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천연염색이란?
2. 천연염색의 특성
3. 천연 염색의 역사
4. 천연 염재의 분류
1) 산출원에 의한 분류
2) 색상에 의한 분류
3) 매염제
5. 천연염료의 염색재료
1) 오배자
2) 울금
3) 정향
4) 황벽
6. 우리나라 염색 문화와 색채
7. 천연염색의 현대적 활용
참고자료
2. 천연염색의 특성
3. 천연 염색의 역사
4. 천연 염재의 분류
1) 산출원에 의한 분류
2) 색상에 의한 분류
3) 매염제
5. 천연염료의 염색재료
1) 오배자
2) 울금
3) 정향
4) 황벽
6. 우리나라 염색 문화와 색채
7. 천연염색의 현대적 활용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 가치를 두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민족성의 상징적 표출이 백색 옷을 즐겨 입는 것으로 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금만 관심을 갖고 살펴보면, 우리 민족이 백색 옷을 즐겨 입게 된 이면에는 조선시대 형성된 금색(禁色)제조와 염료의 가격 상승에 따른 염색 기피 현상이 한 원인으로 작용했음을 알게 되며 오랜 전통을 지닌 한국 염색의 역사를 통해 확인한 우리 민족은 염색을 즐기는 민족이었고, 의복의 색상으로 계급을 구분하는 공복 제조를 시행할 만큼 색채 사상에 큰 비중을 두고 있었음을 알게 된다.
우리 민족에 있어 전통적인 색채 개념이 민족성의 근간에 자리 잡았기 때문에 우리 나라의 염색은 꾸준히 발전해 올 수 있었던 것이다. 색채 사상을 지배한 음양오행적 우주관에 따라 오정색(五正色)오방색(五方色) (적, 청, 황, 백, 흑)과 오간색(五間色 : 錄, 碧, 紅, 紫, 硫黃)이 염색되어 의복에 체계적으로 이용되었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 색의 기본은 오방색이다. 오방색은 음양 오행에 기반을 둔 것으로 우리 민족의 색채 의식에 밑바탕을 이룬다. 색의 사용에 있어서 赤, 靑, 黃, 白, 黑을 기본으로 사용하였는데 기능이나 실용보다 관념이나 의미를 강조하였던 것이다.
우리 민족이 가장 흔히 사용하는 색채는 적색이고, 그 다음이 靑色이며 음양 사상이나 방위 개념과 관련을 가지고 있다. 즉 적색을 좋아한 것은 光明, 火를 상징하는 것으로 생활의 절대적인 것이며 때로는 종교에 가까운 것이었다. 靑色의 개념은 天空과 水와 무성한 식물 등 인간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生을 상징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항상 변함이 없는 중앙에는 황색이 놓이고 물, 식물 등 발전적인 것을 상징하는 청색은 동쪽, 따뜻함과 부를 상징하는 적색은 남쪽, 깨끗함과 순결을 나타내는 흰색을 서쪽에 암울한 세계를 상징하는 검은색은 북쪽에 놓인다.
결국에는 염색에서도 이런 원리가 바탕이 된다. 청, 적, 백, 흑, 황만으로도 여러 색깔을 만들 수 있다. 색을 혼합하여 새로운 색깔을 만들 때도 중심 색은 황색이다. 그러므로 두 색을 이용하여 염색할 때는 중심 색이 나중에 들어가야 좋은 색이 나온다.
이러한 색의 배합 순서도 음양오행설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오색과 음양오행 방위는 다음 도표와 같다.
오색과 음양오행 방위
色/구분
五行
陰陽
五方
人體
五星
계절
상징
赤
火
陽
南
심장
火星
여름
온화, 茂盛
靑
木
陽
東
간장
木星
봄
창조, 생식, 新生
白
金
陰
西
허파
金星
가을
敗, 喪
黃
土
陽
中央
이자
土星
6月
光明, 生氣
黑
水
陰
北
콩팥
水星
겨울
좌절, 凶
7. 천연염색의 현대적 활용
천연염색은 재료가 어떤 것이 되었던 간에 화학염료로 염색하는 것에 비해 보통색의 선명도가 낮고 염색과정도 번거로우며 가격이 비싸다. 그러나 최근에 천연 염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천연염색의 인체의 유익성 때문이다. 즉 인체에 해가 없을 뿐 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식물성 천연염료는 대부분이 한약 재료로 사용되며 항균이나 항암의 약효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천연염색은 화학염료의 폐수가 수질 오염원이 되고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는데 반해 천연염료 사용은 오히려 수질 오염의 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천연염색은 색상이 자연스럽게 어울려져 은은한 아름다움을 내준다. 이는 합성염료와는 비교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며 이는 현대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기존의 내의나 침구류에 황토쑥녹차한약재와 같이 염료의 항균 소취성스킨케어 기능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염료로 사용되고 있다. 전통한복생활한복과 같이 전통 문화상품의 컨셉으로 전통색채와 정성을 강조하여 고가제품으로 개발되고 있고, 소량 생산주문 제작을 중심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친환경 요소와 건강 관련 제품으로 유아용품이나 환자복에 천연염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천연염색을 이용한 생활소품은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넥타이스카프조각보손수건커튼이불세트향주머니가방지갑장신구 등에 이용된다. 또한 천연염색은 의생활 용품뿐만 아니라 식품의 식용색소로 이용하거나 어린이의 과자아이스크림사탕 등에 사용된다.
