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진정수면 및 항불안 약물
2. 항우울약물
3. Histamine과 항histamine약물
4. 항염증 및 해열진통약물
5. 천식치료약물
6. 항고혈압 약물
7. 소화성궤양 치료약물
정리자료입니다.
2. 항우울약물
3. Histamine과 항histamine약물
4. 항염증 및 해열진통약물
5. 천식치료약물
6. 항고혈압 약물
7. 소화성궤양 치료약물
정리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문에 격통을 일으키고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원인으로는 위장점막에 대한 공격인자와 방어인자와의 평형관계에 어떤 이유(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 외상, 약물 등)에 의하여 그 균형이 깨어져 궤양은 발생한다. 최근에 와서 Helicobacter pylori의 감염이 소화성 궤양 병인론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소화성 궤양은 안정을 취하면서 각종 항궤양약의 투여로 치유한다. 소화성 궤양의 치료에는 오래 전부터 제산제가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 위산의 분비 기전이 밝혀짐으로써 anticholinergic drugs와 H2 수용체 길항제들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H+-K+ ATPase억제약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 외에 점막의 방어기전을 증가시키는 세포보호약물과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요법도 활발히 시도 되고 있다. 한편, 소화성궤양은 환자의 연령에 따라 발생부위 및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약물요법도 연령에 맞게 실시하고 있다. 어린이의 경우 위액분비 항진경향이 있기 때문에 주로 공격인자의 억제약이 사용되고 고령자의 경우에는 위세포의 위축을 동반하는 저산증의 경향이 나타내기 때문에 주로 방어인자의 부활약이 사용되고 있다.
소화성궤양은 재발, 재연이 높게 나타나고 만성질환이 된다.
1) 공격인자 억제약
① 제산약 - 위강내에 분비된 염산을 중화하고 나아가 펩신을 불활성화하는 목적으로 많은 종류의 제산제가 단독 또는 병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산약에 의한 중화는 pH4-5.5가 충분하고 작용시간이 긴 약물은 임상효과가 높다. 위 내용물이 알칼리쪽으로 가면 유문전정부로부터 소화관 호르몬인 gastrin이 분비되고 그 gastrin이 위액 분비세포를 자극하여 2차적으로 위액이 분비되어 궤양의 치료에 좋지 않게 된다. 제산약은 작용기전에 따라 흡수성 제산약과 국소성 제산약으로 분류됨. 흡수성 제산약인 탄산수소나트륨, 구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등 나트륨 염은 위산을 중화한 후 흡수되어 혈액의 alkali화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양이 과하면 alkalosis가 된다. 국소성 제산약인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은 소화관으로부터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산-염기평형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산약으로 궤양치료시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a. 흡착후의 alkalosis(Na염) b. 제산약 작용에 의한 반동적 위액분비(탄산수소나트륨) c. 제산약이 위내에서 gel상을 일으켜 일어나는 흡착작용, 피복보호의 결과로 나타나는 변비(알루미늄화합물, K염) d. 탄산가스에 의한 구풍작용(탄산염) e. 완하작용(Mg화합물)이 있다. 그러므로 변비작용을 나타내는 알루미늄 화합물에 대해서는 완하작용을 갖고 있는 Mg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ㄱ. 탄산수소나트륨 - 과잉으로 사용하면 alkalosis를 일으킨다. 2차적인 위산분비가 항진되는 결점이 있다. 탄산가스는 위부의 팽만감, 궤양천공의 원인으로도 됨.
ㄴ.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 - 제산제로는 별로 사용하지 않음. 골다공증 보조요법으로 사용
ㄷ. 수산화마그네슘 - Mg의 전신흡수는 적으나 심한 신부전증이 있는 경우 혈중 Mg²+농도가 높아져 독작용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ㄹ. 수산화알루미늄 - 위산을 천천히 그러나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며 궤양부위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낸다. 변비증상 나타냄.
② 위액분비억제약
a. 항콜린성 약물 - 항콜린약을 투여하면 위산분비가 억제되고 공격인자를 경감시킬 수 있다. 제3급 아민계 화합물에는 pirenzepine, 제4급 암모늄계 화합물에는 scopolamine 등이 있다.
b. 히스타민성 H2-수용체 길항제 - 히스타민 수용체에는 H1 및 H2 형의 2종류가 있다. 평활근에는 H1형이, 벽세포, 자궁, 심장에는 H2형이 존재한다. 최근 히스타민 자극에 따라 위액분비를 강력히 억제하는 일련의 약물이 개발되어 H2-수용체 길항약으로 칭하고 있다. 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 등이 있다.
