 2005
이경성, 『미술이란 무엇인가』, 일진사, 1975
이성호, 『무대조명 Ⅱ』, 교보문고, 2005
에바 헬러, 이영희 옮김, 『색의 유혹』, 예담출판사, 2002
존 리지 외, 김현표 옮김, 『색채혼합』, 미진사, 2005
Blue에 대해서는 #72, #73, #78 등, Green의 성분이 들어가 있는 Blue 종류가 많다. 해외 제품의 Blue는 Steel Blue라고 해서 Cyan의 농도를 바꾼 Blue가 많지만 Poly colour의 Blue는 Yellow의 성분이 들어가 있는 것처럼 느낀다.
- LEE FILTER (영국)
LEE FILTER가 무대 조명으로 사용되게 된 것은 약 25년 정도 전의 일이다. 이 Color Filter는 국내에서는 영화 조명용 Color Filter로서 무대보다도 먼저 사용되었다. LEE FILTER의 특징은 열에 강하다는 것이다.
무대 조명에서는 Fresnel lens light나 Plano-convex lens light 뿐만이 아니라, PAR light등과 같이 보다 높은 열을 발하는 조명 기구가 늘고 있다. 이러한 조명 기구를 사용하면 Color Filter의 색에 따라서는 1회의 공연만으로 색이 변색해서 Color Filter의 형태가 변형해 버리는 일도 있다.
LEE FILTER는 종래의 Color Filter보다도 열에 강하고 변색, 변형이 상당히 적은 Color Filter로서 무대 조명에서 채택되고 있다. 영화 조명용의 Color Filter로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필름이나 비디오를 통했을 때의 색의 관점과 무대 등에서 인간의 눈으로 직접 봤을 때의 관점과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Color Filter의 견본에는 각각의 색의 투과율과 파장이 게재되어 있다.
색의 수는 상당히 많고 Pink 계열의 색이더라도 Rose나 Salmon 등을 합치면 10가지 색 이상이나 있다. 또, #071이라는 색이 있지만 이 색은 Poly colour의 #71과 많이 비슷하다. 이것은 Poly colour가 열에 약하고 특히 #71의 Dark blue는 장시간 점등하고 있는 일이 많아 1회 공연만으로 변색되는 일도 있다.
- ROSCO (미국)
ROSCO 이전에는 재질이 다른 많은 종류의 Color Filter를 만들었다.
콘서트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것이 ROSCO LENE이라는 Color Filter이고 이 Color Filter는 Cutter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를 수 있으며 또 색의 수는 적지만 사용하기 쉬운 원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열에 약하고 바로 변형해 버리는 것이 결점으로 원재료 등의 관계에서 생산되지 않게 되었다. 현재는 ROSCO LUX라는 명칭으로 새로운 Color Filter가 출시되고 있다.
ROSCO LUX는 색의 수가 많고 열에 강하다는 등 LEE FILTER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GAMCOLOR (미국)
이 Color Filter는 비교적 새로운 Color Filter이다. 후발(後發) 제품을 위해 지금까지 없었던 색, 예를 들면 하나의 색이더라도 엷은 색의 톤의 종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Color Filter의 색의 종류는 이전과 비교하면 상당히 많아지고 있다. 이것은 조명 기구가 밝아지고 색의 미묘한 차이를 내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제품의 엷은 색의 톤도 그러한 경향에 맞춘 것이다.
- 색온도 변환 Filter, Effect Filter
일반적인 Color Filter는 빛의 색을 넣기 위해서 사용하지만 색온도 변환 Filter나 Effect Filter는 빛의 성분을 바꾸기 위해 사용한다.
색온도 변환 Filter는 색온도가 3200°인 색을 기준으로 해서 그 이상 색온도가 높은 빛은 색온도를 낮추고 색온도가 낮은 빛은 색온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컬러필터의 종류
Filter 명칭
특 성
제 조 국
Poly colour
젤라틴이라고도 불림
60가지의 색상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만들어짐
Pink와 Blue의 색상이 타 필터지와 다름
일본
LEE Filter
가장 큰 특징은 열에 강함
변색, 변형이 적음
색의 수가 상당히 많음
영국
ROSCO
ROSCO LUX라고 출시됨
색의 수가 많고, 열에 강함
미국
GAMCOLOR
엷은 색의 톤 종류가 다양함
미국
색온도를 바꾸는 Filter를 ‘Color Temperature Correction’이라고 하고 색온도를 올리는 Filter를 CTB(Conversion Temperature Blue), 색온도를 내리는 Filter를 CTO(Conversion Temperature Orange)라고 한다. Filter를 보면 CTB는 엷은 Blue로 CTO는 엷은 Amber의 Filter이다. 콘서트에서는 이 Filter를 본래의 목적의 색온도 변환을 위해 사용하는 일도 있지만 엷은 Blue나 Amber의 Color Filter로서 사용하는 일도 있다.
Effect Filter는 방전등을 사용할 때의 파장의 조정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HMI의 램프의 기구를 사용하면 그 빛은 색온도가 높고 파장의 성분으로서 Green 부분이 많고 Red, Pink의 성분이 적은 빛이 된다. 그 빛을 그대로 인물에게 비추면 Green 성분이 들어간 빛이 되어 그다지 아름답지 않다. 그래서 마이너스 Green의 Filter를 넣는 것으로 파장을 조정한다. 이것은 인간의 눈에서 보는 것보다도 영상을 통해서 본 경우에 확실히 알 수 있다.
참고자료
고희선, 『무대조명』, 교보문고, 2000
김덕태 외, 『색채학』, 일진사, 2001
김용숙 외, 『색채의 이해』, 일진사, 2007
김유순 외, 『색채와 색채진단』, 도서출판 예림, 2004
괴테, 장회창 옮김, 『색채론』, 민음사, 2003
권영걸 외 26인, 『이제는 색이다!』, 도서출판 국제, 2002
문은배, 『색채의 이해와 활용』, 안그라픽스, 2005
이경성, 『미술이란 무엇인가』, 일진사, 1975
이성호, 『무대조명 Ⅱ』, 교보문고, 2005
에바 헬러, 이영희 옮김, 『색의 유혹』, 예담출판사, 2002
존 리지 외, 김현표 옮김, 『색채혼합』, 미진사, 2005
추천자료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어]디스플레이의 정의, 디스플레이의 필요성, 디스플레이의 원칙, 디스플레이의 색채 연출, 디스플레이의 방법, 디스플레이어의 정의, 디스플레이어의 업무과정, 디스플레이어의 적성과 자격 및 전망
색채 COLOR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의 개요와 모션그래픽 이용한 사례 분석
하이테크
건축 조명기구
[VMD] VMD(Visual Merchandising)의 배경과 목적, 개념과 필요성 ; VMD의 구성요소와 역할분석
색채의 배색과 조화, 색채의 효과, 색채심리 분석
[업스타일] 업스타일(Up Style/올림머리)의 종류와 기법 - 업스타일 용어, 디자인요소, 원리, 기법
상업공간 디자인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