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재료로 사용 가능한 한약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장품재료로 사용 가능한 한약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맥
2. 영지
3. 백강잠

본문내용

효능이 있어 驚風抽, 口眼斜, 咽喉腫痛, 風熱頭痛, 皮膚搔痒 등의 병증을 치료한다.
化痰散結하는 효능이 있는 백강잠이 종양에 효과가 있으리라 추론되어 피부암 중 악성 흑색종 세포주인 B16F10를 이용하여 MTT assay, DNA fragmentation 등을 관찰하여 백강잠의 B16F10세포에 대한 apoptosis의 특징적 소견을 발견하고, 이러한 백강잠의 apoptosis 유도효과에 대한 기전을 조사하였다.
①백강잠 추출물은 피부암세포주인 B16F10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을 감소 시켰다.
②백강잠 추출물은 B16F10 세포의 크기 감소와 apoptotic body의 형성을 유도하였다.
③백강잠 추출물은 B16F10세포의 caspase-3활성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PARP 단백질의 절단 양상을 증가시켰다.
④백강잠 추출물은 B16F10세포의 Bcl-2 protein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Bax protein 발현은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 백강잠 추출물은 B16F10 피부암 세포주에서 caspase-3 활성도의 증가, 이에 따른 PARP 단백질의 절단양상의 증가, 세포고사 억제 단백질은 Bcl-2의 발현억제, Bax 단백질의 발현 증가등을 통하여 apoptosis를 유도시킴으로서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논문
1. 노성택 “교맥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미백기전 연구”
2. 김정은 “Ganoderma lucidum의 액체 배양에 의한 Sphingolipids의 생산 및 피부 보습 효과”
3. 권일호 “白蠶 추출액의 피부암 세포주에서 세포사멸 유도 작용에 대한 연구\"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12.24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6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