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조 / 실험 자
3. 실험 목적
4. 실험 이론 및 배경
5. 장치 및 시약
6. 실험 방법
7. 참고문헌
2. 실험 조 / 실험 자
3. 실험 목적
4. 실험 이론 및 배경
5. 장치 및 시약
6. 실험 방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여 극성 촉매나 효소를 비극성 기체 상에 분자준위의 균일한 분산이 가능하여 기체 상 반응분야에 새로운 장을 열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속 상이 액체인 경우에 비하여 초임계 유체 연속 상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확산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촉매가 들어있는 미셀의 활성자리(active sites)에 분자 종을 흡착-탈착하는 속도가 매우 빨라 확산이 제한되는 반응 계의 반응속도를 촉진하는데 활용이 기대된다.
5. 장치 및 시약
둥근바닥 플라스크, 계면활성제, 고무셉터, 큐벳 시료 용기 헥산, Cd(NO3)2, Na2S,
Zn(NO3)2
<둥근바닥 플라스크>
바닥이 둥근 형태인 플라스크. 심장형 플라스크라고도 함. 경질 유리로 된 것이 보통이지만, 석영제나 금속제도 있다. 주로 진공증류에 사용된다. 크기도 5 cm3 용량의 마이크로용에서 2ℓ에 이르는 대형까지 있다. 켈달법(法)이나 수증기 증류 등에는 특수한 모양의 증류플라스크가 사용된다.
<계면활성제>
용매에 작은 양을 녹였을 때 그 용액의 표면장력을 크게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 분자 중에서 친수성원자단과 소수성원자단이 함유된 두 원자단 사이에 적당한 균형이 취해져 있어야 한다.
수용액은 콜로이드성(colloid)을 나타내지만 콜로이드의 이온 하전에 의해 계면활성제 · 양이온 계면활성제 ·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된다.
이들은 세척제 · 유화제 · 섬유처리제, 부유선광제 · 윤활유첨가제 · 살균제 · 도료분산제 등 다방면의 용도가 있다.
<고무셉터>
플라스크의 구멍을 막는데 사용한다. 보통은 유리 스토퍼를 많이 사용하지만 반응 도중에 뚜껑을 열지 않고 다른 반응물을 넣어야 할 경우에 사용한다. 다른 반응물을 넣을 땐 주사기로 바늘을 고무셉터에 찔러서 사용한다.
<큐벳>
비색 분석 또는 분광 분석에서 시료 용액을 넣는 그릇. 사각기둥 모양 또는 원기둥 모양으로 되어 있다.
분자량 236.42, 녹는점 350 °C, 밀도 3.60 g/cm3(solid)
카드뮴의 질산염. 흰색 결정으로 습기를 잘 빨아들이며 물, 알코올, 암모니아에 녹는다. 유리나 도자기에 적황색 광택을 내는 데 쓴다. 화학식은 Cd(NO3)2ㆍ4H2O.
분자량 78.0452, 녹는점 1176 °C, 밀도 1.856g/cm3
백색의 분말로서, 조해성이 있으며, 공업적으로는 무수의 황산나트륨과 산화탄소를 혼합, 반사로에서 연소·환원시켜 제조한다. 탈황제, 황화염료의 제조, 가죽의 탈모제 및 분석 시약 등에 쓰인다.
분자량 189.36, 녹는점 110 °C, 끓는점 125 °C, 밀도 2.065 g/cm3
6.실험 방법
합성방법 II 역마이셀법 이용
① w=5와 w=10의 역마이셀 용액을 제조한다. (2조 가위바위보에서 진 조)
-25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헥산 100mL를 담는다
-계면활성제(sodium lauryl sulfate; 288.38g/mol)을 3.2g을 용해시킨다.
(magnetic stirrer로 계속 교반)
-w=5의 경우 1mL의 증류수를, w=10의 경우 2mL의 증류수를 각각 넣고 용액이 골고루 섞일 때까지 계속 교반시킨다.
-고무셉터를 끼워서 needle로 N2(g)를 흘려 넣어준다.
② CdS 나노입자의 합성 (1조 2조 or 5조 6조 or 9조 10조)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①의 역마이셀 용액 10mL를 주사기로 취하여 넣고 5의 1M Cd(NO3)2(Cd2+의 농도는 5×10-4M)를 가하고 용액이 완전히 골고루 섞일 때까지 교반시킨다.
-용액이 골고루 섞이면 5의 1M Na2S 용액을 천천히 가한다. (S2-의 농도는 5×10-4M )
-20분정도 방치하고 1cm 큐벳 시료 용기에 취하여 250nm~600nm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다.