주택에는 목재금속도배지바닥재유리 등에도 사용되며, 자동차나 의약품 주자재인 붕대, 가제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천연염료는 도자기나 유리에도 사용되어 고가로 판매되기도 한다. 합성염료에는 아조계 염료(Azoic Dyes)에 발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해롭고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어 아조계 염료뿐 아니라 아조계 염료로 염색한 섬유의 수입도 규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천연염료는 주로 전통의류나 일부 공예품에 한정되고 있으나 유럽에서는 표준화된 색상으로 현대복에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이종남, 2004).
천연염료는 어느 분야이건에 활용이 가능하다. 우수한 염색기술을 바탕으로 섬유 뿐 아니라 금속목기도자기종이고미술의 표구가죽화장품화장지건축도료음식 색료약의 코팅제회화의 재료각종 공예품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본에서는 쪽으로 염색한 청색을 Japanase Blue로 세계 시장에 진출하면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1세기를 향한 고부가 가치로 떠오르고 있는 천연 염료에 대하여 체계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자료
김규범 외, 누구나 알기 쉬운 천연염색, 학사원, 2000.
김미영, 천연염색 웹기반 학습자료 개발, 공주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7.
김준호, 공예 염색 이론과 실체, 아트 디자인, 1996.
김지희, 중요무형문화재 제115호 염색장, 화산문화, 2002.
농촌진흥청, 농림부산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농촌진흥청, 2000.
방순옥, 천연염 기법을 통한 염색표현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0.
송미림, 공예 개론, 학문사, 2000.
안명숙, 천연염색, 예학사, 2002.
정옥기, 내손으로 하는 천연염색, 들녘, 2001.
조경래, 천연염료, 염색사전. 보광출판사, 2001.
하미희, 염색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2000.
우리 민족에 있어 전통적인 색채 개념이 민족성의 근간에 자리 잡았기 때문에 우리 나라의 염색은 꾸준히 발전해 올 수 있었던 것이다. 색채 사상을 지배한 음양오행적 우주관에 따라 오정색(五正色)오방색(五方色) (적, 청, 황, 백, 흑)과 오간색(五間色 : 錄, 碧, 紅, 紫, 硫黃)이 염색되어 의복에 체계적으로 이용되었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 색의 기본은 오방색이다. 오방색은 음양 오행에 기반을 둔 것으로 우리 민족의 색채 의식에 밑바탕을 이룬다. 색의 사용에 있어서 赤, 靑, 黃, 白, 黑을 기본으로 사용하였는데 기능이나 실용보다 관념이나 의미를 강조하였던 것이다.
우리 민족이 가장 흔히 사용하는 색채는 적색이고, 그 다음이 靑色이며 음양 사상이나 방위 개념과 관련을 가지고 있다. 즉 적색을 좋아한 것은 光明, 火를 상징하는 것으로 생활의 절대적인 것이며 때로는 종교에 가까운 것이었다. 靑色의 개념은 天空과 水와 무성한 식물 등 인간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生을 상징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항상 변함이 없는 중앙에는 황색이 놓이고 물, 식물 등 발전적인 것을 상징하는 청색은 동쪽, 따뜻함과 부를 상징하는 적색은 남쪽, 깨끗함과 순결을 나타내는 흰색을 서쪽에 암울한 세계를 상징하는 검은색은 북쪽에 놓인다.
결국에는 염색에서도 이런 원리가 바탕이 된다. 청, 적, 백, 흑, 황만으로도 여러 색깔을 만들 수 있다. 색을 혼합하여 새로운 색깔을 만들 때도 중심 색은 황색이다. 그러므로 두 색을 이용하여 염색할 때는 중심 색이 나중에 들어가야 좋은 색이 나온다.
