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광고정보처리과정 개관
2. 광고정보처리 모형
3. 소비자 정보처리과정
1) 노출(Exposure)
2) 감지(Sensation)
3) 주의(Attention)
4) 이해(Comprehension)
2. 광고정보처리 모형
3. 소비자 정보처리과정
1) 노출(Exposure)
2) 감지(Sensation)
3) 주의(Attention)
4) 이해(Comprehension)
본문내용
의식하지 않게 되는 현상
광고의 실행을 다르게 집행
광고의 차별화
-감정적 상태(Affective status)
기분이 좋을 때 → 긍정적 정보에 선택적 주의
기분이 나쁠 때 → 부정적 정보에 선택적 주의
(3) 주의에 대한 자극적 요인의 영향
① 주의를 기울이게 자극물을 만드는 방법
-개인과의 관련성을 높임
-즐거움 제공
-특이하게 진기한 자극(novel stimuli), 호기심
예 : 티저 광고
-정보처리가 쉽게(크기, 컬러, 대조, 강도)
4) 이해(Comprehension)
- 유입된 정보의 내용을 조직화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것
(1) 이해의 개념
① 이해 = 지각(perception)
② 지각 = 개인이 자극물의 요소들을 통합하여 조직화하고 나름대로 해석(interpretation)하는 과정
(2) 지각적 조직화(Perceptual organization)
-미인, 훈남… → 눈, 코, 입, 귀, 피부 등의 여러 부분적 요소들을 순간적으로 하나의 전체로 지각
-제품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그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결정
-지각적 조직화 = 정보처리 대상의 여러 요소들을 통합하는 매커니즘
-기본원리 = 통합(intergration)
-게스탈트 심리학
-조직화의 원리
단순화(simplicity)
완결(closure)
집단화(grouping)
근접성(proximity)
유사성(similarity)
형상과 배경(figure & ground)
(3) 지각적 해석
① 지각적 범주화(perceptual categorization)
-지각적 해석 = 지각적 범주화, 지각적 추론의 원리 적용
-지각적 범주화(perceptual categorization)
자극에 노출되면 그 자극을 기억 속에 가지고 있던 기존 스키마(schema)와 관련 지어 자신의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
-스키마
어떤 대상의 스키마는 그 대상에 대한 지식의 단위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개별 정보를 응집력을 갖는(cohesive) 조직단위로 통합시키는 가설적 인지구조(cognitive structure)
응집 : 관련 정보끼리 연결된다는 의미
-스키마는 계층적 특성 보유
마케터는 자신이 원하는 스키마 형성 노력
-전형성(Prototypicality)
-지각적 재범주화(Perceptual recategorization)
② 지각적 추론(Perceptual inference)
-한 대상을 평가할 때 직접적인 평가를 하지 않고 다른 것들로부터 추리하는 것
가격-품질 연상(price-quality association)
광고를 많이 하는 브랜드의 품질을 높게 추론
품질 보증기간
-추론적 신념(Inferential belidfs)
가격, 광고, 보증기간, 패키지, 상표명, 제조회사, 판매점포, 제조국가, 시장점유율 등
(4) 이해에 대한 영향 요인
① 개인적 요인의 영향
-동기
-지식
-기대
② 자극적 요인의 영향
- 감각적 요소
- 언어적 표현
- 순서효과(order effect)
최근 효과(recency effect)
초기 효과(primary effect)
- 정황(context)
광고의 실행을 다르게 집행
광고의 차별화
-감정적 상태(Affective status)
기분이 좋을 때 → 긍정적 정보에 선택적 주의
기분이 나쁠 때 → 부정적 정보에 선택적 주의
(3) 주의에 대한 자극적 요인의 영향
① 주의를 기울이게 자극물을 만드는 방법
-개인과의 관련성을 높임
-즐거움 제공
-특이하게 진기한 자극(novel stimuli), 호기심
예 : 티저 광고
-정보처리가 쉽게(크기, 컬러, 대조, 강도)
4) 이해(Comprehension)