③ ZnS 나노입자의 합성 (3조 4조 or 7조 8조 or 11조 12조)
-②의 과정과 동일하게 1M Zn(NO3)2 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7.참고문헌
물리화학실험 (대한화학회/ 청문각/ 2006년 출판)
http://ko.wikipedia.org/wiki/P%ED%98%95_%EB%B0%98%EB%8F%84%EC%B2%B4
http://100.naver.com/100.nhn?docid=213986
http://ko.wikipedia.org/wiki/%EB%9D%A0%EA%B0%84%EA%B2%A9
http://blog.naver.com/clafte?Redirect=Log&logNo=12006361911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0544
http://100.naver.com/100.nhn?docid=776463
http://ko.wikipedia.org/wiki/%EC%97%91%EC%8B%9C%ED%86%A4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57811&bbsid=619&popissue=
http://100.naver.com/100.nhn?docid=122755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5&docId=49434122&qb=7Jet66+47IW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1&pid=gN/Xuz331xRssv2tu2hssv--122244&sid=Tc-JkfKWz00AABXaymY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47068&bbsid=619&popissue=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6194300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57651&bbsid=619&popissue=
5. 장치 및 시약
둥근바닥 플라스크, 계면활성제, 고무셉터, 큐벳 시료 용기 헥산, Cd(NO3)2, Na2S,
Zn(NO3)2
<둥근바닥 플라스크>
바닥이 둥근 형태인 플라스크. 심장형 플라스크라고도 함. 경질 유리로 된 것이 보통이지만, 석영제나 금속제도 있다. 주로 진공증류에 사용된다. 크기도 5 cm3 용량의 마이크로용에서 2ℓ에 이르는 대형까지 있다. 켈달법(法)이나 수증기 증류 등에는 특수한 모양의 증류플라스크가 사용된다.
<계면활성제>
용매에 작은 양을 녹였을 때 그 용액의 표면장력을 크게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 분자 중에서 친수성원자단과 소수성원자단이 함유된 두 원자단 사이에 적당한 균형이 취해져 있어야 한다.
수용액은 콜로이드성(colloid)을 나타내지만 콜로이드의 이온 하전에 의해 계면활성제 · 양이온 계면활성제 ·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된다.
이들은 세척제 · 유화제 · 섬유처리제, 부유선광제 · 윤활유첨가제 · 살균제 · 도료분산제 등 다방면의 용도가 있다.
<고무셉터>
플라스크의 구멍을 막는데 사용한다. 보통은 유리 스토퍼를 많이 사용하지만 반응 도중에 뚜껑을 열지 않고 다른 반응물을 넣어야 할 경우에 사용한다. 다른 반응물을 넣을 땐 주사기로 바늘을 고무셉터에 찔러서 사용한다.
<큐벳>
비색 분석 또는 분광 분석에서 시료 용액을 넣는 그릇. 사각기둥 모양 또는 원기둥 모양으로 되어 있다.
분자량 236.42, 녹는점 350 °C, 밀도 3.60 g/cm3(solid)
카드뮴의 질산염. 흰색 결정으로 습기를 잘 빨아들이며 물, 알코올, 암모니아에 녹는다. 유리나 도자기에 적황색 광택을 내는 데 쓴다. 화학식은 Cd(NO3)2ㆍ4H2O.
분자량 78.0452, 녹는점 1176 °C, 밀도 1.856g/cm3
백색의 분말로서, 조해성이 있으며, 공업적으로는 무수의 황산나트륨과 산화탄소를 혼합, 반사로에서 연소·환원시켜 제조한다. 탈황제, 황화염료의 제조, 가죽의 탈모제 및 분석 시약 등에 쓰인다.
분자량 189.36, 녹는점 110 °C, 끓는점 125 °C, 밀도 2.065 g/cm3
6.실험 방법
합성방법 II 역마이셀법 이용
① w=5와 w=10의 역마이셀 용액을 제조한다. (2조 가위바위보에서 진 조)
-25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헥산 100mL를 담는다
-계면활성제(sodium lauryl sulfate; 288.38g/mol)을 3.2g을 용해시킨다.
(magnetic stirrer로 계속 교반)
-w=5의 경우 1mL의 증류수를, w=10의 경우 2mL의 증류수를 각각 넣고 용액이 골고루 섞일 때까지 계속 교반시킨다.
-고무셉터를 끼워서 needle로 N2(g)를 흘려 넣어준다.
② CdS 나노입자의 합성 (1조 2조 or 5조 6조 or 9조 10조)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①의 역마이셀 용액 10mL를 주사기로 취하여 넣고 5의 1M Cd(NO3)2(Cd2+의 농도는 5×10-4M)를 가하고 용액이 완전히 골고루 섞일 때까지 교반시킨다.
-용액이 골고루 섞이면 5의 1M Na2S 용액을 천천히 가한다. (S2-의 농도는 5×10-4M )
-20분정도 방치하고 1cm 큐벳 시료 용기에 취하여 250nm~600nm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다.
③ ZnS 나노입자의 합성 (3조 4조 or 7조 8조 or 11조 12조)
-②의 과정과 동일하게 1M Zn(NO3)2 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7.참고문헌
물리화학실험 (대한화학회/ 청문각/ 2006년 출판)
http://ko.wikipedia.org/wiki/P%ED%98%95_%EB%B0%98%EB%8F%84%EC%B2%B4
http://100.naver.com/100.nhn?docid=213986
http://ko.wikipedia.org/wiki/%EB%9D%A0%EA%B0%84%EA%B2%A9
http://blog.naver.com/clafte?Redirect=Log&logNo=12006361911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0544
http://100.naver.com/100.nhn?docid=776463
http://ko.wikipedia.org/wiki/%EC%97%91%EC%8B%9C%ED%86%A4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57811&bbsid=619&popissue=
http://100.naver.com/100.nhn?docid=122755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5&docId=49434122&qb=7Jet66+47IW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1&pid=gN/Xuz331xRssv2tu2hssv--122244&sid=Tc-JkfKWz00AABXaymY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47068&bbsid=619&popissue=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6194300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57651&bbsid=619&popissue=
소개글