③ 항가스트린약 - 가스트린을 억제하는 약물이 궤양치료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제로는 Secretin 등이 있다.
④ 수소펌프저해제 - 위장의 벽세포에서 H+, K+-ATPase는 위산을 분비하는 효소로서 H+펌프이다. 현재 H+ pump 억제제로서 omeprazole만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omeprazole은 동물실험에서 위산분비세포의 증식이 일어나며 종양이 발생하므로 8주 이상은 사용하지 않는다. 역류성 식도염에 사용한다. Lansoprazole, Pantoprazole, Esomeprazole 등이 있다.
⑤ 점막보호제 - 점막보호제는 궤양부위에 보호층을 만들어 위산 및 펩신으로부터의 자극완화 및 점액분비를 촉진시켜 궤양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제제에는 Sulfated sucrose와 aluminum hydroxides로 형성된 Sucralfate와 Bismuth chelate 등이 있다. Sucralfate는 투여 전후 30분 이내에는 제산제를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Bismuth chelate는 위점막의 상피에 있는 Helicobacter pylori의 집락을 분리시켜 세균을 죽인다.
⑥ 프로스타글란딘 관련약물 - 위점막에서 주로 합성되는 PGE2 와 I2는 위산 분비 억제 점액분비를 촉진한다. Misoprostol, Ornoprostil, Rebamipide 등이 있으며 Rebamipide는 위점막 PGE2 함량을 증가시킨다.
⑦ 항생제 - Amoxycillin, metronidazole, tetracycline, erythromycin, furazolidine 등이다. Helicobacter pylori균을 박멸 혹은 재발방지를 위해 bismuth제와 병용투여한다.
2) 중추신경억제약
소화성 궤양의 발생원인 중 하나가 각종 스트레스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환자의 치료에 관하여서는 정신적 안정을 우선할 필요가 있다. 이런 목적으로는 chlordiazepoxide, diazepam, oxazepam, imipramine과 같은 약물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화성 궤양은 안정을 취하면서 각종 항궤양약의 투여로 치유한다. 소화성 궤양의 치료에는 오래 전부터 제산제가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 위산의 분비 기전이 밝혀짐으로써 anticholinergic drugs와 H2 수용체 길항제들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H+-K+ ATPase억제약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 외에 점막의 방어기전을 증가시키는 세포보호약물과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요법도 활발히 시도 되고 있다. 한편, 소화성궤양은 환자의 연령에 따라 발생부위 및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약물요법도 연령에 맞게 실시하고 있다. 어린이의 경우 위액분비 항진경향이 있기 때문에 주로 공격인자의 억제약이 사용되고 고령자의 경우에는 위세포의 위축을 동반하는 저산증의 경향이 나타내기 때문에 주로 방어인자의 부활약이 사용되고 있다.
소화성궤양은 재발, 재연이 높게 나타나고 만성질환이 된다.
1) 공격인자 억제약
① 제산약 - 위강내에 분비된 염산을 중화하고 나아가 펩신을 불활성화하는 목적으로 많은 종류의 제산제가 단독 또는 병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산약에 의한 중화는 pH4-5.5가 충분하고 작용시간이 긴 약물은 임상효과가 높다. 위 내용물이 알칼리쪽으로 가면 유문전정부로부터 소화관 호르몬인 gastrin이 분비되고 그 gastrin이 위액 분비세포를 자극하여 2차적으로 위액이 분비되어 궤양의 치료에 좋지 않게 된다. 제산약은 작용기전에 따라 흡수성 제산약과 국소성 제산약으로 분류됨. 흡수성 제산약인 탄산수소나트륨, 구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등 나트륨 염은 위산을 중화한 후 흡수되어 혈액의 alkali화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양이 과하면 alkalosis가 된다. 국소성 제산약인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은 소화관으로부터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산-염기평형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산약으로 궤양치료시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a. 흡착후의 alkalosis(Na염) b. 제산약 작용에 의한 반동적 위액분비(탄산수소나트륨) c. 제산약이 위내에서 gel상을 일으켜 일어나는 흡착작용, 피복보호의 결과로 나타나는 변비(알루미늄화합물, K염) d. 탄산가스에 의한 구풍작용(탄산염) e. 완하작용(Mg화합물)이 있다. 그러므로 변비작용을 나타내는 알루미늄 화합물에 대해서는 완하작용을 갖고 있는 Mg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ㄱ. 탄산수소나트륨 - 과잉으로 사용하면 alkalosis를 일으킨다. 2차적인 위산분비가 항진되는 결점이 있다. 탄산가스는 위부의 팽만감, 궤양천공의 원인으로도 됨.