이러한 색의 배합 순서도 음양오행설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오색과 음양오행 방위는 다음 도표와 같다.
오색과 음양오행 방위
色/구분
五行
陰陽
五方
人體
五星
계절
상징
赤
火
陽
南
심장
火星
여름
온화, 茂盛
靑
木
陽
東
간장
木星
봄
창조, 생식, 新生
白
金
陰
西
허파
金星
가을
敗, 喪
黃
土
陽
中央
이자
土星
6月
光明, 生氣
黑
水
陰
北
콩팥
水星
겨울
좌절, 凶
7. 천연염색의 현대적 활용
천연염색은 재료가 어떤 것이 되었던 간에 화학염료로 염색하는 것에 비해 보통색의 선명도가 낮고 염색과정도 번거로우며 가격이 비싸다. 그러나 최근에 천연 염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천연염색의 인체의 유익성 때문이다. 즉 인체에 해가 없을 뿐 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식물성 천연염료는 대부분이 한약 재료로 사용되며 항균이나 항암의 약효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천연염색은 화학염료의 폐수가 수질 오염원이 되고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는데 반해 천연염료 사용은 오히려 수질 오염의 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천연염색은 색상이 자연스럽게 어울려져 은은한 아름다움을 내준다. 이는 합성염료와는 비교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며 이는 현대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기존의 내의나 침구류에 황토쑥녹차한약재와 같이 염료의 항균 소취성스킨케어 기능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염료로 사용되고 있다. 전통한복생활한복과 같이 전통 문화상품의 컨셉으로 전통색채와 정성을 강조하여 고가제품으로 개발되고 있고, 소량 생산주문 제작을 중심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친환경 요소와 건강 관련 제품으로 유아용품이나 환자복에 천연염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천연염색을 이용한 생활소품은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넥타이스카프조각보손수건커튼이불세트향주머니가방지갑장신구 등에 이용된다. 또한 천연염색은 의생활 용품뿐만 아니라 식품의 식용색소로 이용하거나 어린이의 과자아이스크림사탕 등에 사용된다.
주택에는 목재금속도배지바닥재유리 등에도 사용되며, 자동차나 의약품 주자재인 붕대, 가제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천연염료는 도자기나 유리에도 사용되어 고가로 판매되기도 한다. 합성염료에는 아조계 염료(Azoic Dyes)에 발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해롭고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어 아조계 염료뿐 아니라 아조계 염료로 염색한 섬유의 수입도 규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천연염료는 주로 전통의류나 일부 공예품에 한정되고 있으나 유럽에서는 표준화된 색상으로 현대복에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이종남, 2004).
천연염료는 어느 분야이건에 활용이 가능하다. 우수한 염색기술을 바탕으로 섬유 뿐 아니라 금속목기도자기종이고미술의 표구가죽화장품화장지건축도료음식 색료약의 코팅제회화의 재료각종 공예품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본에서는 쪽으로 염색한 청색을 Japanase Blue로 세계 시장에 진출하면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1세기를 향한 고부가 가치로 떠오르고 있는 천연 염료에 대하여 체계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자료
김규범 외, 누구나 알기 쉬운 천연염색, 학사원, 2000.
김미영, 천연염색 웹기반 학습자료 개발, 공주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7.
김준호, 공예 염색 이론과 실체, 아트 디자인, 1996.
김지희, 중요무형문화재 제115호 염색장, 화산문화, 2002.
농촌진흥청, 농림부산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농촌진흥청, 2000.
방순옥, 천연염 기법을 통한 염색표현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0.
송미림, 공예 개론, 학문사, 2000.
안명숙, 천연염색, 예학사, 2002.
정옥기, 내손으로 하는 천연염색, 들녘, 2001.
조경래, 천연염료, 염색사전. 보광출판사, 2001.
하미희, 염색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2000.
추천자료
골재의 특성
아크릴계 고분자에 의한 PU접착제의 소수성 표면에 대한 접착성향상
전기물성
토목 재료의 종류와 성질
[섬유][면섬유][모시][마섬유][폴리염화비닐수지][스판덱스][레이온][나일론]면섬유, 모시, ...
플라스틱재료의 개요와 특징 종류
증점제(증점다당류,검)
토목재료학 (구미서관) - 4장 연습문제
[미생물학 실험] 미생물 조작의 기초
친환경주거 (세계의 에코시티 사례 & 한국의 친환경주거)
도자기의 이해 (김석영) 타이핑, 중간, 기말
문화적관광자원
건축공학-건축재료 및 실험 (Meaning of Buildings Material).ppt
[유기 화학]para red의 합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