- 유입된 정보의 내용을 조직화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것
(1) 이해의 개념
① 이해 = 지각(perception)
② 지각 = 개인이 자극물의 요소들을 통합하여 조직화하고 나름대로 해석(interpretation)하는 과정
(2) 지각적 조직화(Perceptual organization)
-미인, 훈남… → 눈, 코, 입, 귀, 피부 등의 여러 부분적 요소들을 순간적으로 하나의 전체로 지각
-제품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그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결정
-지각적 조직화 = 정보처리 대상의 여러 요소들을 통합하는 매커니즘
-기본원리 = 통합(intergration)
-게스탈트 심리학
-조직화의 원리
단순화(simplicity)
완결(closure)
집단화(grouping)
근접성(proximity)
유사성(similarity)
형상과 배경(figure & ground)
(3) 지각적 해석
① 지각적 범주화(perceptual categorization)
-지각적 해석 = 지각적 범주화, 지각적 추론의 원리 적용
-지각적 범주화(perceptual categorization)
자극에 노출되면 그 자극을 기억 속에 가지고 있던 기존 스키마(schema)와 관련 지어 자신의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
-스키마
어떤 대상의 스키마는 그 대상에 대한 지식의 단위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개별 정보를 응집력을 갖는(cohesive) 조직단위로 통합시키는 가설적 인지구조(cognitive structure)
응집 : 관련 정보끼리 연결된다는 의미
-스키마는 계층적 특성 보유
마케터는 자신이 원하는 스키마 형성 노력
-전형성(Prototypicality)
-지각적 재범주화(Perceptual recategorization)
② 지각적 추론(Perceptual inference)
-한 대상을 평가할 때 직접적인 평가를 하지 않고 다른 것들로부터 추리하는 것
가격-품질 연상(price-quality association)
광고를 많이 하는 브랜드의 품질을 높게 추론
품질 보증기간
-추론적 신념(Inferential belidfs)
가격, 광고, 보증기간, 패키지, 상표명, 제조회사, 판매점포, 제조국가, 시장점유율 등
(4) 이해에 대한 영향 요인
① 개인적 요인의 영향
-동기
-지식
-기대
② 자극적 요인의 영향
- 감각적 요소
- 언어적 표현
- 순서효과(order effect)
최근 효과(recency effect)
초기 효과(primary effect)
- 정황(context)
키워드
추천자료
[브랜드자산][브랜드확장][브랜드][브랜드전략][브랜드파워]브랜드자산(브랜드자산의 정의, 특징, 중요성과 브랜드자산 구축) 및 브랜드확장(브랜드확장의 정의, 구성, 장단점과 브랜드확장의 전략 방향) 분석
[구매결정][구매][조직적 구매][광고][소비자][인터넷][이미지][결정][재구매][신규구매][관여도]구매결정과 조직적 구매, 구매결정과 광고, 구매결정과 소비자, 구매결정과 인터넷, 구매결정과 이미지 분석
광고학 ) ( )의 소비자정보처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광고분석
문제답들)소비의 ‘정보처리과정’을 기술하고, 각 단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외
[광고자막][광고][자막][광고자막 특징][광고자막 유형][광고자막 효과][광고자막 단가]광고자막의 특징, 광고자막의 유형, 광고자막의 효과, 광고자막의 단가 분석(광고자막, 광고, 자막, 광고자막 특징)
[광고기획제작 공통] 5. 광고의 효과적인 크리에이티브를 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들 설명 [크리에이티브 요소]
[광고][크리에이티브][패러디][마케팅][광고전략][소비자행동][패러디기법]광고와 크리에이티브 및 패러디 기법(광고와 소비자행동, 광고전략개발, 패러디 기법, 광고크리에이티브에서 패러디 기법의 효과와 문제점)
생리대의 경쟁사 분석 및 자사 마케팅전략
소비자행동분석 ) 최근 본 TV광고 혹은 신문광고들 중 특별히 기억나는 광고를 하나 선정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