ㄴ.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 - 제산제로는 별로 사용하지 않음. 골다공증 보조요법으로 사용
ㄷ. 수산화마그네슘 - Mg의 전신흡수는 적으나 심한 신부전증이 있는 경우 혈중 Mg²+농도가 높아져 독작용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ㄹ. 수산화알루미늄 - 위산을 천천히 그러나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며 궤양부위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낸다. 변비증상 나타냄.
② 위액분비억제약
a. 항콜린성 약물 - 항콜린약을 투여하면 위산분비가 억제되고 공격인자를 경감시킬 수 있다. 제3급 아민계 화합물에는 pirenzepine, 제4급 암모늄계 화합물에는 scopolamine 등이 있다.
b. 히스타민성 H2-수용체 길항제 - 히스타민 수용체에는 H1 및 H2 형의 2종류가 있다. 평활근에는 H1형이, 벽세포, 자궁, 심장에는 H2형이 존재한다. 최근 히스타민 자극에 따라 위액분비를 강력히 억제하는 일련의 약물이 개발되어 H2-수용체 길항약으로 칭하고 있다. 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 등이 있다.
③ 항가스트린약 - 가스트린을 억제하는 약물이 궤양치료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제로는 Secretin 등이 있다.
④ 수소펌프저해제 - 위장의 벽세포에서 H+, K+-ATPase는 위산을 분비하는 효소로서 H+펌프이다. 현재 H+ pump 억제제로서 omeprazole만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omeprazole은 동물실험에서 위산분비세포의 증식이 일어나며 종양이 발생하므로 8주 이상은 사용하지 않는다. 역류성 식도염에 사용한다. Lansoprazole, Pantoprazole, Esomeprazole 등이 있다.
⑤ 점막보호제 - 점막보호제는 궤양부위에 보호층을 만들어 위산 및 펩신으로부터의 자극완화 및 점액분비를 촉진시켜 궤양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제제에는 Sulfated sucrose와 aluminum hydroxides로 형성된 Sucralfate와 Bismuth chelate 등이 있다. Sucralfate는 투여 전후 30분 이내에는 제산제를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Bismuth chelate는 위점막의 상피에 있는 Helicobacter pylori의 집락을 분리시켜 세균을 죽인다.
⑥ 프로스타글란딘 관련약물 - 위점막에서 주로 합성되는 PGE2 와 I2는 위산 분비 억제 점액분비를 촉진한다. Misoprostol, Ornoprostil, Rebamipide 등이 있으며 Rebamipide는 위점막 PGE2 함량을 증가시킨다.
⑦ 항생제 - Amoxycillin, metronidazole, tetracycline, erythromycin, furazolidine 등이다. Helicobacter pylori균을 박멸 혹은 재발방지를 위해 bismuth제와 병용투여한다.
2) 중추신경억제약
소화성 궤양의 발생원인 중 하나가 각종 스트레스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환자의 치료에 관하여서는 정신적 안정을 우선할 필요가 있다. 이런 목적으로는 chlordiazepoxide, diazepam, oxazepam, imipramine과 같은 약물이 사용되고 있다.
키워드
약물학, 약물학 정리, 진정수면 및 항불안 약물, 항우울약물, Histamine과 항histamine약물, 항염증 및 해열진통약물, 천식치료약물, 항고혈압 약물, 소화성궤양 치료약물, 작용, 있다, 약물, 사용
추천자료
[약사][약사의 특성][약사의 종류][약사의 전망][약사와 약학자의 비교][약학자][약][제약][제약회사][제약산업][약학]약사의 특성, 약사의 종류, 약사의 전망, 약사와 약학자의 비교 심층 분석(약사, 제약)
정신분열증 간호과정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문헌고찰, 진단 및 치료, 정리 및 느낀점
약사고시 40일부터 준비 요령
약물학(중독재활) ) 대마초 합법화에 관한 최근의 경향과 문제점을 정리하고 자신의 의견을 기술하시오
[약물남용] (생활과건강공통) 최근 우리사회에서 남용되고 있는 약물에관한 내용 약물종류 약물특성 약물현황 약물남용사례/ 약물남용사례 약물남용개인미치는영향/ 약물남용사회미치는영향 약물남용예방방안
[생활과건강] 최근 우리사회에서 남용되고 있는 약물의 종류와 특성 등 현황, 약물남용의 사례 1개를 선정하여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약물남용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예방방안
뇌경색case(Cerebral Infarction)
간호학 뇌경색 케이스
뇌경색 케이스(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